게임위키
Advertisement
<mediawiki xmlns="http://www.mediawiki.org/xml/export-0.9/"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xsi:schemaLocation="http://www.mediawiki.org/xml/export-0.9/ http://www.mediawiki.org/xml/export-0.9.xsd" version="0.9" xml:lang="ko">
 <siteinfo>
   <sitename>게임위키</sitename>
   <dbname>gamewiki</dbname>
   <base>https://game.orain.org/wiki/%EA%B2%8C%EC%9E%84%EC%9C%84%ED%82%A4:%EB%8C%80%EB%AC%B8</base>
   <generator>MediaWiki 1.24.2</generator>
   <case>first-letter</case>
   <namespaces>
     <namespace key="-2" case="first-letter">미디어</namespace>
     <namespace key="-1" case="first-letter">특수</namespace>
     <namespace key="0" case="first-letter" />
     <namespace key="1" case="first-letter">토론</namespace>
     <namespace key="2" case="first-letter">사용자</namespace>
     <namespace key="3" case="first-letter">사용자토론</namespace>
     <namespace key="4" case="first-letter">게임위키</namespace>
     <namespace key="5" case="first-letter">게임위키토론</namespace>
     <namespace key="6" case="first-letter">파일</namespace>
     <namespace key="7" case="first-letter">파일토론</namespace>
     <namespace key="8" case="first-letter">미디어위키</namespace>
     <namespace key="9" case="first-letter">미디어위키토론</namespace>
     <namespace key="10" case="first-letter">틀</namespace>
     <namespace key="11" case="first-letter">틀토론</namespace>
     <namespace key="12" case="first-letter">도움말</namespace>
     <namespace key="13" case="first-letter">도움말토론</namespace>
     <namespace key="14" case="first-letter">분류</namespace>
     <namespace key="15" case="first-letter">분류토론</namespace>
     <namespace key="828" case="first-letter">모듈</namespace>
     <namespace key="829" case="first-letter">모듈토론</namespace>
   </namespaces>
 </siteinfo>

<page>

   <title>게임 용어</title>
   <ns>0</ns>
   <id>205</id>
   <revision>
     <id>234</id>
     <timestamp>2015-02-26T11:06:57Z</timestamp>
     <contributor>
       <username>MINT</username>
       <id>1</id>
     </contributor>
     <comment>새 문서: * 본 문서는 비디오 게임의 용어를 다룹니다. * Ctrl+F를 눌러서 원하는 단어를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 누락된 단어가 많으니 많은 참...</comment>
     <text xml:space="preserve" bytes="12740">* 본 문서는 비디오 게임의 용어를 다룹니다.
  • Ctrl+F를 눌러서 원하는 단어를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 누락된 단어가 많으니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 특정 게임/장르에서만 쓰는 용어는 되도록 해당 게임 문서 혹은 게임 이름/용어게임 장르/용어 문서 혹은 별개 문서에다가 작성해주세요.(ex.쿠키런/용어)
  • 설명이 충분히 길어져서 1500바이트 이상일 경우 정리 후 별개의 문서로 분리 부탁드리며, 분리 후에는 <nowiki>XX</nowiki>: 해당 문서 참조.의 형식으로 바꿔주세요.
  • 게임과 관련된 인터넷 밈은 이곳에서 서술하지 않습니다.
  • 유저들끼리 사용하는 용어(만렙 등)와 소프트웨어 용어(베이퍼웨어, 더미 데이터 등) 등이 모두 작성 가능합니다.
  • '렉' 등의 게이머들이 아닌 일반인들도 사용하는 용어들 역시 일부 작성이 가능합니다.
  • FPS 게임 등 장르에 관한 내용은 게임 장르 문서에서 서술해주십시오.
  • 아직 문서가 작성되지 않은 용어들에는 되도록 링크를 걸지 말아주세요.

[]

  • 강화: 특정 아이템의 능력치를 강력하게 하는 행위. 인챈트와 비슷하지만 새로운 능력이 추가되지는 않고 기존의 능력이 더 강해진다는 차이점이 있다.
  • 게임성: '작품성'을 게임에 접목한 단어라고 보면 된다.
  • 게임 불감증: 할 게임이 컴퓨터, 게임기 등에 많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할 게임이 없다'라고 생각하게 되는 병(?). 주로 <del>스팀 세일이나 번들 사이트 때문에</del> 게임을 무지막지하게 많이 구매하거나, 불법 복제를 많이 해서 생긴다.
  • 공략: 특정 게임을 플레이하는 방법이나 가이드를 총칭하는 말
  • 길드: 클랜이라고도 부르며, 일정한 목적을 가진 사람들이 모인 게임상의 집단
  • 길막: 플레이어가 길을 막고 있는 행위

[]

  • 나눔: 아이템이나 게임 그 자체를 보상 없이 선물받는 행위

[]

  • 더미 데이터: 더미 데이터 문서 참조.
  • 던전: RPG에서 몬스터가 밀집하여 위치한 지역
  • 데미지 딜러(딜러): 적군에게 최대한 많은 피해를 주는 역할 혹은 그 역할을 담당하는 사람
  • 데모: 영단어로 시연을 뜻하는 Demonstration의 약자로 사용자에게 게임을 체험받는 것을 의미한다.
  • 도전과제: 게임 내에서 일정한 목표를 달성하도록 유도하는 행위. 업적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동시접속자: 동일한 시간대에 게임 내에 접속한 사람의 수

[]

  • 레어템: 레어 아이템의 약어로 희귀한 아이템을 뜻한다.
  • 레이드: 주로 MMORPG에서 혼자서 클리어하기 힘든 컨텐츠를 여럿이서 클리어하는것
  • 레벨: 게임 세계에서의 일종의 등급
  • 룩덕: 자신이 플레이하는 캐릭터의 외관을 꾸미는 행위. 비슷한 용어로는 '룩딸'이 존재하지만 언어 자체가 비속어여서 그런지 룩덕이라는 용어가 더 많이 쓰인다.
  • 리스폰: 특정 몹이나 보스, 캐릭터 등이 죽으면 다시 살아나는 것
  • 리젠: 특정 몹이나 캐릭터의 체력이 시간이 지나면 회복되는 것

[]

  • 만렙: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가지는 레벨의 한계
  • 매크로: 플레이어가 게임을 플레이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캐릭터가 특정 동작을 지속해서 플레이하는 행위. 주로 온라인 게임<ref>특히 AOSRPG</ref>에서 일어나는 현상이지만 다른 게임에서도 사용되기도 하며, 대부분의 게임에서는 이를 금지하고 있다.
  • 메즈: 상대방을 무력화시키는 기술
  • 모드: 모드 문서 참조.
  • 몹: 주로 롤플레잉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제거해야하는 적 캐릭터

[]

  • 바닐라: DLC나 확장팩, 모드, 애드온 등 게임의 추가 요소가 깔려있지 않은 게임
  • 바카게: 바카게 항목 참조.
  • 밸런스: 게임 내 캐릭터와 아이템들의 능력치.
  • 밸런스 붕괴: 밸런스가 조절되지 못하고 특정 아이템과 캐릭터의 능력치가 매우 강한 것
  • 버프: 주로 온라인 게임이나 롤플레잉 게임에서 캐릭터의 능력을 일시적으로 상승시켜주는 행위
  • 베이퍼웨어: 베이퍼웨어 항목 참조.
  • 보스: 주로 게임 맨 마지막에 등장하는 매우 강력한 캐릭터
  • 복돌러: 불법 복제 이용자인 복돌이들을 다르게 부르는 말.
  • 봇: 멀티플레이 게임에서 등장하는 인공지능 플레이어
  • 부분 유료: 부분적으로 유료인 게임. 즉, 진입 자체는 무료이지만 내부에 과금이 포함되어 있거나 DLC를 구매해서 추가 컨텐츠를 즐길 수 있는 게임들을 부분 유료 게임이라고 부른다.
  • 부분 유료화: 유료 게임을 부분 유료로 전환시키는 것. 왜인지 모르지만 부분 유료와 혼동되는데, 다른 개념이다.
  • 불법 복제: 복돌이라고도 부른다. 말 그대로 게임을 불법으로 복제해서 토렌트/웹하드 등에서 다운로드 하는 것인데 이 과정에서 컴퓨터가 바이러스나 비트코인에게 잠식되어 게임 살 몇푼 아끼려다가 컴퓨터가 고인이 되는 일이 자주 일어난다. 음식을 돈 안내고 사먹는 것이 어떻게 하든 정당화가 될 수 없듯이 복돌이 역시 지역 제한이 걸렸거나 판권이 종료된 것이 아니라면 정당화 될 수 없다. #
  • 비라이선스, 비라이선스 게임: 비라이선스 문서 참조.

[]

  • 세이브: 현재 진행 상황을 저장하는 것
  • 스택: 스킬 등의 효과가 중첩되는 것
  • 스탠드 얼론: 항목 참조.
  • 쓰레기 게임: 쓰레기 게임 문서 참조.
  • 시즌패스: 특정 게임을 구매했을때 출시된+출시될 DLC를 모두 소유할 권리

[]

  • 아타리 쇼크: 아타리 쇼크 문서 참조.
  • 악마의 게임: 매우 재미있어서 지속적으로 플레이하게되는 중독성을 가지고 있는 게임.
  • 어밴던웨어: 제작자/제작사가 여러 사유로 공급을 중단한 소프트웨어
  • 액티브 유저: 해당 게임을 실질적으로 지속적으로 플레이하는 유저
  • 오버월드: 오버월드 문서 참조
  • 이스터 에그: 개발자가 장난을 위해서 게임에 메시지나 기능 등을 숨겨놓는 행위나 숨겨둔 것들. 게임 뿐 아니라 영화 등 다른 분야에서도 흔히 찾아볼 수 있다.
  • 인벤토리: 유저들이 소유하고 있는 물건을 보관하는 장소.
  • 인챈트: 무기/방어구/장신구 등의 성능을 업그레이드하는 시스템. 강화와 비슷하지만 주로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는 것을 의미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

  • 자동사냥: 매크로와 같은 뜻으로 사용되나 온라인 게임에 한정되는 단어이다.
  • 자유도: 게임 내에서 플레이어가 플레이를 결정하는데 선택할 수 있는 행위의 정도 혹은 자유로운 플레이가 가능한 정도
  • 정식 발매, 정발: 외국 게임에 대한 라이선스를 얻거나 유통사가 수입을 해서 자국에 발매하는 행위. 물론 외국 회사가 특정 국가에 직접 발매하기도 한다.
  • 정신적 후속작: 정신적 후속작 문서 참조.
  • 주얼~(쥬얼)<ref>주얼CD, 주얼게임, 주얼판 등 부르는 명칭이 많고 통일성이 없어 이렇게 처리</ref>: 패키지 게임에서 제공하는 패키지의 구성품을 모두 제외하고 CD만 유통하는 형태
  • 지역 제한, 지역락, 지역 코드: 지역 제한 문서 참조

[]

  • 치트: 게임의 쉬운 플레이나 다른 플레이어보다 우월한 점수를 내기 위해서 데이터 조작 등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플레이하는 행위. 유명한 치트 코드로는 쇼미더머니코나미 커맨드 등이 존재한다.
  • 채널링: 이미 특정 사이트에서 서비스되는 게임을 다른 사이트에서도 제휴를 맺고 서비스하는 행위

[]

  • 카이팅: 원거리 공격을 하는 캐릭터가 적과 일정 거리를 두고서 적을 공격하는 행위
  • 쿠소게: 일본어로 똥쓰레기를 뜻하는 쿠소에서 유래된 단어로, 한국어로 번역하면 쓰레기 게임 정도가 될 수 있다. 순화할 언어가 없는 것도 아니고 충분히 대체가 가능한 용어이므로 쿠소게가 아닌 쓰레기 게임 등으로 바꾸는게 맞다는 의견과 이미 고유명사로 굳어진 이상 굳이 바꿀 필요가 없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어쨌든 이런류 게임에 대해서는 쓰레기 게임 문서 참조.
  • 퀘스트: 게임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서 플레이어에게 달성하라고 하는 임무 혹은 행동.

[]

  • 탱커: 파티원을 대신하여 적군의 공격을 받아주는 역할 혹은 그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
  • 트롤: 아군에게 피해를 주는 행위를 하는 행위.
  • 팀킬: 같은 팀을 죽이는 행위. 트롤의 대표적인 행위라고도 할 수 있다.

[]

  • 파밍: 게임 내에서 아이템을 모으는 행위
  • 파쿠르: 지형 구조물을 넘거나 이동하는 형식의 게임. 야마카시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나 야마카시는 실존하는 파쿠르의 팀 이름으로, 엄밀히 말하면 야마카시라는 표현은 잘못된 것이다.
  • 포트: 게임을 시스템 간에 옮겨서 이식하는 행위. 특히 이전 시스템으로 후퇴하는 경우는 백포트, 다운그레이드 등이라고도 한다. 원작을 만든 회사의 라이선스 허가 없이 포트시킨 경우에는 앞에 해적판(Pirated)이나 부틀렉(Bootleg) 등의 수식어가 붙는다.
  • 폭딜: 게임 내에서 낼 수 있는 최대한의 데미지로 적을 공격하는 행위
  • 프로토타입: 본격적인 제작에 앞서서 제작해보는 원형
  • 프리퀄: 항목 참조.
  • 플러그 앤드 플레이: 별도의 물리적인 설정이 없이 꽂으면(Plug) 바로 이용(Play)할 수 있는 기능
  • 피로도: 게임 플레이 시간이나 횟수가 일정량을 넘어서면 게임 내부에서의 이득이 줄어드는 시스템

[]

  • 하우징: 플레이어가 집을 짓는 콘텐츠
  • 한글패치/한국어패치: 외국어로 되는 게임에 한글을 지원하는 행위
  • 한글화/한국어화: 외국 게임 회사가 개발한 게임의 자막이나 음성이 한글을 지원하는 행위. 이 표현에 대해서 한글화가 맞느냐 한국어화가 맞느냐에 대한 논쟁이 있는데, 이에 대한 국립국어원의 답변은 ~화라는 표현 자체가 부적절하며, 굳이 찾는다면 한국어 번역이 맞다이다.
  • 핵: 게임 내의 해킹 프로그램
  • 헬렙: 게임에서 레벨을 굉장히 올리기 힘든 구간
  • 현질: 게임 내에서 캐쉬 등의 현금 요소를 구매하는 행위
  • 확장팩: 항목 참조.
  • 힐러: 파티원의 체력 회복을 도와주는 역할 혹은 그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

알파벳[]

  • AAA급 게임: 항목 참조
  • co-op(코옵): 2인 이상의 협동 플레이
  • CTD: 충돌로 인해 바탕화면으로 튕겨버리는 현상
  • DLC: 항목 참조.
  • DRM: 항목 참조.
  • ESD: ESD 문서 참조.
  • Mod: Mod 문서 참조.
  • MP: Magic Power의 약어로 마법 등을 이용하는 특수능력을 발동하는데 필요한 개념
  • NPC: 주로 롤플레잉 게임이나 온라인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직접 조종하지 않고 퀘스트 등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캐릭터
  • PK: Player Kill의 줄임말로 다른 플레이어를 줄이는 행위
  • PVE: 플레이어vs환경의 줄임말
  • PVP: 플레이어vs플레이어의 줄임말
  • GG: 유저 용어. 게임이 끝나고 나면 '좋은 게임이였다' '우리가 졌다' 등의 뜻으로 쓰인다.
  • F2P: Free to Play, 즉 부분 유료의 줄임말.
  • HP: Hit points의 약어로 몹이나 플레이어의 체력을 뜻하는 말.

별개의 문서로 분리된 용어 설명 문서들[]

게임 이름/용어 혹은 장르 이름/용어 문서들은 여기에 넣어주세요.

  • 쿠키런/용어

주석[]

<references />

틀:보충 필요틀:좋은글

</text>

     <model>wikitext</model>
     <format>text/x-wiki</format>
   </revision>
   <revision>
     <id>2084</id>
     <parentid>234</parentid>
     <timestamp>2015-03-15T04:05:39Z</timestamp>
     <contributor>
       <username>MINT</username>
       <id>1</id>
     </contributor>
     <comment>/* ㅋ */</comment>
     <text xml:space="preserve" bytes="12784">* 본 문서는 비디오 게임의 용어를 다룹니다.
  • Ctrl+F를 눌러서 원하는 단어를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 누락된 단어가 많으니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 특정 게임/장르에서만 쓰는 용어는 되도록 해당 게임 문서 혹은 게임 이름/용어게임 장르/용어 문서 혹은 별개 문서에다가 작성해주세요.(ex.쿠키런/용어)
  • 설명이 충분히 길어져서 1500바이트 이상일 경우 정리 후 별개의 문서로 분리 부탁드리며, 분리 후에는 <nowiki>XX</nowiki>: 해당 문서 참조.의 형식으로 바꿔주세요.
  • 게임과 관련된 인터넷 밈은 이곳에서 서술하지 않습니다.
  • 유저들끼리 사용하는 용어(만렙 등)와 소프트웨어 용어(베이퍼웨어, 더미 데이터 등) 등이 모두 작성 가능합니다.
  • '렉' 등의 게이머들이 아닌 일반인들도 사용하는 용어들 역시 일부 작성이 가능합니다.
  • FPS 게임 등 장르에 관한 내용은 게임 장르 문서에서 서술해주십시오.
  • 아직 문서가 작성되지 않은 용어들에는 되도록 링크를 걸지 말아주세요.

[]

  • 강화: 특정 아이템의 능력치를 강력하게 하는 행위. 인챈트와 비슷하지만 새로운 능력이 추가되지는 않고 기존의 능력이 더 강해진다는 차이점이 있다.
  • 게임성: '작품성'을 게임에 접목한 단어라고 보면 된다.
  • 게임 불감증: 할 게임이 컴퓨터, 게임기 등에 많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할 게임이 없다'라고 생각하게 되는 병(?). 주로 <del>스팀 세일이나 번들 사이트 때문에</del> 게임을 무지막지하게 많이 구매하거나, 불법 복제를 많이 해서 생긴다.
  • 공략: 특정 게임을 플레이하는 방법이나 가이드를 총칭하는 말
  • 길드: 클랜이라고도 부르며, 일정한 목적을 가진 사람들이 모인 게임상의 집단
  • 길막: 플레이어가 길을 막고 있는 행위

[]

  • 나눔: 아이템이나 게임 그 자체를 보상 없이 선물받는 행위

[]

  • 더미 데이터: 더미 데이터 문서 참조.
  • 던전: RPG에서 몬스터가 밀집하여 위치한 지역
  • 데미지 딜러(딜러): 적군에게 최대한 많은 피해를 주는 역할 혹은 그 역할을 담당하는 사람
  • 데모: 영단어로 시연을 뜻하는 Demonstration의 약자로 사용자에게 게임을 체험받는 것을 의미한다.
  • 도전과제: 게임 내에서 일정한 목표를 달성하도록 유도하는 행위. 업적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동시접속자: 동일한 시간대에 게임 내에 접속한 사람의 수

[]

  • 레어템: 레어 아이템의 약어로 희귀한 아이템을 뜻한다.
  • 레이드: 주로 MMORPG에서 혼자서 클리어하기 힘든 컨텐츠를 여럿이서 클리어하는것
  • 레벨: 게임 세계에서의 일종의 등급
  • 룩덕: 자신이 플레이하는 캐릭터의 외관을 꾸미는 행위. 비슷한 용어로는 '룩딸'이 존재하지만 언어 자체가 비속어여서 그런지 룩덕이라는 용어가 더 많이 쓰인다.
  • 리스폰: 특정 몹이나 보스, 캐릭터 등이 죽으면 다시 살아나는 것
  • 리젠: 특정 몹이나 캐릭터의 체력이 시간이 지나면 회복되는 것

[]

  • 만렙: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가지는 레벨의 한계
  • 매크로: 플레이어가 게임을 플레이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캐릭터가 특정 동작을 지속해서 플레이하는 행위. 주로 온라인 게임<ref>특히 AOSRPG</ref>에서 일어나는 현상이지만 다른 게임에서도 사용되기도 하며, 대부분의 게임에서는 이를 금지하고 있다.
  • 메즈: 상대방을 무력화시키는 기술
  • 모드: 모드 문서 참조.
  • 몹: 주로 롤플레잉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제거해야하는 적 캐릭터

[]

  • 바닐라: DLC나 확장팩, 모드, 애드온 등 게임의 추가 요소가 깔려있지 않은 게임
  • 바카게: 바카게 항목 참조.
  • 밸런스: 게임 내 캐릭터와 아이템들의 능력치.
  • 밸런스 붕괴: 밸런스가 조절되지 못하고 특정 아이템과 캐릭터의 능력치가 매우 강한 것
  • 버프: 주로 온라인 게임이나 롤플레잉 게임에서 캐릭터의 능력을 일시적으로 상승시켜주는 행위
  • 베이퍼웨어: 베이퍼웨어 항목 참조.
  • 보스: 주로 게임 맨 마지막에 등장하는 매우 강력한 캐릭터
  • 복돌러: 불법 복제 이용자인 복돌이들을 다르게 부르는 말.
  • 봇: 멀티플레이 게임에서 등장하는 인공지능 플레이어
  • 부분 유료: 부분적으로 유료인 게임. 즉, 진입 자체는 무료이지만 내부에 과금이 포함되어 있거나 DLC를 구매해서 추가 컨텐츠를 즐길 수 있는 게임들을 부분 유료 게임이라고 부른다.
  • 부분 유료화: 유료 게임을 부분 유료로 전환시키는 것. 왜인지 모르지만 부분 유료와 혼동되는데, 다른 개념이다.
  • 불법 복제: 복돌이라고도 부른다. 말 그대로 게임을 불법으로 복제해서 토렌트/웹하드 등에서 다운로드 하는 것인데 이 과정에서 컴퓨터가 바이러스나 비트코인에게 잠식되어 게임 살 몇푼 아끼려다가 컴퓨터가 고인이 되는 일이 자주 일어난다. 음식을 돈 안내고 사먹는 것이 어떻게 하든 정당화가 될 수 없듯이 복돌이 역시 지역 제한이 걸렸거나 판권이 종료된 것이 아니라면 정당화 될 수 없다. #
  • 비라이선스, 비라이선스 게임: 비라이선스 문서 참조.

[]

  • 세이브: 현재 진행 상황을 저장하는 것
  • 스택: 스킬 등의 효과가 중첩되는 것
  • 스탠드 얼론: 항목 참조.
  • 쓰레기 게임: 쓰레기 게임 문서 참조.
  • 시즌패스: 특정 게임을 구매했을때 출시된+출시될 DLC를 모두 소유할 권리

[]

  • 아타리 쇼크: 아타리 쇼크 문서 참조.
  • 악마의 게임: 매우 재미있어서 지속적으로 플레이하게되는 중독성을 가지고 있는 게임.
  • 어밴던웨어: 제작자/제작사가 여러 사유로 공급을 중단한 소프트웨어
  • 액티브 유저: 해당 게임을 실질적으로 지속적으로 플레이하는 유저
  • 오버월드: 오버월드 문서 참조
  • 이스터 에그: 개발자가 장난을 위해서 게임에 메시지나 기능 등을 숨겨놓는 행위나 숨겨둔 것들. 게임 뿐 아니라 영화 등 다른 분야에서도 흔히 찾아볼 수 있다.
  • 인벤토리: 유저들이 소유하고 있는 물건을 보관하는 장소.
  • 인챈트: 무기/방어구/장신구 등의 성능을 업그레이드하는 시스템. 강화와 비슷하지만 주로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는 것을 의미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

  • 자동사냥: 매크로와 같은 뜻으로 사용되나 온라인 게임에 한정되는 단어이다.
  • 자유도: 게임 내에서 플레이어가 플레이를 결정하는데 선택할 수 있는 행위의 정도 혹은 자유로운 플레이가 가능한 정도
  • 정식 발매, 정발: 외국 게임에 대한 라이선스를 얻거나 유통사가 수입을 해서 자국에 발매하는 행위. 물론 외국 회사가 특정 국가에 직접 발매하기도 한다.
  • 정신적 후속작: 정신적 후속작 문서 참조.
  • 주얼~(쥬얼)<ref>주얼CD, 주얼게임, 주얼판 등 부르는 명칭이 많고 통일성이 없어 이렇게 처리</ref>: 패키지 게임에서 제공하는 패키지의 구성품을 모두 제외하고 CD만 유통하는 형태
  • 지역 제한, 지역락, 지역 코드: 지역 제한 문서 참조

[]

  • 치트: 게임의 쉬운 플레이나 다른 플레이어보다 우월한 점수를 내기 위해서 데이터 조작 등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플레이하는 행위. 유명한 치트 코드로는 쇼미더머니코나미 커맨드 등이 존재한다.
  • 채널링: 이미 특정 사이트에서 서비스되는 게임을 다른 사이트에서도 제휴를 맺고 서비스하는 행위

[]

  • 카이팅: 원거리 공격을 하는 캐릭터가 적과 일정 거리를 두고서 적을 공격하는 행위
  • 쿠소게: 일본어로 똥쓰레기를 뜻하는 쿠소에서 유래된 단어로, 한국어로 번역하면 쓰레기 게임 정도가 될 수 있다. 순화할 언어가 없는 것도 아니고 충분히 대체가 가능한 용어이므로 쿠소게가 아닌 쓰레기 게임 등으로 바꾸는게 맞다는 의견과 이미 고유명사로 굳어진 이상 굳이 바꿀 필요가 없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어쨌든 이런류 게임에 대해서는 쓰레기 게임 문서 참조.
  • 퀘스트: 게임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서 플레이어에게 달성하라고 하는 임무 혹은 행동.
  • 키마: 키보드+마우스의 줄임말.

[]

  • 탱커: 파티원을 대신하여 적군의 공격을 받아주는 역할 혹은 그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
  • 트롤: 아군에게 피해를 주는 행위를 하는 행위.
  • 팀킬: 같은 팀을 죽이는 행위. 트롤의 대표적인 행위라고도 할 수 있다.

[]

  • 파밍: 게임 내에서 아이템을 모으는 행위
  • 파쿠르: 지형 구조물을 넘거나 이동하는 형식의 게임. 야마카시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나 야마카시는 실존하는 파쿠르의 팀 이름으로, 엄밀히 말하면 야마카시라는 표현은 잘못된 것이다.
  • 포트: 게임을 시스템 간에 옮겨서 이식하는 행위. 특히 이전 시스템으로 후퇴하는 경우는 백포트, 다운그레이드 등이라고도 한다. 원작을 만든 회사의 라이선스 허가 없이 포트시킨 경우에는 앞에 해적판(Pirated)이나 부틀렉(Bootleg) 등의 수식어가 붙는다.
  • 폭딜: 게임 내에서 낼 수 있는 최대한의 데미지로 적을 공격하는 행위
  • 프로토타입: 본격적인 제작에 앞서서 제작해보는 원형
  • 프리퀄: 항목 참조.
  • 플러그 앤드 플레이: 별도의 물리적인 설정이 없이 꽂으면(Plug) 바로 이용(Play)할 수 있는 기능
  • 피로도: 게임 플레이 시간이나 횟수가 일정량을 넘어서면 게임 내부에서의 이득이 줄어드는 시스템

[]

  • 하우징: 플레이어가 집을 짓는 콘텐츠
  • 한글패치/한국어패치: 외국어로 되는 게임에 한글을 지원하는 행위
  • 한글화/한국어화: 외국 게임 회사가 개발한 게임의 자막이나 음성이 한글을 지원하는 행위. 이 표현에 대해서 한글화가 맞느냐 한국어화가 맞느냐에 대한 논쟁이 있는데, 이에 대한 국립국어원의 답변은 ~화라는 표현 자체가 부적절하며, 굳이 찾는다면 한국어 번역이 맞다이다.
  • 핵: 게임 내의 해킹 프로그램
  • 헬렙: 게임에서 레벨을 굉장히 올리기 힘든 구간
  • 현질: 게임 내에서 캐쉬 등의 현금 요소를 구매하는 행위
  • 확장팩: 항목 참조.
  • 힐러: 파티원의 체력 회복을 도와주는 역할 혹은 그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

알파벳[]

  • AAA급 게임: 항목 참조
  • co-op(코옵): 2인 이상의 협동 플레이
  • CTD: 충돌로 인해 바탕화면으로 튕겨버리는 현상
  • DLC: 항목 참조.
  • DRM: 항목 참조.
  • ESD: ESD 문서 참조.
  • Mod: Mod 문서 참조.
  • MP: Magic Power의 약어로 마법 등을 이용하는 특수능력을 발동하는데 필요한 개념
  • NPC: 주로 롤플레잉 게임이나 온라인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직접 조종하지 않고 퀘스트 등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캐릭터
  • PK: Player Kill의 줄임말로 다른 플레이어를 줄이는 행위
  • PVE: 플레이어vs환경의 줄임말
  • PVP: 플레이어vs플레이어의 줄임말
  • GG: 유저 용어. 게임이 끝나고 나면 '좋은 게임이였다' '우리가 졌다' 등의 뜻으로 쓰인다.
  • F2P: Free to Play, 즉 부분 유료의 줄임말.
  • HP: Hit points의 약어로 몹이나 플레이어의 체력을 뜻하는 말.

별개의 문서로 분리된 용어 설명 문서들[]

게임 이름/용어 혹은 장르 이름/용어 문서들은 여기에 넣어주세요.

  • 쿠키런/용어

주석[]

<references />

틀:보충 필요틀:좋은글

</text>

     <model>wikitext</model>
     <format>text/x-wiki</format>
   </revision>
   <revision>
     <id>2096</id>
     <parentid>2084</parentid>
     <timestamp>2015-03-15T23:49:19Z</timestamp>
     <contributor>
       <username>MINT</username>
       <id>1</id>
     </contributor>
     <minor/>
     <comment>/* ㅋ */</comment>
     <text xml:space="preserve" bytes="12792">* 본 문서는 비디오 게임의 용어를 다룹니다.
  • Ctrl+F를 눌러서 원하는 단어를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 누락된 단어가 많으니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 특정 게임/장르에서만 쓰는 용어는 되도록 해당 게임 문서 혹은 게임 이름/용어게임 장르/용어 문서 혹은 별개 문서에다가 작성해주세요.(ex.쿠키런/용어)
  • 설명이 충분히 길어져서 1500바이트 이상일 경우 정리 후 별개의 문서로 분리 부탁드리며, 분리 후에는 <nowiki>XX</nowiki>: 해당 문서 참조.의 형식으로 바꿔주세요.
  • 게임과 관련된 인터넷 밈은 이곳에서 서술하지 않습니다.
  • 유저들끼리 사용하는 용어(만렙 등)와 소프트웨어 용어(베이퍼웨어, 더미 데이터 등) 등이 모두 작성 가능합니다.
  • '렉' 등의 게이머들이 아닌 일반인들도 사용하는 용어들 역시 일부 작성이 가능합니다.
  • FPS 게임 등 장르에 관한 내용은 게임 장르 문서에서 서술해주십시오.
  • 아직 문서가 작성되지 않은 용어들에는 되도록 링크를 걸지 말아주세요.

[]

  • 강화: 특정 아이템의 능력치를 강력하게 하는 행위. 인챈트와 비슷하지만 새로운 능력이 추가되지는 않고 기존의 능력이 더 강해진다는 차이점이 있다.
  • 게임성: '작품성'을 게임에 접목한 단어라고 보면 된다.
  • 게임 불감증: 할 게임이 컴퓨터, 게임기 등에 많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할 게임이 없다'라고 생각하게 되는 병(?). 주로 <del>스팀 세일이나 번들 사이트 때문에</del> 게임을 무지막지하게 많이 구매하거나, 불법 복제를 많이 해서 생긴다.
  • 공략: 특정 게임을 플레이하는 방법이나 가이드를 총칭하는 말
  • 길드: 클랜이라고도 부르며, 일정한 목적을 가진 사람들이 모인 게임상의 집단
  • 길막: 플레이어가 길을 막고 있는 행위

[]

  • 나눔: 아이템이나 게임 그 자체를 보상 없이 선물받는 행위

[]

  • 더미 데이터: 더미 데이터 문서 참조.
  • 던전: RPG에서 몬스터가 밀집하여 위치한 지역
  • 데미지 딜러(딜러): 적군에게 최대한 많은 피해를 주는 역할 혹은 그 역할을 담당하는 사람
  • 데모: 영단어로 시연을 뜻하는 Demonstration의 약자로 사용자에게 게임을 체험받는 것을 의미한다.
  • 도전과제: 게임 내에서 일정한 목표를 달성하도록 유도하는 행위. 업적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동시접속자: 동일한 시간대에 게임 내에 접속한 사람의 수

[]

  • 레어템: 레어 아이템의 약어로 희귀한 아이템을 뜻한다.
  • 레이드: 주로 MMORPG에서 혼자서 클리어하기 힘든 컨텐츠를 여럿이서 클리어하는것
  • 레벨: 게임 세계에서의 일종의 등급
  • 룩덕: 자신이 플레이하는 캐릭터의 외관을 꾸미는 행위. 비슷한 용어로는 '룩딸'이 존재하지만 언어 자체가 비속어여서 그런지 룩덕이라는 용어가 더 많이 쓰인다.
  • 리스폰: 특정 몹이나 보스, 캐릭터 등이 죽으면 다시 살아나는 것
  • 리젠: 특정 몹이나 캐릭터의 체력이 시간이 지나면 회복되는 것

[]

  • 만렙: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가지는 레벨의 한계
  • 매크로: 플레이어가 게임을 플레이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캐릭터가 특정 동작을 지속해서 플레이하는 행위. 주로 온라인 게임<ref>특히 AOSRPG</ref>에서 일어나는 현상이지만 다른 게임에서도 사용되기도 하며, 대부분의 게임에서는 이를 금지하고 있다.
  • 메즈: 상대방을 무력화시키는 기술
  • 모드: 모드 문서 참조.
  • 몹: 주로 롤플레잉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제거해야하는 적 캐릭터

[]

  • 바닐라: DLC나 확장팩, 모드, 애드온 등 게임의 추가 요소가 깔려있지 않은 게임
  • 바카게: 바카게 항목 참조.
  • 밸런스: 게임 내 캐릭터와 아이템들의 능력치.
  • 밸런스 붕괴: 밸런스가 조절되지 못하고 특정 아이템과 캐릭터의 능력치가 매우 강한 것
  • 버프: 주로 온라인 게임이나 롤플레잉 게임에서 캐릭터의 능력을 일시적으로 상승시켜주는 행위
  • 베이퍼웨어: 베이퍼웨어 항목 참조.
  • 보스: 주로 게임 맨 마지막에 등장하는 매우 강력한 캐릭터
  • 복돌러: 불법 복제 이용자인 복돌이들을 다르게 부르는 말.
  • 봇: 멀티플레이 게임에서 등장하는 인공지능 플레이어
  • 부분 유료: 부분적으로 유료인 게임. 즉, 진입 자체는 무료이지만 내부에 과금이 포함되어 있거나 DLC를 구매해서 추가 컨텐츠를 즐길 수 있는 게임들을 부분 유료 게임이라고 부른다.
  • 부분 유료화: 유료 게임을 부분 유료로 전환시키는 것. 왜인지 모르지만 부분 유료와 혼동되는데, 다른 개념이다.
  • 불법 복제: 복돌이라고도 부른다. 말 그대로 게임을 불법으로 복제해서 토렌트/웹하드 등에서 다운로드 하는 것인데 이 과정에서 컴퓨터가 바이러스나 비트코인에게 잠식되어 게임 살 몇푼 아끼려다가 컴퓨터가 고인이 되는 일이 자주 일어난다. 음식을 돈 안내고 사먹는 것이 어떻게 하든 정당화가 될 수 없듯이 복돌이 역시 지역 제한이 걸렸거나 판권이 종료된 것이 아니라면 정당화 될 수 없다. #
  • 비라이선스, 비라이선스 게임: 비라이선스 문서 참조.

[]

  • 세이브: 현재 진행 상황을 저장하는 것
  • 스택: 스킬 등의 효과가 중첩되는 것
  • 스탠드 얼론: 항목 참조.
  • 쓰레기 게임: 쓰레기 게임 문서 참조.
  • 시즌패스: 특정 게임을 구매했을때 출시된+출시될 DLC를 모두 소유할 권리

[]

  • 아타리 쇼크: 아타리 쇼크 문서 참조.
  • 악마의 게임: 매우 재미있어서 지속적으로 플레이하게되는 중독성을 가지고 있는 게임.
  • 어밴던웨어: 제작자/제작사가 여러 사유로 공급을 중단한 소프트웨어
  • 액티브 유저: 해당 게임을 실질적으로 지속적으로 플레이하는 유저
  • 오버월드: 오버월드 문서 참조
  • 이스터 에그: 개발자가 장난을 위해서 게임에 메시지나 기능 등을 숨겨놓는 행위나 숨겨둔 것들. 게임 뿐 아니라 영화 등 다른 분야에서도 흔히 찾아볼 수 있다.
  • 인벤토리: 유저들이 소유하고 있는 물건을 보관하는 장소.
  • 인챈트: 무기/방어구/장신구 등의 성능을 업그레이드하는 시스템. 강화와 비슷하지만 주로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는 것을 의미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

  • 자동사냥: 매크로와 같은 뜻으로 사용되나 온라인 게임에 한정되는 단어이다.
  • 자유도: 게임 내에서 플레이어가 플레이를 결정하는데 선택할 수 있는 행위의 정도 혹은 자유로운 플레이가 가능한 정도
  • 정식 발매, 정발: 외국 게임에 대한 라이선스를 얻거나 유통사가 수입을 해서 자국에 발매하는 행위. 물론 외국 회사가 특정 국가에 직접 발매하기도 한다.
  • 정신적 후속작: 정신적 후속작 문서 참조.
  • 주얼~(쥬얼)<ref>주얼CD, 주얼게임, 주얼판 등 부르는 명칭이 많고 통일성이 없어 이렇게 처리</ref>: 패키지 게임에서 제공하는 패키지의 구성품을 모두 제외하고 CD만 유통하는 형태
  • 지역 제한, 지역락, 지역 코드: 지역 제한 문서 참조

[]

  • 치트: 게임의 쉬운 플레이나 다른 플레이어보다 우월한 점수를 내기 위해서 데이터 조작 등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플레이하는 행위. 유명한 치트 코드로는 쇼미더머니코나미 커맨드 등이 존재한다.
  • 채널링: 이미 특정 사이트에서 서비스되는 게임을 다른 사이트에서도 제휴를 맺고 서비스하는 행위

[]

  • 카이팅: 원거리 공격을 하는 캐릭터가 적과 일정 거리를 두고서 적을 공격하는 행위
  • 캐삭: 릭터 제 혹은 제의 줄임말.
  • 쿠소게: 일본어로 똥쓰레기를 뜻하는 쿠소에서 유래된 단어로, 한국어로 번역하면 쓰레기 게임 정도가 될 수 있다. 순화할 언어가 없는 것도 아니고 충분히 대체가 가능한 용어이므로 쿠소게가 아닌 쓰레기 게임 등으로 바꾸는게 맞다는 의견과 이미 고유명사로 굳어진 이상 굳이 바꿀 필요가 없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 퀘스트: 게임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서 플레이어에게 달성하라고 하는 임무 혹은 행동.
  • 키마: 키보드+마우스의 줄임말.

[]

  • 탱커: 파티원을 대신하여 적군의 공격을 받아주는 역할 혹은 그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
  • 트롤: 아군에게 피해를 주는 행위를 하는 행위.
  • 팀킬: 같은 팀을 죽이는 행위. 트롤의 대표적인 행위라고도 할 수 있다.

[]

  • 파밍: 게임 내에서 아이템을 모으는 행위
  • 파쿠르: 지형 구조물을 넘거나 이동하는 형식의 게임. 야마카시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나 야마카시는 실존하는 파쿠르의 팀 이름으로, 엄밀히 말하면 야마카시라는 표현은 잘못된 것이다.
  • 포트: 게임을 시스템 간에 옮겨서 이식하는 행위. 특히 이전 시스템으로 후퇴하는 경우는 백포트, 다운그레이드 등이라고도 한다. 원작을 만든 회사의 라이선스 허가 없이 포트시킨 경우에는 앞에 해적판(Pirated)이나 부틀렉(Bootleg) 등의 수식어가 붙는다.
  • 폭딜: 게임 내에서 낼 수 있는 최대한의 데미지로 적을 공격하는 행위
  • 프로토타입: 본격적인 제작에 앞서서 제작해보는 원형
  • 프리퀄: 항목 참조.
  • 플러그 앤드 플레이: 별도의 물리적인 설정이 없이 꽂으면(Plug) 바로 이용(Play)할 수 있는 기능
  • 피로도: 게임 플레이 시간이나 횟수가 일정량을 넘어서면 게임 내부에서의 이득이 줄어드는 시스템

[]

  • 하우징: 플레이어가 집을 짓는 콘텐츠
  • 한글패치/한국어패치: 외국어로 되는 게임에 한글을 지원하는 행위
  • 한글화/한국어화: 외국 게임 회사가 개발한 게임의 자막이나 음성이 한글을 지원하는 행위. 이 표현에 대해서 한글화가 맞느냐 한국어화가 맞느냐에 대한 논쟁이 있는데, 이에 대한 국립국어원의 답변은 ~화라는 표현 자체가 부적절하며, 굳이 찾는다면 한국어 번역이 맞다이다.
  • 핵: 게임 내의 해킹 프로그램
  • 헬렙: 게임에서 레벨을 굉장히 올리기 힘든 구간
  • 현질: 게임 내에서 캐쉬 등의 현금 요소를 구매하는 행위
  • 확장팩: 항목 참조.
  • 힐러: 파티원의 체력 회복을 도와주는 역할 혹은 그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

알파벳[]

  • AAA급 게임: 항목 참조
  • co-op(코옵): 2인 이상의 협동 플레이
  • CTD: 충돌로 인해 바탕화면으로 튕겨버리는 현상
  • DLC: 항목 참조.
  • DRM: 항목 참조.
  • ESD: ESD 문서 참조.
  • Mod: Mod 문서 참조.
  • MP: Magic Power의 약어로 마법 등을 이용하는 특수능력을 발동하는데 필요한 개념
  • NPC: 주로 롤플레잉 게임이나 온라인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직접 조종하지 않고 퀘스트 등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캐릭터
  • PK: Player Kill의 줄임말로 다른 플레이어를 줄이는 행위
  • PVE: 플레이어vs환경의 줄임말
  • PVP: 플레이어vs플레이어의 줄임말
  • GG: 유저 용어. 게임이 끝나고 나면 '좋은 게임이였다' '우리가 졌다' 등의 뜻으로 쓰인다.
  • F2P: Free to Play, 즉 부분 유료의 줄임말.
  • HP: Hit points의 약어로 몹이나 플레이어의 체력을 뜻하는 말.

별개의 문서로 분리된 용어 설명 문서들[]

게임 이름/용어 혹은 장르 이름/용어 문서들은 여기에 넣어주세요.

  • 쿠키런/용어

주석[]

<references />

틀:보충 필요틀:좋은글

</text>

     <model>wikitext</model>
     <format>text/x-wiki</format>
   </revision>
   <revision>
     <id>2446</id>
     <parentid>2096</parentid>
     <timestamp>2015-03-23T02:49:42Z</timestamp>
     <contributor>
       <username>MINT</username>
       <id>1</id>
     </contributor>
     <minor/>
     <text xml:space="preserve" bytes="12816">* 본 문서는 비디오 게임의 용어를 다룹니다.
  • Ctrl+F를 눌러서 원하는 단어를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 누락된 단어가 많으니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 특정 게임/장르에서만 쓰는 용어는 되도록 해당 게임 문서 혹은 게임 이름/용어게임 장르/용어 문서 혹은 별개 문서에다가 작성해주세요.(ex.쿠키런/용어)
  • 설명이 충분히 길어져서 1500바이트 이상일 경우 정리 후 별개의 문서로 분리 부탁드리며, 분리 후에는 <nowiki>XX</nowiki>: 해당 문서 참조.의 형식으로 바꿔주세요.
  • 게임과 관련된 인터넷 밈은 이곳에서 서술하지 않습니다.
  • 유저들끼리 사용하는 용어(만렙 등)와 소프트웨어 용어(베이퍼웨어, 더미 데이터 등) 등이 모두 작성 가능합니다.
  • '렉' 등의 게이머들이 아닌 일반인들도 사용하는 용어들 역시 일부 작성이 가능합니다.
  • FPS 게임 등 장르에 관한 내용은 게임 장르 문서에서 서술해주십시오.
  • 아직 문서가 작성되지 않은 용어들에는 되도록 링크를 걸지 말아주세요.

[]

  • 강화: 특정 아이템의 능력치를 강력하게 하는 행위. 인챈트와 비슷하지만 새로운 능력이 추가되지는 않고 기존의 능력이 더 강해진다는 차이점이 있다.
  • 게임성: '작품성'을 게임에 접목한 단어라고 보면 된다.
  • 게임 불감증: 할 게임이 컴퓨터, 게임기 등에 많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할 게임이 없다'라고 생각하게 되는 병(?). 주로 <del>스팀 세일이나 번들 사이트 때문에</del> 게임을 무지막지하게 많이 구매하거나, 불법 복제를 많이 해서 생긴다.
  • 공략: 특정 게임을 플레이하는 방법이나 가이드를 총칭하는 말
  • 길드: 클랜이라고도 부르며, 일정한 목적을 가진 사람들이 모인 게임상의 집단
  • 길막: 플레이어가 길을 막고 있는 행위

[]

  • 나눔: 아이템이나 게임 그 자체를 보상 없이 선물받는 행위

[]

  • 더미 데이터: 더미 데이터 문서 참조.
  • 던전: RPG에서 몬스터가 밀집하여 위치한 지역
  • 데미지 딜러(딜러, 딜링): 적군에게 최대한 많은 피해를 주는 역할 혹은 그 역할을 담당하는 사람
  • 데모: 영단어로 시연을 뜻하는 Demonstration의 약자로 사용자에게 게임을 체험받는 것을 의미한다.
  • 도전과제: 게임 내에서 일정한 목표를 달성하도록 유도하는 행위. 업적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동시접속자: 동일한 시간대에 게임 내에 접속한 사람의 수

[]

  • 레어템: 레어 아이템의 약어로 희귀한 아이템을 뜻한다.
  • 레이드: 주로 MMORPG에서 혼자서 클리어하기 힘든 컨텐츠를 여럿이서 클리어하는것
  • 레벨: 게임 세계에서의 일종의 등급
  • 룩덕: 자신이 플레이하는 캐릭터의 외관을 꾸미는 행위. 비슷한 용어로는 '룩딸'이 존재하지만 언어 자체가 비속어여서 그런지 룩덕이라는 용어가 더 많이 쓰인다.
  • 리스폰: 특정 몹이나 보스, 캐릭터 등이 죽으면 다시 살아나는 것
  • 리젠: 특정 몹이나 캐릭터의 체력이 시간이 지나면 회복되는 것

[]

  • 만렙: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가지는 레벨의 한계
  • 매크로: 플레이어가 게임을 플레이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캐릭터가 특정 동작을 지속해서 플레이하는 행위. 주로 온라인 게임<ref>특히 AOSRPG</ref>에서 일어나는 현상이지만 다른 게임에서도 사용되기도 하며, 대부분의 게임에서는 이를 금지하고 있다.
  • 메즈: 상대방을 무력화시키는 기술
  • 모드: 모드 문서 참조.
  • 몹: 주로 롤플레잉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제거해야하는 적 캐릭터

[]

  • 바닐라: DLC나 확장팩, 모드, 애드온 등 게임의 추가 요소가 깔려있지 않은 게임
  • 바카게: 바카게 항목 참조.
  • 밸런스: 게임 내 캐릭터와 아이템들의 능력치.
  • 밸런스 붕괴: 밸런스가 조절되지 못하고 특정 아이템과 캐릭터의 능력치가 매우 강한 것
  • 버프: 주로 온라인 게임이나 롤플레잉 게임에서 캐릭터의 능력을 일시적으로 상승시켜주는 행위
  • 베이퍼웨어: 베이퍼웨어 항목 참조.
  • 보스: 주로 게임 맨 마지막에 등장하는 매우 강력한 캐릭터
  • 복돌러: 불법 복제 이용자인 복돌이들을 다르게 부르는 말.
  • 봇: 멀티플레이 게임에서 등장하는 인공지능 플레이어
  • 부분 유료: 부분적으로 유료인 게임. 즉, 진입 자체는 무료이지만 내부에 과금이 포함되어 있거나 DLC를 구매해서 추가 컨텐츠를 즐길 수 있는 게임들을 부분 유료 게임이라고 부른다.
  • 부분 유료화: 유료 게임을 부분 유료로 전환시키는 것. 왜인지 모르지만 부분 유료와 혼동되는데, 다른 개념이다.
  • 불법 복제: 복돌이라고도 부른다. 말 그대로 게임을 불법으로 복제해서 토렌트/웹하드 등에서 다운로드 하는 것인데 이 과정에서 컴퓨터가 바이러스나 비트코인에게 잠식되어 게임 살 몇푼 아끼려다가 컴퓨터가 고인이 되는 일이 자주 일어난다. 음식을 돈 안내고 사먹는 것이 어떻게 하든 정당화가 될 수 없듯이 복돌이 역시 지역 제한이 걸렸거나 판권이 종료된 것이 아니라면 정당화 될 수 없다. #
  • 비라이선스, 비라이선스 게임: 비라이선스 문서 참조.

[]

  • 세이브: 현재 진행 상황을 저장하는 것
  • 스택: 스킬 등의 효과가 중첩되는 것
  • 스탠드 얼론: 항목 참조.
  • 쓰레기 게임: 쓰레기 게임 문서 참조.
  • 시즌패스: 특정 게임을 구매했을때 출시된+출시될 DLC를 모두 소유할 권리

[]

  • 아타리 쇼크: 아타리 쇼크 문서 참조.
  • 악마의 게임: 매우 재미있어서 지속적으로 플레이하게되는 중독성을 가지고 있는 게임.
  • 어밴던웨어: 제작자/제작사가 여러 사유로 공급을 중단한 소프트웨어
  • 액티브 유저: 해당 게임을 실질적으로 지속적으로 플레이하는 유저
  • 오버월드: 오버월드 문서 참조
  • 이스터 에그: 개발자가 장난을 위해서 게임에 메시지나 기능 등을 숨겨놓는 행위나 숨겨둔 것들. 게임 뿐 아니라 영화 등 다른 분야에서도 흔히 찾아볼 수 있다.
  • 인벤토리: 유저들이 소유하고 있는 물건을 보관하는 장소.
  • 인챈트: 무기/방어구/장신구 등의 성능을 업그레이드하는 시스템. 강화와 비슷하지만 주로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는 것을 의미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

  • 자동사냥: 매크로와 같은 뜻으로 사용되나 온라인 게임에 한정되는 단어이다.
  • 자유도: 게임 내에서 플레이어가 플레이를 결정하는데 선택할 수 있는 행위의 정도 혹은 자유로운 플레이가 가능한 정도
  • 정식 발매, 정발: 외국 게임에 대한 라이선스를 얻거나 유통사가 수입을 해서 자국에 발매하는 행위. 물론 외국 회사가 특정 국가에 직접 발매하기도 한다.
  • 정신적 후속작: 정신적 후속작 문서 참조.
  • 주얼~(쥬얼)<ref>주얼CD, 주얼게임, 주얼판 등 부르는 명칭이 많고 통일성이 없어 이렇게 처리</ref>: 패키지 게임에서 제공하는 패키지의 구성품을 모두 제외하고 CD만 유통하는 형태
  • 지역 제한, 지역락, 지역 코드: 지역 제한 문서 참조

[]

  • 치트: 게임의 쉬운 플레이나 다른 플레이어보다 우월한 점수를 내기 위해서 데이터 조작 등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플레이하는 행위. 유명한 치트 코드로는 쇼미더머니코나미 커맨드 등이 존재한다.
  • 채널링: 이미 특정 사이트에서 서비스되는 게임을 다른 사이트에서도 제휴를 맺고 서비스하는 행위

[]

  • 카이팅: 원거리 공격을 하는 캐릭터가 적과 일정 거리를 두고서 적을 공격하는 행위
  • 캐삭: 릭터 제 혹은 제의 줄임말.
  • 쿠소게: 일본어로 똥쓰레기를 뜻하는 쿠소에서 유래된 단어로, 한국어로 번역하면 쓰레기 게임 정도가 될 수 있다. 순화할 언어가 없는 것도 아니고 충분히 대체가 가능한 용어이므로 쿠소게가 아닌 쓰레기 게임 등으로 바꾸는게 맞다는 의견과 이미 고유명사로 굳어진 이상 굳이 바꿀 필요가 없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 퀘스트: 게임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서 플레이어에게 달성하라고 하는 임무 혹은 행동.
  • 키마: 키보드+마우스의 줄임말.

[]

  • 탱커(탱킹): 파티원을 대신하여 적군의 공격을 받아주는 역할 혹은 그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
  • 트롤: 아군에게 피해를 주는 행위를 하는 행위.
  • 팀킬: 같은 팀을 죽이는 행위. 트롤의 대표적인 행위라고도 할 수 있다.

[]

  • 파밍: 게임 내에서 아이템을 모으는 행위
  • 파쿠르: 지형 구조물을 넘거나 이동하는 형식의 게임. 야마카시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나 야마카시는 실존하는 파쿠르의 팀 이름으로, 엄밀히 말하면 야마카시라는 표현은 잘못된 것이다.
  • 포트: 게임을 시스템 간에 옮겨서 이식하는 행위. 특히 이전 시스템으로 후퇴하는 경우는 백포트, 다운그레이드 등이라고도 한다. 원작을 만든 회사의 라이선스 허가 없이 포트시킨 경우에는 앞에 해적판(Pirated)이나 부틀렉(Bootleg) 등의 수식어가 붙는다.
  • 폭딜: 게임 내에서 낼 수 있는 최대한의 데미지로 적을 공격하는 행위
  • 프로토타입: 본격적인 제작에 앞서서 제작해보는 원형
  • 프리퀄: 항목 참조.
  • 플러그 앤드 플레이: 별도의 물리적인 설정이 없이 꽂으면(Plug) 바로 이용(Play)할 수 있는 기능
  • 피로도: 게임 플레이 시간이나 횟수가 일정량을 넘어서면 게임 내부에서의 이득이 줄어드는 시스템

[]

  • 하우징: 플레이어가 집을 짓는 콘텐츠
  • 한글패치/한국어패치: 외국어로 되는 게임에 한글을 지원하는 행위
  • 한글화/한국어화: 외국 게임 회사가 개발한 게임의 자막이나 음성이 한글을 지원하는 행위. 이 표현에 대해서 한글화가 맞느냐 한국어화가 맞느냐에 대한 논쟁이 있는데, 이에 대한 국립국어원의 답변은 ~화라는 표현 자체가 부적절하며, 굳이 찾는다면 한국어 번역이 맞다이다.
  • 핵: 게임 내의 해킹 프로그램
  • 헬렙: 게임에서 레벨을 굉장히 올리기 힘든 구간
  • 현질: 게임 내에서 캐쉬 등의 현금 요소를 구매하는 행위
  • 확장팩: 항목 참조.
  • 힐러(힐링): 파티원의 체력 회복을 도와주는 역할 혹은 그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

알파벳[]

  • AAA급 게임: 항목 참조
  • co-op(코옵): 2인 이상의 협동 플레이
  • CTD: 충돌로 인해 바탕화면으로 튕겨버리는 현상
  • DLC: 항목 참조.
  • DRM: 항목 참조.
  • ESD: ESD 문서 참조.
  • Mod: Mod 문서 참조.
  • MP: Magic Power의 약어로 마법 등을 이용하는 특수능력을 발동하는데 필요한 개념
  • NPC: 주로 롤플레잉 게임이나 온라인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직접 조종하지 않고 퀘스트 등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캐릭터
  • PK: Player Kill의 줄임말로 다른 플레이어를 줄이는 행위
  • PVE: 플레이어vs환경의 줄임말
  • PVP: 플레이어vs플레이어의 줄임말
  • GG: 유저 용어. 게임이 끝나고 나면 '좋은 게임이였다' '우리가 졌다' 등의 뜻으로 쓰인다.
  • F2P: Free to Play, 즉 부분 유료의 줄임말.
  • HP: Hit points의 약어로 몹이나 플레이어의 체력을 뜻하는 말.

별개의 문서로 분리된 용어 설명 문서들[]

게임 이름/용어 혹은 장르 이름/용어 문서들은 여기에 넣어주세요.

  • 쿠키런/용어

주석[]

<references />

틀:보충 필요틀:좋은글

</text>

     <model>wikitext</model>
     <format>text/x-wiki</format>
   </revision>
   <revision>
     <id>2448</id>
     <parentid>2446</parentid>
     <timestamp>2015-03-23T03:04:16Z</timestamp>
     <contributor>
       <username>MINT</username>
       <id>1</id>
     </contributor>
     <comment>/* ㅅ */</comment>
     <text xml:space="preserve" bytes="13019">* 본 문서는 비디오 게임의 용어를 다룹니다.
  • Ctrl+F를 눌러서 원하는 단어를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 누락된 단어가 많으니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 특정 게임/장르에서만 쓰는 용어는 되도록 해당 게임 문서 혹은 게임 이름/용어게임 장르/용어 문서 혹은 별개 문서에다가 작성해주세요.(ex.쿠키런/용어)
  • 설명이 충분히 길어져서 1500바이트 이상일 경우 정리 후 별개의 문서로 분리 부탁드리며, 분리 후에는 <nowiki>XX</nowiki>: 해당 문서 참조.의 형식으로 바꿔주세요.
  • 게임과 관련된 인터넷 밈은 이곳에서 서술하지 않습니다.
  • 유저들끼리 사용하는 용어(만렙 등)와 소프트웨어 용어(베이퍼웨어, 더미 데이터 등) 등이 모두 작성 가능합니다.
  • '렉' 등의 게이머들이 아닌 일반인들도 사용하는 용어들 역시 일부 작성이 가능합니다.
  • FPS 게임 등 장르에 관한 내용은 게임 장르 문서에서 서술해주십시오.
  • 아직 문서가 작성되지 않은 용어들에는 되도록 링크를 걸지 말아주세요.

[]

  • 강화: 특정 아이템의 능력치를 강력하게 하는 행위. 인챈트와 비슷하지만 새로운 능력이 추가되지는 않고 기존의 능력이 더 강해진다는 차이점이 있다.
  • 게임성: '작품성'을 게임에 접목한 단어라고 보면 된다.
  • 게임 불감증: 할 게임이 컴퓨터, 게임기 등에 많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할 게임이 없다'라고 생각하게 되는 병(?). 주로 <del>스팀 세일이나 번들 사이트 때문에</del> 게임을 무지막지하게 많이 구매하거나, 불법 복제를 많이 해서 생긴다.
  • 공략: 특정 게임을 플레이하는 방법이나 가이드를 총칭하는 말
  • 길드: 클랜이라고도 부르며, 일정한 목적을 가진 사람들이 모인 게임상의 집단
  • 길막: 플레이어가 길을 막고 있는 행위

[]

  • 나눔: 아이템이나 게임 그 자체를 보상 없이 선물받는 행위

[]

  • 더미 데이터: 더미 데이터 문서 참조.
  • 던전: RPG에서 몬스터가 밀집하여 위치한 지역
  • 데미지 딜러(딜러, 딜링): 적군에게 최대한 많은 피해를 주는 역할 혹은 그 역할을 담당하는 사람
  • 데모: 영단어로 시연을 뜻하는 Demonstration의 약자로 사용자에게 게임을 체험받는 것을 의미한다.
  • 도전과제: 게임 내에서 일정한 목표를 달성하도록 유도하는 행위. 업적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동시접속자: 동일한 시간대에 게임 내에 접속한 사람의 수

[]

  • 레어템: 레어 아이템의 약어로 희귀한 아이템을 뜻한다.
  • 레이드: 주로 MMORPG에서 혼자서 클리어하기 힘든 컨텐츠를 여럿이서 클리어하는것
  • 레벨: 게임 세계에서의 일종의 등급
  • 룩덕: 자신이 플레이하는 캐릭터의 외관을 꾸미는 행위. 비슷한 용어로는 '룩딸'이 존재하지만 언어 자체가 비속어여서 그런지 룩덕이라는 용어가 더 많이 쓰인다.
  • 리스폰: 특정 몹이나 보스, 캐릭터 등이 죽으면 다시 살아나는 것
  • 리젠: 특정 몹이나 캐릭터의 체력이 시간이 지나면 회복되는 것

[]

  • 만렙: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가지는 레벨의 한계
  • 매크로: 플레이어가 게임을 플레이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캐릭터가 특정 동작을 지속해서 플레이하는 행위. 주로 온라인 게임<ref>특히 AOSRPG</ref>에서 일어나는 현상이지만 다른 게임에서도 사용되기도 하며, 대부분의 게임에서는 이를 금지하고 있다.
  • 메즈: 상대방을 무력화시키는 기술
  • 모드: 모드 문서 참조.
  • 몹: 주로 롤플레잉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제거해야하는 적 캐릭터

[]

  • 바닐라: DLC나 확장팩, 모드, 애드온 등 게임의 추가 요소가 깔려있지 않은 게임
  • 바카게: 바카게 항목 참조.
  • 밸런스: 게임 내 캐릭터와 아이템들의 능력치.
  • 밸런스 붕괴: 밸런스가 조절되지 못하고 특정 아이템과 캐릭터의 능력치가 매우 강한 것
  • 버프: 주로 온라인 게임이나 롤플레잉 게임에서 캐릭터의 능력을 일시적으로 상승시켜주는 행위
  • 베이퍼웨어: 베이퍼웨어 항목 참조.
  • 보스: 주로 게임 맨 마지막에 등장하는 매우 강력한 캐릭터
  • 복돌러: 불법 복제 이용자인 복돌이들을 다르게 부르는 말.
  • 봇: 멀티플레이 게임에서 등장하는 인공지능 플레이어
  • 부분 유료: 부분적으로 유료인 게임. 즉, 진입 자체는 무료이지만 내부에 과금이 포함되어 있거나 DLC를 구매해서 추가 컨텐츠를 즐길 수 있는 게임들을 부분 유료 게임이라고 부른다.
  • 부분 유료화: 유료 게임을 부분 유료로 전환시키는 것. 왜인지 모르지만 부분 유료와 혼동되는데, 다른 개념이다.
  • 불법 복제: 복돌이라고도 부른다. 말 그대로 게임을 불법으로 복제해서 토렌트/웹하드 등에서 다운로드 하는 것인데 이 과정에서 컴퓨터가 바이러스나 비트코인에게 잠식되어 게임 살 몇푼 아끼려다가 컴퓨터가 고인이 되는 일이 자주 일어난다. 음식을 돈 안내고 사먹는 것이 어떻게 하든 정당화가 될 수 없듯이 복돌이 역시 지역 제한이 걸렸거나 판권이 종료된 것이 아니라면 정당화 될 수 없다. #
  • 비라이선스, 비라이선스 게임: 비라이선스 문서 참조.

[]

  • 샌드박스: 게임에서 자유도를 극대화시킨 모드. 주로 뭔가를 건설하는 모드가 대다수이며, 이것만 집중적으로 부각시킨 게임이 샌드박스 게임이다.
  • 세이브: 현재 진행 상황을 저장하는 것
  • 스택: 스킬 등의 효과가 중첩되는 것
  • 스탠드 얼론: 항목 참조.
  • 쓰레기 게임: 쓰레기 게임 문서 참조.
  • 시즌패스: 특정 게임을 구매했을때 출시된+출시될 DLC를 모두 소유할 권리

[]

  • 아타리 쇼크: 아타리 쇼크 문서 참조.
  • 악마의 게임: 매우 재미있어서 지속적으로 플레이하게되는 중독성을 가지고 있는 게임.
  • 어밴던웨어: 제작자/제작사가 여러 사유로 공급을 중단한 소프트웨어
  • 액티브 유저: 해당 게임을 실질적으로 지속적으로 플레이하는 유저
  • 오버월드: 오버월드 문서 참조
  • 이스터 에그: 개발자가 장난을 위해서 게임에 메시지나 기능 등을 숨겨놓는 행위나 숨겨둔 것들. 게임 뿐 아니라 영화 등 다른 분야에서도 흔히 찾아볼 수 있다.
  • 인벤토리: 유저들이 소유하고 있는 물건을 보관하는 장소.
  • 인챈트: 무기/방어구/장신구 등의 성능을 업그레이드하는 시스템. 강화와 비슷하지만 주로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는 것을 의미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

  • 자동사냥: 매크로와 같은 뜻으로 사용되나 온라인 게임에 한정되는 단어이다.
  • 자유도: 게임 내에서 플레이어가 플레이를 결정하는데 선택할 수 있는 행위의 정도 혹은 자유로운 플레이가 가능한 정도
  • 정식 발매, 정발: 외국 게임에 대한 라이선스를 얻거나 유통사가 수입을 해서 자국에 발매하는 행위. 물론 외국 회사가 특정 국가에 직접 발매하기도 한다.
  • 정신적 후속작: 정신적 후속작 문서 참조.
  • 주얼~(쥬얼)<ref>주얼CD, 주얼게임, 주얼판 등 부르는 명칭이 많고 통일성이 없어 이렇게 처리</ref>: 패키지 게임에서 제공하는 패키지의 구성품을 모두 제외하고 CD만 유통하는 형태
  • 지역 제한, 지역락, 지역 코드: 지역 제한 문서 참조

[]

  • 치트: 게임의 쉬운 플레이나 다른 플레이어보다 우월한 점수를 내기 위해서 데이터 조작 등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플레이하는 행위. 유명한 치트 코드로는 쇼미더머니코나미 커맨드 등이 존재한다.
  • 채널링: 이미 특정 사이트에서 서비스되는 게임을 다른 사이트에서도 제휴를 맺고 서비스하는 행위

[]

  • 카이팅: 원거리 공격을 하는 캐릭터가 적과 일정 거리를 두고서 적을 공격하는 행위
  • 캐삭: 릭터 제 혹은 제의 줄임말.
  • 쿠소게: 일본어로 똥쓰레기를 뜻하는 쿠소에서 유래된 단어로, 한국어로 번역하면 쓰레기 게임 정도가 될 수 있다. 순화할 언어가 없는 것도 아니고 충분히 대체가 가능한 용어이므로 쿠소게가 아닌 쓰레기 게임 등으로 바꾸는게 맞다는 의견과 이미 고유명사로 굳어진 이상 굳이 바꿀 필요가 없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 퀘스트: 게임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서 플레이어에게 달성하라고 하는 임무 혹은 행동.
  • 키마: 키보드+마우스의 줄임말.

[]

  • 탱커(탱킹): 파티원을 대신하여 적군의 공격을 받아주는 역할 혹은 그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
  • 트롤: 아군에게 피해를 주는 행위를 하는 행위.
  • 팀킬: 같은 팀을 죽이는 행위. 트롤의 대표적인 행위라고도 할 수 있다.

[]

  • 파밍: 게임 내에서 아이템을 모으는 행위
  • 파쿠르: 지형 구조물을 넘거나 이동하는 형식의 게임. 야마카시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나 야마카시는 실존하는 파쿠르의 팀 이름으로, 엄밀히 말하면 야마카시라는 표현은 잘못된 것이다.
  • 포트: 게임을 시스템 간에 옮겨서 이식하는 행위. 특히 이전 시스템으로 후퇴하는 경우는 백포트, 다운그레이드 등이라고도 한다. 원작을 만든 회사의 라이선스 허가 없이 포트시킨 경우에는 앞에 해적판(Pirated)이나 부틀렉(Bootleg) 등의 수식어가 붙는다.
  • 폭딜: 게임 내에서 낼 수 있는 최대한의 데미지로 적을 공격하는 행위
  • 프로토타입: 본격적인 제작에 앞서서 제작해보는 원형
  • 프리퀄: 항목 참조.
  • 플러그 앤드 플레이: 별도의 물리적인 설정이 없이 꽂으면(Plug) 바로 이용(Play)할 수 있는 기능
  • 피로도: 게임 플레이 시간이나 횟수가 일정량을 넘어서면 게임 내부에서의 이득이 줄어드는 시스템

[]

  • 하우징: 플레이어가 집을 짓는 콘텐츠
  • 한글패치/한국어패치: 외국어로 되는 게임에 한글을 지원하는 행위
  • 한글화/한국어화: 외국 게임 회사가 개발한 게임의 자막이나 음성이 한글을 지원하는 행위. 이 표현에 대해서 한글화가 맞느냐 한국어화가 맞느냐에 대한 논쟁이 있는데, 이에 대한 국립국어원의 답변은 ~화라는 표현 자체가 부적절하며, 굳이 찾는다면 한국어 번역이 맞다이다.
  • 핵: 게임 내의 해킹 프로그램
  • 헬렙: 게임에서 레벨을 굉장히 올리기 힘든 구간
  • 현질: 게임 내에서 캐쉬 등의 현금 요소를 구매하는 행위
  • 확장팩: 항목 참조.
  • 힐러(힐링): 파티원의 체력 회복을 도와주는 역할 혹은 그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

알파벳[]

  • AAA급 게임: 항목 참조
  • co-op(코옵): 2인 이상의 협동 플레이
  • CTD: 충돌로 인해 바탕화면으로 튕겨버리는 현상
  • DLC: 항목 참조.
  • DRM: 항목 참조.
  • ESD: ESD 문서 참조.
  • Mod: Mod 문서 참조.
  • MP: Magic Power의 약어로 마법 등을 이용하는 특수능력을 발동하는데 필요한 개념
  • NPC: 주로 롤플레잉 게임이나 온라인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직접 조종하지 않고 퀘스트 등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캐릭터
  • PK: Player Kill의 줄임말로 다른 플레이어를 줄이는 행위
  • PVE: 플레이어vs환경의 줄임말
  • PVP: 플레이어vs플레이어의 줄임말
  • GG: 유저 용어. 게임이 끝나고 나면 '좋은 게임이였다' '우리가 졌다' 등의 뜻으로 쓰인다.
  • F2P: Free to Play, 즉 부분 유료의 줄임말.
  • HP: Hit points의 약어로 몹이나 플레이어의 체력을 뜻하는 말.

별개의 문서로 분리된 용어 설명 문서들[]

게임 이름/용어 혹은 장르 이름/용어 문서들은 여기에 넣어주세요.

  • 쿠키런/용어

주석[]

<references />

틀:보충 필요틀:좋은글

</text>

     <model>wikitext</model>
     <format>text/x-wiki</format>
   </revision>
   <revision>
     <id>2561</id>
     <parentid>2448</parentid>
     <timestamp>2015-03-30T07:30:04Z</timestamp>
     <contributor>
       <username>MINT</username>
       <id>1</id>
     </contributor>
     <text xml:space="preserve" bytes="13245">* 본 문서는 비디오 게임의 용어를 다룹니다.
  • Ctrl+F를 눌러서 원하는 단어를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 누락된 단어가 많으니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 특정 게임/장르에서만 쓰는 용어는 되도록 해당 게임 문서 혹은 게임 이름/용어게임 장르/용어 문서 혹은 별개 문서에다가 작성해주세요.(ex.쿠키런/용어)
  • 설명이 충분히 길어져서 1500바이트 이상일 경우 정리 후 별개의 문서로 분리 부탁드리며, 분리 후에는 <nowiki>XX</nowiki>: 해당 문서 참조.의 형식으로 바꿔주세요.
  • 게임과 관련된 인터넷 밈은 이곳에서 서술하지 않습니다.
  • 유저들끼리 사용하는 용어(만렙 등)와 소프트웨어 용어(베이퍼웨어, 더미 데이터 등) 등이 모두 작성 가능합니다.
  • '렉' 등의 게이머들이 아닌 일반인들도 사용하는 용어들 역시 일부 작성이 가능합니다.
  • FPS 게임 등 장르에 관한 내용은 게임 장르 문서에서 서술해주십시오.
  • 아직 문서가 작성되지 않은 용어들에는 되도록 링크를 걸지 말아주세요.

[]

  • 강화: 특정 아이템의 능력치를 강력하게 하는 행위. 인챈트와 비슷하지만 새로운 능력이 추가되지는 않고 기존의 능력이 더 강해진다는 차이점이 있다.
  • 게임성: '작품성'을 게임에 접목한 단어라고 보면 된다.
  • 게임 불감증: 할 게임이 컴퓨터, 게임기 등에 많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할 게임이 없다'라고 생각하게 되는 병(?). 주로 <del>스팀 세일이나 번들 사이트 때문에</del> 게임을 무지막지하게 많이 구매하거나, 불법 복제를 많이 해서 생긴다.
  • 공략: 특정 게임을 플레이하는 방법이나 가이드를 총칭하는 말
  • 길드: 클랜이라고도 부르며, 일정한 목적을 가진 사람들이 모인 게임상의 집단
  • 길막: 플레이어가 길을 막고 있는 행위

[]

  • 나눔: 아이템이나 게임 그 자체를 보상 없이 선물받는 행위

[]

  • 더미 데이터: 더미 데이터 문서 참조.
  • 던전: RPG에서 몬스터가 밀집하여 위치한 지역
  • 데미지 딜러(딜러, 딜링): 적군에게 최대한 많은 피해를 주는 역할 혹은 그 역할을 담당하는 사람
  • 데모: 영단어로 시연을 뜻하는 Demonstration의 약자로 사용자에게 게임을 체험받는 것을 의미한다.
  • 도전과제: 게임 내에서 일정한 목표를 달성하도록 유도하는 행위. 업적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동시접속자: 동일한 시간대에 게임 내에 접속한 사람의 수

[]

  • 레어템: 레어 아이템의 약어로 희귀한 아이템을 뜻한다.
  • 레이드: 주로 MMORPG에서 혼자서 클리어하기 힘든 컨텐츠를 여럿이서 클리어하는것
  • 레벨: 게임 세계에서의 일종의 등급
  • 룩덕: 자신이 플레이하는 캐릭터의 외관을 꾸미는 행위. 비슷한 용어로는 '룩딸'이 존재하지만 언어 자체가 비속어여서 그런지 룩덕이라는 용어가 더 많이 쓰인다.
  • 리셀러: 번역하면 되팔이 정도. CD키를 구매해서 유저들에게 다시 파는것을 말한다.
  • 리스폰: 특정 몹이나 보스, 캐릭터 등이 죽으면 다시 살아나는 것
  • 리젠: 특정 몹이나 캐릭터의 체력이 시간이 지나면 회복되는 것

[]

  • 만렙: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가지는 레벨의 한계
  • 매크로: 플레이어가 게임을 플레이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캐릭터가 특정 동작을 지속해서 플레이하는 행위. 주로 온라인 게임<ref>특히 AOSRPG</ref>에서 일어나는 현상이지만 다른 게임에서도 사용되기도 하며, 대부분의 게임에서는 이를 금지하고 있다.
  • 메즈: 상대방을 무력화시키는 기술
  • 모드: 모드 문서 참조.
  • 몹: 주로 롤플레잉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제거해야하는 적 캐릭터

[]

  • 바닐라: DLC나 확장팩, 모드, 애드온 등 게임의 추가 요소가 깔려있지 않은 게임
  • 바카게: 바카게 항목 참조.
  • 밸런스: 게임 내 캐릭터와 아이템들의 능력치.
  • 밸런스 붕괴: 밸런스가 조절되지 못하고 특정 아이템과 캐릭터의 능력치가 매우 강한 것
  • 버프: 주로 온라인 게임이나 롤플레잉 게임에서 캐릭터의 능력을 일시적으로 상승시켜주는 행위
  • 베이퍼웨어: 베이퍼웨어 항목 참조.
  • 보스: 주로 게임 맨 마지막에 등장하는 매우 강력한 캐릭터
  • 복돌러: 불법 복제 이용자인 복돌이들을 다르게 부르는 말.
  • 봇: 멀티플레이 게임에서 등장하는 인공지능 플레이어
  • 부분 유료: 부분적으로 유료인 게임. 즉, 진입 자체는 무료이지만 내부에 과금이 포함되어 있거나 DLC를 구매해서 추가 컨텐츠를 즐길 수 있는 게임들을 부분 유료 게임이라고 부른다.
  • 부분 유료화: 유료 게임을 부분 유료로 전환시키는 것. 왜인지 모르지만 부분 유료와 혼동되는데, 다른 개념이다.
  • 불법 복제: 복돌이라고도 부른다. 말 그대로 게임을 불법으로 복제해서 토렌트/웹하드 등에서 다운로드 하는 것인데 이 과정에서 컴퓨터가 바이러스나 비트코인에게 잠식되어 게임 살 몇푼 아끼려다가 컴퓨터가 고인이 되는 일이 자주 일어난다. 음식을 돈 안내고 사먹는 것이 어떻게 하든 정당화가 될 수 없듯이 복돌이 역시 지역 제한이 걸렸거나 판권이 종료된 것이 아니라면 정당화 될 수 없다. #
  • 비라이선스, 비라이선스 게임: 비라이선스 문서 참조.

[]

  • 샌드박스: 게임에서 자유도를 극대화시킨 모드. 주로 뭔가를 건설하는 모드가 대다수이며, 이것만 집중적으로 부각시킨 게임이 샌드박스 게임이다.
  • 세이브: 현재 진행 상황을 저장하는 것
  • 스택: 스킬 등의 효과가 중첩되는 것
  • 스탠드 얼론: 항목 참조.
  • 쓰레기 게임: 쓰레기 게임 문서 참조.
  • 시즌패스: 특정 게임을 구매했을때 출시된+출시될 DLC를 모두 소유할 권리

[]

  • 아타리 쇼크: 아타리 쇼크 문서 참조.
  • 악마의 게임: 매우 재미있어서 지속적으로 플레이하게되는 중독성을 가지고 있는 게임.
  • 어밴던웨어: 제작자/제작사가 여러 사유로 공급을 중단한 소프트웨어
  • 액티브 유저: 해당 게임을 실질적으로 지속적으로 플레이하는 유저
  • 오버월드: 오버월드 문서 참조
  • 이스터 에그: 개발자가 장난을 위해서 게임에 메시지나 기능 등을 숨겨놓는 행위나 숨겨둔 것들. 게임 뿐 아니라 영화 등 다른 분야에서도 흔히 찾아볼 수 있다.
  • 인벤토리: 유저들이 소유하고 있는 물건을 보관하는 장소.
  • 인챈트: 무기/방어구/장신구 등의 성능을 업그레이드하는 시스템. 강화와 비슷하지만 주로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는 것을 의미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

  • 자동사냥: 매크로와 같은 뜻으로 사용되나 온라인 게임에 한정되는 단어이다.
  • 자유도: 게임 내에서 플레이어가 플레이를 결정하는데 선택할 수 있는 행위의 정도 혹은 자유로운 플레이가 가능한 정도
  • 정식 발매, 정발: 외국 게임에 대한 라이선스를 얻거나 유통사가 수입을 해서 자국에 발매하는 행위. 물론 외국 회사가 특정 국가에 직접 발매하기도 한다.
  • 정신적 후속작: 정신적 후속작 문서 참조.
  • 주얼~(쥬얼)<ref>주얼CD, 주얼게임, 주얼판 등 부르는 명칭이 많고 통일성이 없어 이렇게 처리</ref>: 패키지 게임에서 제공하는 패키지의 구성품을 모두 제외하고 CD만 유통하는 형태
  • 지역 제한, 지역락, 지역 코드: 지역 제한 문서 참조

[]

  • 치트: 게임의 쉬운 플레이나 다른 플레이어보다 우월한 점수를 내기 위해서 데이터 조작 등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플레이하는 행위. 유명한 치트 코드로는 쇼미더머니코나미 커맨드 등이 존재한다.
  • 채널링: 이미 특정 사이트에서 서비스되는 게임을 다른 사이트에서도 제휴를 맺고 서비스하는 행위

[]

  • 카이팅: 원거리 공격을 하는 캐릭터가 적과 일정 거리를 두고서 적을 공격하는 행위
  • 캐삭: 릭터 제 혹은 제의 줄임말.
  • 쿠소게: 일본어로 똥쓰레기를 뜻하는 쿠소에서 유래된 단어로, 한국어로 번역하면 쓰레기 게임 정도가 될 수 있다. 순화할 언어가 없는 것도 아니고 충분히 대체가 가능한 용어이므로 쿠소게가 아닌 쓰레기 게임 등으로 바꾸는게 맞다는 의견과 이미 고유명사로 굳어진 이상 굳이 바꿀 필요가 없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 퀘스트: 게임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서 플레이어에게 달성하라고 하는 임무 혹은 행동.
  • 키마: 키보드+마우스의 줄임말.
  • 키셀러: CD키를 공식적으로 판매하는 사이트를 말하는말로, ESD와 비슷한 뜻이다.

[]

  • 탱커(탱킹): 파티원을 대신하여 적군의 공격을 받아주는 역할 혹은 그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
  • 트롤: 아군에게 피해를 주는 행위를 하는 행위.
  • 팀킬: 같은 팀을 죽이는 행위. 트롤의 대표적인 행위라고도 할 수 있다.

[]

  • 파밍: 게임 내에서 아이템을 모으는 행위
  • 파쿠르: 지형 구조물을 넘거나 이동하는 형식의 게임. 야마카시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나 야마카시는 실존하는 파쿠르의 팀 이름으로, 엄밀히 말하면 야마카시라는 표현은 잘못된 것이다.
  • 포트: 게임을 시스템 간에 옮겨서 이식하는 행위. 특히 이전 시스템으로 후퇴하는 경우는 백포트, 다운그레이드 등이라고도 한다. 원작을 만든 회사의 라이선스 허가 없이 포트시킨 경우에는 앞에 해적판(Pirated)이나 부틀렉(Bootleg) 등의 수식어가 붙는다.
  • 폭딜: 게임 내에서 낼 수 있는 최대한의 데미지로 적을 공격하는 행위
  • 프로토타입: 본격적인 제작에 앞서서 제작해보는 원형
  • 프리퀄: 항목 참조.
  • 플러그 앤드 플레이: 별도의 물리적인 설정이 없이 꽂으면(Plug) 바로 이용(Play)할 수 있는 기능
  • 피로도: 게임 플레이 시간이나 횟수가 일정량을 넘어서면 게임 내부에서의 이득이 줄어드는 시스템

[]

  • 하우징: 플레이어가 집을 짓는 콘텐츠
  • 한글패치/한국어패치: 외국어로 되는 게임에 한글을 지원하는 행위
  • 한글화/한국어화: 외국 게임 회사가 개발한 게임의 자막이나 음성이 한글을 지원하는 행위. 이 표현에 대해서 한글화가 맞느냐 한국어화가 맞느냐에 대한 논쟁이 있는데, 이에 대한 국립국어원의 답변은 ~화라는 표현 자체가 부적절하며, 굳이 찾는다면 한국어 번역이 맞다이다.
  • 핵: 게임 내의 해킹 프로그램
  • 헬렙: 게임에서 레벨을 굉장히 올리기 힘든 구간
  • 현질: 게임 내에서 캐쉬 등의 현금 요소를 구매하는 행위
  • 확장팩: 항목 참조.
  • 힐러(힐링): 파티원의 체력 회복을 도와주는 역할 혹은 그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

알파벳[]

  • AAA급 게임: 항목 참조
  • co-op(코옵): 2인 이상의 협동 플레이
  • CTD: 충돌로 인해 바탕화면으로 튕겨버리는 현상
  • DLC: 항목 참조.
  • DRM: 항목 참조.
  • ESD: ESD 문서 참조.
  • Mod: Mod 문서 참조.
  • MP: Magic Power의 약어로 마법 등을 이용하는 특수능력을 발동하는데 필요한 개념
  • NPC: 주로 롤플레잉 게임이나 온라인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직접 조종하지 않고 퀘스트 등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캐릭터
  • PK: Player Kill의 줄임말로 다른 플레이어를 줄이는 행위
  • PVE: 플레이어vs환경의 줄임말
  • PVP: 플레이어vs플레이어의 줄임말
  • GG: 유저 용어. 게임이 끝나고 나면 '좋은 게임이였다' '우리가 졌다' 등의 뜻으로 쓰인다.
  • F2P: Free to Play, 즉 부분 유료의 줄임말.
  • HP: Hit points의 약어로 몹이나 플레이어의 체력을 뜻하는 말.

별개의 문서로 분리된 용어 설명 문서들[]

게임 이름/용어 혹은 장르 이름/용어 문서들은 여기에 넣어주세요.

  • 쿠키런/용어

주석[]

<references />

틀:보충 필요틀:좋은글

</text>

     <model>wikitext</model>
     <format>text/x-wiki</format>
   </revision>
   <revision>
     <id>2962</id>
     <parentid>2561</parentid>
     <timestamp>2015-04-18T11:22:39Z</timestamp>
     <contributor>
       <username>MINT</username>
       <id>1</id>
     </contributor>
     <minor/>
     <text xml:space="preserve" bytes="12908">* 본 문서는 비디오 게임의 용어를 다룹니다.
  • Ctrl+F를 눌러서 원하는 단어를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 누락된 단어가 많으니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 특정 게임/장르에서만 쓰는 용어는 되도록 해당 게임 문서 혹은 게임 이름/용어게임 장르/용어 문서 혹은 별개 문서에다가 작성해주세요.(ex.쿠키런/용어)
  • 설명이 충분히 길어져서 1500바이트 이상일 경우 정리 후 별개의 문서로 분리 부탁드리며, 분리 후에는 <nowiki>XX</nowiki>: 해당 문서 참조.의 형식으로 바꿔주세요.
  • 게임과 관련된 인터넷 밈은 이곳에서 서술하지 않습니다.
  • 유저들끼리 사용하는 용어(만렙 등)와 소프트웨어 용어(베이퍼웨어, 더미 데이터 등) 등이 모두 작성 가능합니다.
  • '렉' 등의 게이머들이 아닌 일반인들도 사용하는 용어들 역시 일부 작성이 가능합니다.
  • FPS 게임 등 장르에 관한 내용은 게임 장르 문서에서 서술해주십시오.
  • 아직 문서가 작성되지 않은 용어들에는 되도록 링크를 걸지 말아주세요.

[]

  • 강화: 특정 아이템의 능력치를 강력하게 하는 행위. 인챈트와 비슷하지만 새로운 능력이 추가되지는 않고 기존의 능력이 더 강해진다는 차이점이 있다.
  • 게임성: '작품성'을 게임에 접목한 단어라고 보면 된다.
  • 게임 불감증: 할 게임이 컴퓨터, 게임기 등에 많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할 게임이 없다'라고 생각하게 되는 병(?). 주로 <del>스팀 세일이나 번들 사이트 때문에</del> 게임을 무지막지하게 많이 구매하거나, 불법 복제를 많이 해서 생긴다.
  • 공략: 특정 게임을 플레이하는 방법이나 가이드를 총칭하는 말
  • 길드: 클랜이라고도 부르며, 일정한 목적을 가진 사람들이 모인 게임상의 집단
  • 길막: 플레이어가 길을 막고 있는 행위

[]

  • 나눔: 아이템이나 게임 그 자체를 보상 없이 선물받는 행위

[]

  • 더미 데이터: 더미 데이터 문서 참조.
  • 던전: RPG에서 몬스터가 밀집하여 위치한 지역
  • 데미지 딜러(딜러, 딜링): 적군에게 최대한 많은 피해를 주는 역할 혹은 그 역할을 담당하는 사람
  • 데모: 영단어로 시연을 뜻하는 Demonstration의 약자로 사용자에게 게임을 체험받는 것을 의미한다.
  • 도전과제: 게임 내에서 일정한 목표를 달성하도록 유도하는 행위. 업적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동시접속자: 동일한 시간대에 게임 내에 접속한 사람의 수

[]

  • 레어템: 레어 아이템의 약어로 희귀한 아이템을 뜻한다.
  • 레이드: 주로 MMORPG에서 혼자서 클리어하기 힘든 컨텐츠를 여럿이서 클리어하는것
  • 레벨: 게임 세계에서의 일종의 등급
  • 룩덕: 자신이 플레이하는 캐릭터의 외관을 꾸미는 행위. 비슷한 용어로는 '룩딸'이 존재하지만 언어 자체가 비속어여서 그런지 룩덕이라는 용어가 더 많이 쓰인다.
  • 리셀러: 번역하면 되팔이 정도. CD키를 구매해서 유저들에게 다시 파는것을 말한다.
  • 리스폰: 특정 몹이나 보스, 캐릭터 등이 죽으면 다시 살아나는 것
  • 리젠: 특정 몹이나 캐릭터의 체력이 시간이 지나면 회복되는 것

[]

  • 만렙: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가지는 레벨의 한계
  • 매크로: 플레이어가 게임을 플레이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캐릭터가 특정 동작을 지속해서 플레이하는 행위. 주로 온라인 게임<ref>특히 AOSRPG</ref>에서 일어나는 현상이지만 다른 게임에서도 사용되기도 하며, 대부분의 게임에서는 이를 금지하고 있다.
  • 메즈: 상대방을 무력화시키는 기술
  • 모드: 모드 문서 참조.
  • 몹: 주로 롤플레잉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제거해야하는 적 캐릭터

[]

  • 바닐라: DLC나 확장팩, 모드, 애드온 등 게임의 추가 요소가 깔려있지 않은 게임
  • 바카게: 바카게 항목 참조.
  • 밸런스: 게임 내 캐릭터와 아이템들의 능력치.
  • 밸런스 붕괴: 밸런스가 조절되지 못하고 특정 아이템과 캐릭터의 능력치가 매우 강한 것
  • 버프: 주로 온라인 게임이나 롤플레잉 게임에서 캐릭터의 능력을 일시적으로 상승시켜주는 행위
  • 베이퍼웨어: 베이퍼웨어 항목 참조.
  • 보스: 주로 게임 맨 마지막에 등장하는 매우 강력한 캐릭터
  • 복돌러: 불법 복제 이용자인 복돌이들을 다르게 부르는 말.
  • 봇: 멀티플레이 게임에서 등장하는 인공지능 플레이어
  • 부분 유료화: 부분 유료화 문서 참조.
  • 불법 복제: 복돌이라고도 부른다. 말 그대로 게임을 불법으로 복제해서 토렌트/웹하드 등에서 다운로드 하는 것인데 이 과정에서 컴퓨터가 바이러스나 비트코인에게 잠식되어 게임 살 몇푼 아끼려다가 컴퓨터가 고인이 되는 일이 자주 일어난다. 음식을 돈 안내고 사먹는 것이 어떻게 하든 정당화가 될 수 없듯이 복돌이 역시 지역 제한이 걸렸거나 판권이 종료된 것이 아니라면 정당화 될 수 없다. #
  • 비라이선스, 비라이선스 게임: 비라이선스 문서 참조.

[]

  • 샌드박스: 게임에서 자유도를 극대화시킨 모드. 주로 뭔가를 건설하는 모드가 대다수이며, 이것만 집중적으로 부각시킨 게임이 샌드박스 게임이다.
  • 세이브: 현재 진행 상황을 저장하는 것
  • 스택: 스킬 등의 효과가 중첩되는 것
  • 스탠드 얼론: 항목 참조.
  • 쓰레기 게임: 쓰레기 게임 문서 참조.
  • 시즌패스: 특정 게임을 구매했을때 출시된+출시될 DLC를 모두 소유할 권리

[]

  • 아타리 쇼크: 아타리 쇼크 문서 참조.
  • 악마의 게임: 매우 재미있어서 지속적으로 플레이하게되는 중독성을 가지고 있는 게임.
  • 어밴던웨어: 제작자/제작사가 여러 사유로 공급을 중단한 소프트웨어
  • 액티브 유저: 해당 게임을 실질적으로 지속적으로 플레이하는 유저
  • 오버월드: 오버월드 문서 참조
  • 이스터 에그: 개발자가 장난을 위해서 게임에 메시지나 기능 등을 숨겨놓는 행위나 숨겨둔 것들. 게임 뿐 아니라 영화 등 다른 분야에서도 흔히 찾아볼 수 있다.
  • 인벤토리: 유저들이 소유하고 있는 물건을 보관하는 장소.
  • 인챈트: 무기/방어구/장신구 등의 성능을 업그레이드하는 시스템. 강화와 비슷하지만 주로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는 것을 의미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

  • 자동사냥: 매크로와 같은 뜻으로 사용되나 온라인 게임에 한정되는 단어이다.
  • 자유도: 게임 내에서 플레이어가 플레이를 결정하는데 선택할 수 있는 행위의 정도 혹은 자유로운 플레이가 가능한 정도
  • 정식 발매, 정발: 외국 게임에 대한 라이선스를 얻거나 유통사가 수입을 해서 자국에 발매하는 행위. 물론 외국 회사가 특정 국가에 직접 발매하기도 한다.
  • 정신적 후속작: 정신적 후속작 문서 참조.
  • 주얼~(쥬얼)<ref>주얼CD, 주얼게임, 주얼판 등 부르는 명칭이 많고 통일성이 없어 이렇게 처리</ref>: 패키지 게임에서 제공하는 패키지의 구성품을 모두 제외하고 CD만 유통하는 형태
  • 지역 제한, 지역락, 지역 코드: 지역 제한 문서 참조

[]

  • 치트: 게임의 쉬운 플레이나 다른 플레이어보다 우월한 점수를 내기 위해서 데이터 조작 등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플레이하는 행위. 유명한 치트 코드로는 쇼미더머니코나미 커맨드 등이 존재한다.
  • 채널링: 이미 특정 사이트에서 서비스되는 게임을 다른 사이트에서도 제휴를 맺고 서비스하는 행위

[]

  • 카이팅: 원거리 공격을 하는 캐릭터가 적과 일정 거리를 두고서 적을 공격하는 행위
  • 캐삭: 릭터 제 혹은 제의 줄임말.
  • 쿠소게: 일본어로 똥쓰레기를 뜻하는 쿠소에서 유래된 단어로, 한국어로 번역하면 쓰레기 게임 정도가 될 수 있다. 순화할 언어가 없는 것도 아니고 충분히 대체가 가능한 용어이므로 쿠소게가 아닌 쓰레기 게임 등으로 바꾸는게 맞다는 의견과 이미 고유명사로 굳어진 이상 굳이 바꿀 필요가 없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 퀘스트: 게임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서 플레이어에게 달성하라고 하는 임무 혹은 행동.
  • 키마: 키보드+마우스의 줄임말.
  • 키셀러: CD키를 공식적으로 판매하는 사이트를 말하는말로, ESD와 비슷한 뜻이다.

[]

  • 탱커(탱킹): 파티원을 대신하여 적군의 공격을 받아주는 역할 혹은 그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
  • 트롤: 아군에게 피해를 주는 행위를 하는 행위.
  • 팀킬: 같은 팀을 죽이는 행위. 트롤의 대표적인 행위라고도 할 수 있다.

[]

  • 파밍: 게임 내에서 아이템을 모으는 행위
  • 파쿠르: 지형 구조물을 넘거나 이동하는 형식의 게임. 야마카시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나 야마카시는 실존하는 파쿠르의 팀 이름으로, 엄밀히 말하면 야마카시라는 표현은 잘못된 것이다.
  • 포트: 게임을 시스템 간에 옮겨서 이식하는 행위. 특히 이전 시스템으로 후퇴하는 경우는 백포트, 다운그레이드 등이라고도 한다. 원작을 만든 회사의 라이선스 허가 없이 포트시킨 경우에는 앞에 해적판(Pirated)이나 부틀렉(Bootleg) 등의 수식어가 붙는다.
  • 폭딜: 게임 내에서 낼 수 있는 최대한의 데미지로 적을 공격하는 행위
  • 프로토타입: 본격적인 제작에 앞서서 제작해보는 원형
  • 프리퀄: 항목 참조.
  • 플러그 앤드 플레이: 별도의 물리적인 설정이 없이 꽂으면(Plug) 바로 이용(Play)할 수 있는 기능
  • 피로도: 게임 플레이 시간이나 횟수가 일정량을 넘어서면 게임 내부에서의 이득이 줄어드는 시스템

[]

  • 하우징: 플레이어가 집을 짓는 콘텐츠
  • 한글패치/한국어패치: 외국어로 되는 게임에 한글을 지원하는 행위
  • 한글화/한국어화: 외국 게임 회사가 개발한 게임의 자막이나 음성이 한글을 지원하는 행위. 이 표현에 대해서 한글화가 맞느냐 한국어화가 맞느냐에 대한 논쟁이 있는데, 이에 대한 국립국어원의 답변은 ~화라는 표현 자체가 부적절하며, 굳이 찾는다면 한국어 번역이 맞다이다.
  • 핵: 게임 내의 해킹 프로그램
  • 헬렙: 게임에서 레벨을 굉장히 올리기 힘든 구간
  • 현질: 게임 내에서 캐쉬 등의 현금 요소를 구매하는 행위
  • 확장팩: 항목 참조.
  • 힐러(힐링): 파티원의 체력 회복을 도와주는 역할 혹은 그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

알파벳[]

  • AAA급 게임: 항목 참조
  • co-op(코옵): 2인 이상의 협동 플레이
  • CTD: 충돌로 인해 바탕화면으로 튕겨버리는 현상
  • DLC: 항목 참조.
  • DRM: 항목 참조.
  • ESD: ESD 문서 참조.
  • Mod: Mod 문서 참조.
  • MP: Magic Power의 약어로 마법 등을 이용하는 특수능력을 발동하는데 필요한 개념
  • NPC: 주로 롤플레잉 게임이나 온라인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직접 조종하지 않고 퀘스트 등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캐릭터
  • PK: Player Kill의 줄임말로 다른 플레이어를 줄이는 행위
  • PVE: 플레이어vs환경의 줄임말
  • PVP: 플레이어vs플레이어의 줄임말
  • GG: 유저 용어. 게임이 끝나고 나면 '좋은 게임이였다' '우리가 졌다' 등의 뜻으로 쓰인다.
  • F2P: Free to Play, 즉 부분 유료의 줄임말.
  • HP: Hit points의 약어로 몹이나 플레이어의 체력을 뜻하는 말.

별개의 문서로 분리된 용어 설명 문서들[]

게임 이름/용어 혹은 장르 이름/용어 문서들은 여기에 넣어주세요.

  • 쿠키런/용어

주석[]

<references />

틀:보충 필요틀:좋은글

</text>

     <model>wikitext</model>
     <format>text/x-wiki</format>
   </revision>
   <revision>
     <id>2965</id>
     <parentid>2962</parentid>
     <timestamp>2015-04-18T11:44:11Z</timestamp>
     <contributor>
       <username>MINT</username>
       <id>1</id>
     </contributor>
     <minor/>
     <text xml:space="preserve" bytes="12912">* 본 문서는 비디오 게임의 용어를 다룹니다.
  • Ctrl+F를 눌러서 원하는 단어를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 누락된 단어가 많으니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 특정 게임/장르에서만 쓰는 용어는 되도록 해당 게임 문서 혹은 게임 이름/용어게임 장르/용어 문서 혹은 별개 문서에다가 작성해주세요.(ex.쿠키런/용어)
  • 설명이 충분히 길어져서 1500바이트 이상일 경우 정리 후 별개의 문서로 분리 부탁드리며, 분리 후에는 <nowiki>XX</nowiki>: 해당 문서 참조.의 형식으로 바꿔주세요.
  • 게임과 관련된 인터넷 밈은 이곳에서 서술하지 않습니다.
  • 유저들끼리 사용하는 용어(만렙 등)와 소프트웨어 용어(베이퍼웨어, 더미 데이터 등) 등이 모두 작성 가능합니다.
  • '렉' 등의 게이머들이 아닌 일반인들도 사용하는 용어들 역시 일부 작성이 가능합니다.
  • FPS 게임 등 장르에 관한 내용은 게임 장르 문서에서 서술해주십시오.
  • 아직 문서가 작성되지 않은 용어들에는 되도록 링크를 걸지 말아주세요.

[]

  • 강화: 특정 아이템의 능력치를 강력하게 하는 행위. 인챈트와 비슷하지만 새로운 능력이 추가되지는 않고 기존의 능력이 더 강해진다는 차이점이 있다.
  • 게임성: '작품성'을 게임에 접목한 단어라고 보면 된다.
  • 게임 불감증: 할 게임이 컴퓨터, 게임기 등에 많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할 게임이 없다'라고 생각하게 되는 병(?). 주로 <del>스팀 세일이나 번들 사이트 때문에</del> 게임을 무지막지하게 많이 구매하거나, 불법 복제를 많이 해서 생긴다.
  • 공략: 특정 게임을 플레이하는 방법이나 가이드를 총칭하는 말
  • 길드: 클랜이라고도 부르며, 일정한 목적을 가진 사람들이 모인 게임상의 집단
  • 길막: 플레이어가 길을 막고 있는 행위

[]

  • 나눔: 아이템이나 게임 그 자체를 보상 없이 선물받는 행위

[]

  • 더미 데이터: 더미 데이터 문서 참조.
  • 던전: RPG에서 몬스터가 밀집하여 위치한 지역
  • 데미지 딜러(딜러, 딜링): 적군에게 최대한 많은 피해를 주는 역할 혹은 그 역할을 담당하는 사람
  • 데모: 영단어로 시연을 뜻하는 Demonstration의 약자로 사용자에게 게임을 체험받는 것을 의미한다.
  • 도전과제: 게임 내에서 일정한 목표를 달성하도록 유도하는 행위. 업적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동시접속자: 동일한 시간대에 게임 내에 접속한 사람의 수

[]

  • 레어템: 레어 아이템의 약어로 희귀한 아이템을 뜻한다.
  • 레이드: 주로 MMORPG에서 혼자서 클리어하기 힘든 컨텐츠를 여럿이서 클리어하는것
  • 레벨: 게임 세계에서의 일종의 등급
  • 룩덕: 자신이 플레이하는 캐릭터의 외관을 꾸미는 행위. 비슷한 용어로는 '룩딸'이 존재하지만 언어 자체가 비속어여서 그런지 룩덕이라는 용어가 더 많이 쓰인다.
  • 리셀러: 번역하면 되팔이 정도. CD키를 구매해서 유저들에게 다시 파는것을 말한다.
  • 리스폰: 특정 몹이나 보스, 캐릭터 등이 죽으면 다시 살아나는 것
  • 리젠: 특정 몹이나 캐릭터의 체력이 시간이 지나면 회복되는 것

[]

  • 만렙: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가지는 레벨의 한계
  • 매크로: 플레이어가 게임을 플레이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캐릭터가 특정 동작을 지속해서 플레이하는 행위. 주로 온라인 게임<ref>특히 AOSRPG</ref>에서 일어나는 현상이지만 다른 게임에서도 사용되기도 하며, 대부분의 게임에서는 이를 금지하고 있다.
  • 메즈: 상대방을 무력화시키는 기술
  • 모드: 모드 문서 참조.
  • 몹: 주로 롤플레잉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제거해야하는 적 캐릭터

[]

  • 바닐라: DLC나 확장팩, 모드, 애드온 등 게임의 추가 요소가 깔려있지 않은 게임
  • 바카게: 바카게 항목 참조.
  • 밸런스: 게임 내 캐릭터와 아이템들의 능력치.
  • 밸런스 붕괴: 밸런스가 조절되지 못하고 특정 아이템과 캐릭터의 능력치가 매우 강한 것
  • 버프: 주로 온라인 게임이나 롤플레잉 게임에서 캐릭터의 능력을 일시적으로 상승시켜주는 행위
  • 베이퍼웨어: 베이퍼웨어 항목 참조.
  • 보스: 주로 게임 맨 마지막에 등장하는 매우 강력한 캐릭터
  • 복돌러: 불법 복제 이용자인 복돌이들을 다르게 부르는 말.
  • 봇: 멀티플레이 게임에서 등장하는 인공지능 플레이어
  • 부분 유료화: 부분 유료화 문서 참조.
  • 불법 복제: 복돌이라고도 부른다. 말 그대로 게임을 불법으로 복제해서 토렌트/웹하드 등에서 다운로드 하는 것인데 이 과정에서 컴퓨터가 바이러스나 비트코인에게 잠식되어 게임 살 몇푼 아끼려다가 컴퓨터가 고인이 되는 일이 자주 일어난다. 음식을 돈 안내고 사먹는 것이 어떻게 하든 정당화가 될 수 없듯이 복돌이 역시 지역 제한이 걸렸거나 판권이 종료된 것이 아니라면 정당화 될 수 없다. #
  • 비라이선스, 비라이선스 게임: 비라이선스 문서 참조.

[]

  • 샌드박스: 게임에서 자유도를 극대화시킨 모드. 주로 뭔가를 건설하는 모드가 대다수이며, 이것만 집중적으로 부각시킨 게임이 샌드박스 게임이다.
  • 세이브: 현재 진행 상황을 저장하는 것
  • 스택: 스킬 등의 효과가 중첩되는 것
  • 스탠드 얼론: 항목 참조.
  • 쓰레기 게임: 쓰레기 게임 문서 참조.
  • 시즌패스: 특정 게임을 구매했을때 출시된+출시될 DLC를 모두 소유할 권리

[]

  • 아타리 쇼크: 아타리 쇼크 문서 참조.
  • 악마의 게임: 매우 재미있어서 지속적으로 플레이하게되는 중독성을 가지고 있는 게임.
  • 어밴던웨어: 제작자/제작사가 여러 사유로 공급을 중단한 소프트웨어
  • 액티브 유저: 해당 게임을 실질적으로 지속적으로 플레이하는 유저
  • 오버월드: 오버월드 문서 참조
  • 이스터 에그: 개발자가 장난을 위해서 게임에 메시지나 기능 등을 숨겨놓는 행위나 숨겨둔 것들. 게임 뿐 아니라 영화 등 다른 분야에서도 흔히 찾아볼 수 있다.
  • 인벤토리: 유저들이 소유하고 있는 물건을 보관하는 장소.
  • 인챈트: 무기/방어구/장신구 등의 성능을 업그레이드하는 시스템. 강화와 비슷하지만 주로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는 것을 의미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

  • 자동사냥: 매크로와 같은 뜻으로 사용되나 온라인 게임에 한정되는 단어이다.
  • 자유도: 게임 내에서 플레이어가 플레이를 결정하는데 선택할 수 있는 행위의 정도 혹은 자유로운 플레이가 가능한 정도
  • 정식 발매, 정발: 외국 게임에 대한 라이선스를 얻거나 유통사가 수입을 해서 자국에 발매하는 행위. 물론 외국 회사가 특정 국가에 직접 발매하기도 한다.
  • 정신적 후속작: 정신적 후속작 문서 참조.
  • 주얼~(쥬얼)<ref>주얼CD, 주얼게임, 주얼판 등 부르는 명칭이 많고 통일성이 없어 이렇게 처리</ref>: 패키지 게임에서 제공하는 패키지의 구성품을 모두 제외하고 CD만 유통하는 형태
  • 지역 제한, 지역락, 지역 코드: 지역 제한 문서 참조

[]

  • 치트: 게임의 쉬운 플레이나 다른 플레이어보다 우월한 점수를 내기 위해서 데이터 조작 등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플레이하는 행위. 유명한 치트 코드로는 쇼미더머니코나미 커맨드 등이 존재한다.
  • 채널링: 이미 특정 사이트에서 서비스되는 게임을 다른 사이트에서도 제휴를 맺고 서비스하는 행위

[]

  • 카이팅: 원거리 공격을 하는 캐릭터가 적과 일정 거리를 두고서 적을 공격하는 행위
  • 캐삭: 릭터 제 혹은 제의 줄임말.
  • 쿠소게: 일본어로 똥쓰레기를 뜻하는 쿠소에서 유래된 단어로, 한국어로 번역하면 쓰레기 게임 정도가 될 수 있다. 순화할 언어가 없는 것도 아니고 충분히 대체가 가능한 용어이므로 쿠소게가 아닌 쓰레기 게임 등으로 바꾸는게 맞다는 의견과 이미 고유명사로 굳어진 이상 굳이 바꿀 필요가 없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 퀘스트: 게임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서 플레이어에게 달성하라고 하는 임무 혹은 행동.
  • 키마: 키보드+마우스의 줄임말.
  • 키셀러: CD키를 공식적으로 판매하는 사이트를 말하는말로, ESD와 비슷한 뜻이다.

[]

  • 탱커(탱킹): 파티원을 대신하여 적군의 공격을 받아주는 역할 혹은 그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
  • 트롤: 아군에게 피해를 주는 행위를 하는 행위.
  • 팀킬: 같은 팀을 죽이는 행위. 트롤의 대표적인 행위라고도 할 수 있다.

[]

  • 파밍: 게임 내에서 아이템을 모으는 행위
  • 파쿠르: 지형 구조물을 넘거나 이동하는 형식의 게임. 야마카시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나 야마카시는 실존하는 파쿠르의 팀 이름으로, 엄밀히 말하면 야마카시라는 표현은 잘못된 것이다.
  • 포트: 게임을 시스템 간에 옮겨서 이식하는 행위. 특히 이전 시스템으로 후퇴하는 경우는 백포트, 다운그레이드 등이라고도 한다. 원작을 만든 회사의 라이선스 허가 없이 포트시킨 경우에는 앞에 해적판(Pirated)이나 부틀렉(Bootleg) 등의 수식어가 붙는다.
  • 폭딜: 게임 내에서 낼 수 있는 최대한의 데미지로 적을 공격하는 행위
  • 프로토타입: 본격적인 제작에 앞서서 제작해보는 원형
  • 프리퀄: 항목 참조.
  • 플러그 앤드 플레이: 별도의 물리적인 설정이 없이 꽂으면(Plug) 바로 이용(Play)할 수 있는 기능
  • 피로도: 게임 플레이 시간이나 횟수가 일정량을 넘어서면 게임 내부에서의 이득이 줄어드는 시스템

[]

  • 하우징: 플레이어가 집을 짓는 콘텐츠
  • 한글패치/한국어패치: 외국어로 되는 게임에 한글을 지원하는 행위
  • 한글화/한국어화: 외국 게임 회사가 개발한 게임의 자막이나 음성이 한글을 지원하는 행위. 이 표현에 대해서 한글화가 맞느냐 한국어화가 맞느냐에 대한 논쟁이 있는데, 이에 대한 국립국어원의 답변은 ~화라는 표현 자체가 부적절하며, 굳이 찾는다면 한국어 번역이 맞다이다.
  • 핵: 게임 내의 해킹 프로그램
  • 헬렙: 게임에서 레벨을 굉장히 올리기 힘든 구간
  • 현질: 게임 내에서 캐쉬 등의 현금 요소를 구매하는 행위
  • 확장팩: 항목 참조.
  • 힐러(힐링): 파티원의 체력 회복을 도와주는 역할 혹은 그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

알파벳[]

  • AAA급 게임: 항목 참조
  • co-op(코옵): 2인 이상의 협동 플레이
  • CTD: 충돌로 인해 바탕화면으로 튕겨버리는 현상
  • DLC: 항목 참조.
  • DRM: 항목 참조.
  • ESD: ESD 문서 참조.
  • Mod: Mod 문서 참조.
  • MP: Magic Power의 약어로 마법 등을 이용하는 특수능력을 발동하는데 필요한 개념
  • NPC: 주로 롤플레잉 게임이나 온라인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직접 조종하지 않고 퀘스트 등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캐릭터
  • PK: Player Kill의 줄임말로 다른 플레이어를 줄이는 행위
  • PVE: 플레이어vs환경의 줄임말
  • PVP: 플레이어vs플레이어의 줄임말
  • GG: 유저 용어. 게임이 끝나고 나면 '좋은 게임이였다' '우리가 졌다' 등의 뜻으로 쓰인다.
  • F2P: Free to Play, 즉 부분 유료의 줄임말.
  • HP: Hit points의 약어로 몹이나 플레이어의 체력을 뜻하는 말.

별개의 문서로 분리된 용어 설명 문서들[]

게임 이름/용어 혹은 장르 이름/용어 문서들은 여기에 넣어주세요.

  • 쿠키런/용어

주석[]

<references />

틀:보충 필요틀:좋은글

</text>

     <model>wikitext</model>
     <format>text/x-wiki</format>
   </revision>
   <revision>
     <id>3021</id>
     <parentid>2965</parentid>
     <timestamp>2015-04-24T08:28:06Z</timestamp>
     <contributor>
       <username>MINT</username>
       <id>1</id>
     </contributor>
     <comment>/* ㄷ */</comment>
     <text xml:space="preserve" bytes="12836">* 본 문서는 비디오 게임의 용어를 다룹니다.
  • Ctrl+F를 눌러서 원하는 단어를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 누락된 단어가 많으니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 특정 게임/장르에서만 쓰는 용어는 되도록 해당 게임 문서 혹은 게임 이름/용어게임 장르/용어 문서 혹은 별개 문서에다가 작성해주세요.(ex.쿠키런/용어)
  • 설명이 충분히 길어져서 1500바이트 이상일 경우 정리 후 별개의 문서로 분리 부탁드리며, 분리 후에는 <nowiki>XX</nowiki>: 해당 문서 참조.의 형식으로 바꿔주세요.
  • 게임과 관련된 인터넷 밈은 이곳에서 서술하지 않습니다.
  • 유저들끼리 사용하는 용어(만렙 등)와 소프트웨어 용어(베이퍼웨어, 더미 데이터 등) 등이 모두 작성 가능합니다.
  • '렉' 등의 게이머들이 아닌 일반인들도 사용하는 용어들 역시 일부 작성이 가능합니다.
  • FPS 게임 등 장르에 관한 내용은 게임 장르 문서에서 서술해주십시오.
  • 아직 문서가 작성되지 않은 용어들에는 되도록 링크를 걸지 말아주세요.

[]

  • 강화: 특정 아이템의 능력치를 강력하게 하는 행위. 인챈트와 비슷하지만 새로운 능력이 추가되지는 않고 기존의 능력이 더 강해진다는 차이점이 있다.
  • 게임성: '작품성'을 게임에 접목한 단어라고 보면 된다.
  • 게임 불감증: 할 게임이 컴퓨터, 게임기 등에 많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할 게임이 없다'라고 생각하게 되는 병(?). 주로 <del>스팀 세일이나 번들 사이트 때문에</del> 게임을 무지막지하게 많이 구매하거나, 불법 복제를 많이 해서 생긴다.
  • 공략: 특정 게임을 플레이하는 방법이나 가이드를 총칭하는 말
  • 길드: 클랜이라고도 부르며, 일정한 목적을 가진 사람들이 모인 게임상의 집단
  • 길막: 플레이어가 길을 막고 있는 행위

[]

  • 나눔: 아이템이나 게임 그 자체를 보상 없이 선물받는 행위

[]

  • 더미 데이터: 더미 데이터 문서 참조.
  • 던전: RPG에서 몬스터가 밀집하여 위치한 지역
  • 대미지 딜러(딜러, 딜링): 항목 참조.
  • 데모: 영단어로 시연을 뜻하는 Demonstration의 약자로 사용자에게 게임을 체험받는 것을 의미한다.
  • 도전과제: 게임 내에서 일정한 목표를 달성하도록 유도하는 행위. 업적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동시접속자: 동일한 시간대에 게임 내에 접속한 사람의 수

[]

  • 레어템: 레어 아이템의 약어로 희귀한 아이템을 뜻한다.
  • 레이드: 주로 MMORPG에서 혼자서 클리어하기 힘든 컨텐츠를 여럿이서 클리어하는것
  • 레벨: 게임 세계에서의 일종의 등급
  • 룩덕: 자신이 플레이하는 캐릭터의 외관을 꾸미는 행위. 비슷한 용어로는 '룩딸'이 존재하지만 언어 자체가 비속어여서 그런지 룩덕이라는 용어가 더 많이 쓰인다.
  • 리셀러: 번역하면 되팔이 정도. CD키를 구매해서 유저들에게 다시 파는것을 말한다.
  • 리스폰: 특정 몹이나 보스, 캐릭터 등이 죽으면 다시 살아나는 것
  • 리젠: 특정 몹이나 캐릭터의 체력이 시간이 지나면 회복되는 것

[]

  • 만렙: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가지는 레벨의 한계
  • 매크로: 플레이어가 게임을 플레이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캐릭터가 특정 동작을 지속해서 플레이하는 행위. 주로 온라인 게임<ref>특히 AOSRPG</ref>에서 일어나는 현상이지만 다른 게임에서도 사용되기도 하며, 대부분의 게임에서는 이를 금지하고 있다.
  • 메즈: 상대방을 무력화시키는 기술
  • 모드: 모드 문서 참조.
  • 몹: 주로 롤플레잉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제거해야하는 적 캐릭터

[]

  • 바닐라: DLC나 확장팩, 모드, 애드온 등 게임의 추가 요소가 깔려있지 않은 게임
  • 바카게: 바카게 항목 참조.
  • 밸런스: 게임 내 캐릭터와 아이템들의 능력치.
  • 밸런스 붕괴: 밸런스가 조절되지 못하고 특정 아이템과 캐릭터의 능력치가 매우 강한 것
  • 버프: 주로 온라인 게임이나 롤플레잉 게임에서 캐릭터의 능력을 일시적으로 상승시켜주는 행위
  • 베이퍼웨어: 베이퍼웨어 항목 참조.
  • 보스: 주로 게임 맨 마지막에 등장하는 매우 강력한 캐릭터
  • 복돌러: 불법 복제 이용자인 복돌이들을 다르게 부르는 말.
  • 봇: 멀티플레이 게임에서 등장하는 인공지능 플레이어
  • 부분 유료화: 부분 유료화 문서 참조.
  • 불법 복제: 복돌이라고도 부른다. 말 그대로 게임을 불법으로 복제해서 토렌트/웹하드 등에서 다운로드 하는 것인데 이 과정에서 컴퓨터가 바이러스나 비트코인에게 잠식되어 게임 살 몇푼 아끼려다가 컴퓨터가 고인이 되는 일이 자주 일어난다. 음식을 돈 안내고 사먹는 것이 어떻게 하든 정당화가 될 수 없듯이 복돌이 역시 지역 제한이 걸렸거나 판권이 종료된 것이 아니라면 정당화 될 수 없다. #
  • 비라이선스, 비라이선스 게임: 비라이선스 문서 참조.

[]

  • 샌드박스: 게임에서 자유도를 극대화시킨 모드. 주로 뭔가를 건설하는 모드가 대다수이며, 이것만 집중적으로 부각시킨 게임이 샌드박스 게임이다.
  • 세이브: 현재 진행 상황을 저장하는 것
  • 스택: 스킬 등의 효과가 중첩되는 것
  • 스탠드 얼론: 항목 참조.
  • 쓰레기 게임: 쓰레기 게임 문서 참조.
  • 시즌패스: 특정 게임을 구매했을때 출시된+출시될 DLC를 모두 소유할 권리

[]

  • 아타리 쇼크: 아타리 쇼크 문서 참조.
  • 악마의 게임: 매우 재미있어서 지속적으로 플레이하게되는 중독성을 가지고 있는 게임.
  • 어밴던웨어: 제작자/제작사가 여러 사유로 공급을 중단한 소프트웨어
  • 액티브 유저: 해당 게임을 실질적으로 지속적으로 플레이하는 유저
  • 오버월드: 오버월드 문서 참조
  • 이스터 에그: 개발자가 장난을 위해서 게임에 메시지나 기능 등을 숨겨놓는 행위나 숨겨둔 것들. 게임 뿐 아니라 영화 등 다른 분야에서도 흔히 찾아볼 수 있다.
  • 인벤토리: 유저들이 소유하고 있는 물건을 보관하는 장소.
  • 인챈트: 무기/방어구/장신구 등의 성능을 업그레이드하는 시스템. 강화와 비슷하지만 주로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는 것을 의미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

  • 자동사냥: 매크로와 같은 뜻으로 사용되나 온라인 게임에 한정되는 단어이다.
  • 자유도: 게임 내에서 플레이어가 플레이를 결정하는데 선택할 수 있는 행위의 정도 혹은 자유로운 플레이가 가능한 정도
  • 정식 발매, 정발: 외국 게임에 대한 라이선스를 얻거나 유통사가 수입을 해서 자국에 발매하는 행위. 물론 외국 회사가 특정 국가에 직접 발매하기도 한다.
  • 정신적 후속작: 정신적 후속작 문서 참조.
  • 주얼~(쥬얼)<ref>주얼CD, 주얼게임, 주얼판 등 부르는 명칭이 많고 통일성이 없어 이렇게 처리</ref>: 패키지 게임에서 제공하는 패키지의 구성품을 모두 제외하고 CD만 유통하는 형태
  • 지역 제한, 지역락, 지역 코드: 지역 제한 문서 참조

[]

  • 치트: 게임의 쉬운 플레이나 다른 플레이어보다 우월한 점수를 내기 위해서 데이터 조작 등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플레이하는 행위. 유명한 치트 코드로는 쇼미더머니코나미 커맨드 등이 존재한다.
  • 채널링: 이미 특정 사이트에서 서비스되는 게임을 다른 사이트에서도 제휴를 맺고 서비스하는 행위

[]

  • 카이팅: 원거리 공격을 하는 캐릭터가 적과 일정 거리를 두고서 적을 공격하는 행위
  • 캐삭: 릭터 제 혹은 제의 줄임말.
  • 쿠소게: 일본어로 똥쓰레기를 뜻하는 쿠소에서 유래된 단어로, 한국어로 번역하면 쓰레기 게임 정도가 될 수 있다. 순화할 언어가 없는 것도 아니고 충분히 대체가 가능한 용어이므로 쿠소게가 아닌 쓰레기 게임 등으로 바꾸는게 맞다는 의견과 이미 고유명사로 굳어진 이상 굳이 바꿀 필요가 없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 퀘스트: 게임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서 플레이어에게 달성하라고 하는 임무 혹은 행동.
  • 키마: 키보드+마우스의 줄임말.
  • 키셀러: CD키를 공식적으로 판매하는 사이트를 말하는말로, ESD와 비슷한 뜻이다.

[]

  • 탱커(탱킹): 파티원을 대신하여 적군의 공격을 받아주는 역할 혹은 그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
  • 트롤: 아군에게 피해를 주는 행위를 하는 행위.
  • 팀킬: 같은 팀을 죽이는 행위. 트롤의 대표적인 행위라고도 할 수 있다.

[]

  • 파밍: 게임 내에서 아이템을 모으는 행위
  • 파쿠르: 지형 구조물을 넘거나 이동하는 형식의 게임. 야마카시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나 야마카시는 실존하는 파쿠르의 팀 이름으로, 엄밀히 말하면 야마카시라는 표현은 잘못된 것이다.
  • 포트: 게임을 시스템 간에 옮겨서 이식하는 행위. 특히 이전 시스템으로 후퇴하는 경우는 백포트, 다운그레이드 등이라고도 한다. 원작을 만든 회사의 라이선스 허가 없이 포트시킨 경우에는 앞에 해적판(Pirated)이나 부틀렉(Bootleg) 등의 수식어가 붙는다.
  • 폭딜: 게임 내에서 낼 수 있는 최대한의 데미지로 적을 공격하는 행위
  • 프로토타입: 본격적인 제작에 앞서서 제작해보는 원형
  • 프리퀄: 항목 참조.
  • 플러그 앤드 플레이: 별도의 물리적인 설정이 없이 꽂으면(Plug) 바로 이용(Play)할 수 있는 기능
  • 피로도: 게임 플레이 시간이나 횟수가 일정량을 넘어서면 게임 내부에서의 이득이 줄어드는 시스템

[]

  • 하우징: 플레이어가 집을 짓는 콘텐츠
  • 한글패치/한국어패치: 외국어로 되는 게임에 한글을 지원하는 행위
  • 한글화/한국어화: 외국 게임 회사가 개발한 게임의 자막이나 음성이 한글을 지원하는 행위. 이 표현에 대해서 한글화가 맞느냐 한국어화가 맞느냐에 대한 논쟁이 있는데, 이에 대한 국립국어원의 답변은 ~화라는 표현 자체가 부적절하며, 굳이 찾는다면 한국어 번역이 맞다이다.
  • 핵: 게임 내의 해킹 프로그램
  • 헬렙: 게임에서 레벨을 굉장히 올리기 힘든 구간
  • 현질: 게임 내에서 캐쉬 등의 현금 요소를 구매하는 행위
  • 확장팩: 항목 참조.
  • 힐러(힐링): 파티원의 체력 회복을 도와주는 역할 혹은 그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

알파벳[]

  • AAA급 게임: 항목 참조
  • co-op(코옵): 2인 이상의 협동 플레이
  • CTD: 충돌로 인해 바탕화면으로 튕겨버리는 현상
  • DLC: 항목 참조.
  • DRM: 항목 참조.
  • ESD: ESD 문서 참조.
  • Mod: Mod 문서 참조.
  • MP: Magic Power의 약어로 마법 등을 이용하는 특수능력을 발동하는데 필요한 개념
  • NPC: 주로 롤플레잉 게임이나 온라인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직접 조종하지 않고 퀘스트 등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캐릭터
  • PK: Player Kill의 줄임말로 다른 플레이어를 줄이는 행위
  • PVE: 플레이어vs환경의 줄임말
  • PVP: 플레이어vs플레이어의 줄임말
  • GG: 유저 용어. 게임이 끝나고 나면 '좋은 게임이였다' '우리가 졌다' 등의 뜻으로 쓰인다.
  • F2P: Free to Play, 즉 부분 유료의 줄임말.
  • HP: Hit points의 약어로 몹이나 플레이어의 체력을 뜻하는 말.

별개의 문서로 분리된 용어 설명 문서들[]

게임 이름/용어 혹은 장르 이름/용어 문서들은 여기에 넣어주세요.

  • 쿠키런/용어

주석[]

<references />

틀:보충 필요틀:좋은글

</text>

     <model>wikitext</model>
     <format>text/x-wiki</format>
   </revision>
   <revision>
     <id>3038</id>
     <parentid>3021</parentid>
     <timestamp>2015-04-25T06:02:26Z</timestamp>
     <contributor>
       <username>MINT</username>
       <id>1</id>
     </contributor>
     <comment>/* 알파벳 */</comment>
     <text xml:space="preserve" bytes="12862">* 본 문서는 비디오 게임의 용어를 다룹니다.
  • Ctrl+F를 눌러서 원하는 단어를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 누락된 단어가 많으니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 특정 게임/장르에서만 쓰는 용어는 되도록 해당 게임 문서 혹은 게임 이름/용어게임 장르/용어 문서 혹은 별개 문서에다가 작성해주세요.(ex.쿠키런/용어)
  • 설명이 충분히 길어져서 1500바이트 이상일 경우 정리 후 별개의 문서로 분리 부탁드리며, 분리 후에는 <nowiki>XX</nowiki>: 해당 문서 참조.의 형식으로 바꿔주세요.
  • 게임과 관련된 인터넷 밈은 이곳에서 서술하지 않습니다.
  • 유저들끼리 사용하는 용어(만렙 등)와 소프트웨어 용어(베이퍼웨어, 더미 데이터 등) 등이 모두 작성 가능합니다.
  • '렉' 등의 게이머들이 아닌 일반인들도 사용하는 용어들 역시 일부 작성이 가능합니다.
  • FPS 게임 등 장르에 관한 내용은 게임 장르 문서에서 서술해주십시오.
  • 아직 문서가 작성되지 않은 용어들에는 되도록 링크를 걸지 말아주세요.

[]

  • 강화: 특정 아이템의 능력치를 강력하게 하는 행위. 인챈트와 비슷하지만 새로운 능력이 추가되지는 않고 기존의 능력이 더 강해진다는 차이점이 있다.
  • 게임성: '작품성'을 게임에 접목한 단어라고 보면 된다.
  • 게임 불감증: 할 게임이 컴퓨터, 게임기 등에 많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할 게임이 없다'라고 생각하게 되는 병(?). 주로 <del>스팀 세일이나 번들 사이트 때문에</del> 게임을 무지막지하게 많이 구매하거나, 불법 복제를 많이 해서 생긴다.
  • 공략: 특정 게임을 플레이하는 방법이나 가이드를 총칭하는 말
  • 길드: 클랜이라고도 부르며, 일정한 목적을 가진 사람들이 모인 게임상의 집단
  • 길막: 플레이어가 길을 막고 있는 행위

[]

  • 나눔: 아이템이나 게임 그 자체를 보상 없이 선물받는 행위

[]

  • 더미 데이터: 더미 데이터 문서 참조.
  • 던전: RPG에서 몬스터가 밀집하여 위치한 지역
  • 대미지 딜러(딜러, 딜링): 항목 참조.
  • 데모: 영단어로 시연을 뜻하는 Demonstration의 약자로 사용자에게 게임을 체험받는 것을 의미한다.
  • 도전과제: 게임 내에서 일정한 목표를 달성하도록 유도하는 행위. 업적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동시접속자: 동일한 시간대에 게임 내에 접속한 사람의 수

[]

  • 레어템: 레어 아이템의 약어로 희귀한 아이템을 뜻한다.
  • 레이드: 주로 MMORPG에서 혼자서 클리어하기 힘든 컨텐츠를 여럿이서 클리어하는것
  • 레벨: 게임 세계에서의 일종의 등급
  • 룩덕: 자신이 플레이하는 캐릭터의 외관을 꾸미는 행위. 비슷한 용어로는 '룩딸'이 존재하지만 언어 자체가 비속어여서 그런지 룩덕이라는 용어가 더 많이 쓰인다.
  • 리셀러: 번역하면 되팔이 정도. CD키를 구매해서 유저들에게 다시 파는것을 말한다.
  • 리스폰: 특정 몹이나 보스, 캐릭터 등이 죽으면 다시 살아나는 것
  • 리젠: 특정 몹이나 캐릭터의 체력이 시간이 지나면 회복되는 것

[]

  • 만렙: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가지는 레벨의 한계
  • 매크로: 플레이어가 게임을 플레이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캐릭터가 특정 동작을 지속해서 플레이하는 행위. 주로 온라인 게임<ref>특히 AOSRPG</ref>에서 일어나는 현상이지만 다른 게임에서도 사용되기도 하며, 대부분의 게임에서는 이를 금지하고 있다.
  • 메즈: 상대방을 무력화시키는 기술
  • 모드: 모드 문서 참조.
  • 몹: 주로 롤플레잉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제거해야하는 적 캐릭터

[]

  • 바닐라: DLC나 확장팩, 모드, 애드온 등 게임의 추가 요소가 깔려있지 않은 게임
  • 바카게: 바카게 항목 참조.
  • 밸런스: 게임 내 캐릭터와 아이템들의 능력치.
  • 밸런스 붕괴: 밸런스가 조절되지 못하고 특정 아이템과 캐릭터의 능력치가 매우 강한 것
  • 버프: 주로 온라인 게임이나 롤플레잉 게임에서 캐릭터의 능력을 일시적으로 상승시켜주는 행위
  • 베이퍼웨어: 베이퍼웨어 항목 참조.
  • 보스: 주로 게임 맨 마지막에 등장하는 매우 강력한 캐릭터
  • 복돌러: 불법 복제 이용자인 복돌이들을 다르게 부르는 말.
  • 봇: 멀티플레이 게임에서 등장하는 인공지능 플레이어
  • 부분 유료화: 부분 유료화 문서 참조.
  • 불법 복제: 복돌이라고도 부른다. 말 그대로 게임을 불법으로 복제해서 토렌트/웹하드 등에서 다운로드 하는 것인데 이 과정에서 컴퓨터가 바이러스나 비트코인에게 잠식되어 게임 살 몇푼 아끼려다가 컴퓨터가 고인이 되는 일이 자주 일어난다. 음식을 돈 안내고 사먹는 것이 어떻게 하든 정당화가 될 수 없듯이 복돌이 역시 지역 제한이 걸렸거나 판권이 종료된 것이 아니라면 정당화 될 수 없다. #
  • 비라이선스, 비라이선스 게임: 비라이선스 문서 참조.

[]

  • 샌드박스: 게임에서 자유도를 극대화시킨 모드. 주로 뭔가를 건설하는 모드가 대다수이며, 이것만 집중적으로 부각시킨 게임이 샌드박스 게임이다.
  • 세이브: 현재 진행 상황을 저장하는 것
  • 스택: 스킬 등의 효과가 중첩되는 것
  • 스탠드 얼론: 항목 참조.
  • 쓰레기 게임: 쓰레기 게임 문서 참조.
  • 시즌패스: 특정 게임을 구매했을때 출시된+출시될 DLC를 모두 소유할 권리

[]

  • 아타리 쇼크: 아타리 쇼크 문서 참조.
  • 악마의 게임: 매우 재미있어서 지속적으로 플레이하게되는 중독성을 가지고 있는 게임.
  • 어밴던웨어: 제작자/제작사가 여러 사유로 공급을 중단한 소프트웨어
  • 액티브 유저: 해당 게임을 실질적으로 지속적으로 플레이하는 유저
  • 오버월드: 오버월드 문서 참조
  • 이스터 에그: 개발자가 장난을 위해서 게임에 메시지나 기능 등을 숨겨놓는 행위나 숨겨둔 것들. 게임 뿐 아니라 영화 등 다른 분야에서도 흔히 찾아볼 수 있다.
  • 인벤토리: 유저들이 소유하고 있는 물건을 보관하는 장소.
  • 인챈트: 무기/방어구/장신구 등의 성능을 업그레이드하는 시스템. 강화와 비슷하지만 주로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는 것을 의미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

  • 자동사냥: 매크로와 같은 뜻으로 사용되나 온라인 게임에 한정되는 단어이다.
  • 자유도: 게임 내에서 플레이어가 플레이를 결정하는데 선택할 수 있는 행위의 정도 혹은 자유로운 플레이가 가능한 정도
  • 정식 발매, 정발: 외국 게임에 대한 라이선스를 얻거나 유통사가 수입을 해서 자국에 발매하는 행위. 물론 외국 회사가 특정 국가에 직접 발매하기도 한다.
  • 정신적 후속작: 정신적 후속작 문서 참조.
  • 주얼~(쥬얼)<ref>주얼CD, 주얼게임, 주얼판 등 부르는 명칭이 많고 통일성이 없어 이렇게 처리</ref>: 패키지 게임에서 제공하는 패키지의 구성품을 모두 제외하고 CD만 유통하는 형태
  • 지역 제한, 지역락, 지역 코드: 지역 제한 문서 참조

[]

  • 치트: 게임의 쉬운 플레이나 다른 플레이어보다 우월한 점수를 내기 위해서 데이터 조작 등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플레이하는 행위. 유명한 치트 코드로는 쇼미더머니코나미 커맨드 등이 존재한다.
  • 채널링: 이미 특정 사이트에서 서비스되는 게임을 다른 사이트에서도 제휴를 맺고 서비스하는 행위

[]

  • 카이팅: 원거리 공격을 하는 캐릭터가 적과 일정 거리를 두고서 적을 공격하는 행위
  • 캐삭: 릭터 제 혹은 제의 줄임말.
  • 쿠소게: 일본어로 똥쓰레기를 뜻하는 쿠소에서 유래된 단어로, 한국어로 번역하면 쓰레기 게임 정도가 될 수 있다. 순화할 언어가 없는 것도 아니고 충분히 대체가 가능한 용어이므로 쿠소게가 아닌 쓰레기 게임 등으로 바꾸는게 맞다는 의견과 이미 고유명사로 굳어진 이상 굳이 바꿀 필요가 없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 퀘스트: 게임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서 플레이어에게 달성하라고 하는 임무 혹은 행동.
  • 키마: 키보드+마우스의 줄임말.
  • 키셀러: CD키를 공식적으로 판매하는 사이트를 말하는말로, ESD와 비슷한 뜻이다.

[]

  • 탱커(탱킹): 파티원을 대신하여 적군의 공격을 받아주는 역할 혹은 그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
  • 트롤: 아군에게 피해를 주는 행위를 하는 행위.
  • 팀킬: 같은 팀을 죽이는 행위. 트롤의 대표적인 행위라고도 할 수 있다.

[]

  • 파밍: 게임 내에서 아이템을 모으는 행위
  • 파쿠르: 지형 구조물을 넘거나 이동하는 형식의 게임. 야마카시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나 야마카시는 실존하는 파쿠르의 팀 이름으로, 엄밀히 말하면 야마카시라는 표현은 잘못된 것이다.
  • 포트: 게임을 시스템 간에 옮겨서 이식하는 행위. 특히 이전 시스템으로 후퇴하는 경우는 백포트, 다운그레이드 등이라고도 한다. 원작을 만든 회사의 라이선스 허가 없이 포트시킨 경우에는 앞에 해적판(Pirated)이나 부틀렉(Bootleg) 등의 수식어가 붙는다.
  • 폭딜: 게임 내에서 낼 수 있는 최대한의 데미지로 적을 공격하는 행위
  • 프로토타입: 본격적인 제작에 앞서서 제작해보는 원형
  • 프리퀄: 항목 참조.
  • 플러그 앤드 플레이: 별도의 물리적인 설정이 없이 꽂으면(Plug) 바로 이용(Play)할 수 있는 기능
  • 피로도: 게임 플레이 시간이나 횟수가 일정량을 넘어서면 게임 내부에서의 이득이 줄어드는 시스템

[]

  • 하우징: 플레이어가 집을 짓는 콘텐츠
  • 한글패치/한국어패치: 외국어로 되는 게임에 한글을 지원하는 행위
  • 한글화/한국어화: 외국 게임 회사가 개발한 게임의 자막이나 음성이 한글을 지원하는 행위. 이 표현에 대해서 한글화가 맞느냐 한국어화가 맞느냐에 대한 논쟁이 있는데, 이에 대한 국립국어원의 답변은 ~화라는 표현 자체가 부적절하며, 굳이 찾는다면 한국어 번역이 맞다이다.
  • 핵: 게임 내의 해킹 프로그램
  • 헬렙: 게임에서 레벨을 굉장히 올리기 힘든 구간
  • 현질: 게임 내에서 캐쉬 등의 현금 요소를 구매하는 행위
  • 확장팩: 항목 참조.
  • 힐러(힐링): 파티원의 체력 회복을 도와주는 역할 혹은 그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

알파벳[]

  • AAA급 게임: 항목 참조
  • co-op(코옵): 2인 이상의 협동 플레이
  • CTD: 충돌로 인해 바탕화면으로 튕겨버리는 현상
  • DLC: 항목 참조.
  • DRM: 항목 참조.
  • ESD: ESD 문서 참조.
  • Mod: Mod 문서 참조.
  • MP: Magic Power의 약어로 마법 등을 이용하는 특수능력을 발동하는데 필요한 개념
  • NPC: 주로 롤플레잉 게임이나 온라인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직접 조종하지 않고 퀘스트 등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캐릭터
  • PK: Player Kill의 줄임말로 다른 플레이어를 줄이는 행위
  • PVE: 플레이어vs환경의 줄임말
  • PVP: 플레이어vs플레이어의 줄임말
  • GG: 유저 용어. 게임이 끝나고 나면 '좋은 게임이였다' '우리가 졌다' 등의 뜻으로 쓰인다.
  • F2P: Free to Play, 즉 부분 유료의 줄임말.
  • HP: Hit points의 약어로 몹이나 플레이어의 체력을 뜻하는 말.
  • QTE: 항목 참조.

별개의 문서로 분리된 용어 설명 문서들[]

게임 이름/용어 혹은 장르 이름/용어 문서들은 여기에 넣어주세요.

  • 쿠키런/용어

주석[]

<references />

틀:보충 필요틀:좋은글

</text>

     <model>wikitext</model>
     <format>text/x-wiki</format>
   </revision>
   <revision>
     <id>3098</id>
     <parentid>3038</parentid>
     <timestamp>2015-04-27T08:11:31Z</timestamp>
     <contributor>
       <username>MINT</username>
       <id>1</id>
     </contributor>
     <comment>/* ㅎ */</comment>
     <text xml:space="preserve" bytes="12790">* 본 문서는 비디오 게임의 용어를 다룹니다.
  • Ctrl+F를 눌러서 원하는 단어를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 누락된 단어가 많으니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 특정 게임/장르에서만 쓰는 용어는 되도록 해당 게임 문서 혹은 게임 이름/용어게임 장르/용어 문서 혹은 별개 문서에다가 작성해주세요.(ex.쿠키런/용어)
  • 설명이 충분히 길어져서 1500바이트 이상일 경우 정리 후 별개의 문서로 분리 부탁드리며, 분리 후에는 <nowiki>XX</nowiki>: 해당 문서 참조.의 형식으로 바꿔주세요.
  • 게임과 관련된 인터넷 밈은 이곳에서 서술하지 않습니다.
  • 유저들끼리 사용하는 용어(만렙 등)와 소프트웨어 용어(베이퍼웨어, 더미 데이터 등) 등이 모두 작성 가능합니다.
  • '렉' 등의 게이머들이 아닌 일반인들도 사용하는 용어들 역시 일부 작성이 가능합니다.
  • FPS 게임 등 장르에 관한 내용은 게임 장르 문서에서 서술해주십시오.
  • 아직 문서가 작성되지 않은 용어들에는 되도록 링크를 걸지 말아주세요.

[]

  • 강화: 특정 아이템의 능력치를 강력하게 하는 행위. 인챈트와 비슷하지만 새로운 능력이 추가되지는 않고 기존의 능력이 더 강해진다는 차이점이 있다.
  • 게임성: '작품성'을 게임에 접목한 단어라고 보면 된다.
  • 게임 불감증: 할 게임이 컴퓨터, 게임기 등에 많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할 게임이 없다'라고 생각하게 되는 병(?). 주로 <del>스팀 세일이나 번들 사이트 때문에</del> 게임을 무지막지하게 많이 구매하거나, 불법 복제를 많이 해서 생긴다.
  • 공략: 특정 게임을 플레이하는 방법이나 가이드를 총칭하는 말
  • 길드: 클랜이라고도 부르며, 일정한 목적을 가진 사람들이 모인 게임상의 집단
  • 길막: 플레이어가 길을 막고 있는 행위

[]

  • 나눔: 아이템이나 게임 그 자체를 보상 없이 선물받는 행위

[]

  • 더미 데이터: 더미 데이터 문서 참조.
  • 던전: RPG에서 몬스터가 밀집하여 위치한 지역
  • 대미지 딜러(딜러, 딜링): 항목 참조.
  • 데모: 영단어로 시연을 뜻하는 Demonstration의 약자로 사용자에게 게임을 체험받는 것을 의미한다.
  • 도전과제: 게임 내에서 일정한 목표를 달성하도록 유도하는 행위. 업적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동시접속자: 동일한 시간대에 게임 내에 접속한 사람의 수

[]

  • 레어템: 레어 아이템의 약어로 희귀한 아이템을 뜻한다.
  • 레이드: 주로 MMORPG에서 혼자서 클리어하기 힘든 컨텐츠를 여럿이서 클리어하는것
  • 레벨: 게임 세계에서의 일종의 등급
  • 룩덕: 자신이 플레이하는 캐릭터의 외관을 꾸미는 행위. 비슷한 용어로는 '룩딸'이 존재하지만 언어 자체가 비속어여서 그런지 룩덕이라는 용어가 더 많이 쓰인다.
  • 리셀러: 번역하면 되팔이 정도. CD키를 구매해서 유저들에게 다시 파는것을 말한다.
  • 리스폰: 특정 몹이나 보스, 캐릭터 등이 죽으면 다시 살아나는 것
  • 리젠: 특정 몹이나 캐릭터의 체력이 시간이 지나면 회복되는 것

[]

  • 만렙: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가지는 레벨의 한계
  • 매크로: 플레이어가 게임을 플레이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캐릭터가 특정 동작을 지속해서 플레이하는 행위. 주로 온라인 게임<ref>특히 AOSRPG</ref>에서 일어나는 현상이지만 다른 게임에서도 사용되기도 하며, 대부분의 게임에서는 이를 금지하고 있다.
  • 메즈: 상대방을 무력화시키는 기술
  • 모드: 모드 문서 참조.
  • 몹: 주로 롤플레잉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제거해야하는 적 캐릭터

[]

  • 바닐라: DLC나 확장팩, 모드, 애드온 등 게임의 추가 요소가 깔려있지 않은 게임
  • 바카게: 바카게 항목 참조.
  • 밸런스: 게임 내 캐릭터와 아이템들의 능력치.
  • 밸런스 붕괴: 밸런스가 조절되지 못하고 특정 아이템과 캐릭터의 능력치가 매우 강한 것
  • 버프: 주로 온라인 게임이나 롤플레잉 게임에서 캐릭터의 능력을 일시적으로 상승시켜주는 행위
  • 베이퍼웨어: 베이퍼웨어 항목 참조.
  • 보스: 주로 게임 맨 마지막에 등장하는 매우 강력한 캐릭터
  • 복돌러: 불법 복제 이용자인 복돌이들을 다르게 부르는 말.
  • 봇: 멀티플레이 게임에서 등장하는 인공지능 플레이어
  • 부분 유료화: 부분 유료화 문서 참조.
  • 불법 복제: 복돌이라고도 부른다. 말 그대로 게임을 불법으로 복제해서 토렌트/웹하드 등에서 다운로드 하는 것인데 이 과정에서 컴퓨터가 바이러스나 비트코인에게 잠식되어 게임 살 몇푼 아끼려다가 컴퓨터가 고인이 되는 일이 자주 일어난다. 음식을 돈 안내고 사먹는 것이 어떻게 하든 정당화가 될 수 없듯이 복돌이 역시 지역 제한이 걸렸거나 판권이 종료된 것이 아니라면 정당화 될 수 없다. #
  • 비라이선스, 비라이선스 게임: 비라이선스 문서 참조.

[]

  • 샌드박스: 게임에서 자유도를 극대화시킨 모드. 주로 뭔가를 건설하는 모드가 대다수이며, 이것만 집중적으로 부각시킨 게임이 샌드박스 게임이다.
  • 세이브: 현재 진행 상황을 저장하는 것
  • 스택: 스킬 등의 효과가 중첩되는 것
  • 스탠드 얼론: 항목 참조.
  • 쓰레기 게임: 쓰레기 게임 문서 참조.
  • 시즌패스: 특정 게임을 구매했을때 출시된+출시될 DLC를 모두 소유할 권리

[]

  • 아타리 쇼크: 아타리 쇼크 문서 참조.
  • 악마의 게임: 매우 재미있어서 지속적으로 플레이하게되는 중독성을 가지고 있는 게임.
  • 어밴던웨어: 제작자/제작사가 여러 사유로 공급을 중단한 소프트웨어
  • 액티브 유저: 해당 게임을 실질적으로 지속적으로 플레이하는 유저
  • 오버월드: 오버월드 문서 참조
  • 이스터 에그: 개발자가 장난을 위해서 게임에 메시지나 기능 등을 숨겨놓는 행위나 숨겨둔 것들. 게임 뿐 아니라 영화 등 다른 분야에서도 흔히 찾아볼 수 있다.
  • 인벤토리: 유저들이 소유하고 있는 물건을 보관하는 장소.
  • 인챈트: 무기/방어구/장신구 등의 성능을 업그레이드하는 시스템. 강화와 비슷하지만 주로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는 것을 의미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

  • 자동사냥: 매크로와 같은 뜻으로 사용되나 온라인 게임에 한정되는 단어이다.
  • 자유도: 게임 내에서 플레이어가 플레이를 결정하는데 선택할 수 있는 행위의 정도 혹은 자유로운 플레이가 가능한 정도
  • 정식 발매, 정발: 외국 게임에 대한 라이선스를 얻거나 유통사가 수입을 해서 자국에 발매하는 행위. 물론 외국 회사가 특정 국가에 직접 발매하기도 한다.
  • 정신적 후속작: 정신적 후속작 문서 참조.
  • 주얼~(쥬얼)<ref>주얼CD, 주얼게임, 주얼판 등 부르는 명칭이 많고 통일성이 없어 이렇게 처리</ref>: 패키지 게임에서 제공하는 패키지의 구성품을 모두 제외하고 CD만 유통하는 형태
  • 지역 제한, 지역락, 지역 코드: 지역 제한 문서 참조

[]

  • 치트: 게임의 쉬운 플레이나 다른 플레이어보다 우월한 점수를 내기 위해서 데이터 조작 등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플레이하는 행위. 유명한 치트 코드로는 쇼미더머니코나미 커맨드 등이 존재한다.
  • 채널링: 이미 특정 사이트에서 서비스되는 게임을 다른 사이트에서도 제휴를 맺고 서비스하는 행위

[]

  • 카이팅: 원거리 공격을 하는 캐릭터가 적과 일정 거리를 두고서 적을 공격하는 행위
  • 캐삭: 릭터 제 혹은 제의 줄임말.
  • 쿠소게: 일본어로 똥쓰레기를 뜻하는 쿠소에서 유래된 단어로, 한국어로 번역하면 쓰레기 게임 정도가 될 수 있다. 순화할 언어가 없는 것도 아니고 충분히 대체가 가능한 용어이므로 쿠소게가 아닌 쓰레기 게임 등으로 바꾸는게 맞다는 의견과 이미 고유명사로 굳어진 이상 굳이 바꿀 필요가 없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 퀘스트: 게임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서 플레이어에게 달성하라고 하는 임무 혹은 행동.
  • 키마: 키보드+마우스의 줄임말.
  • 키셀러: CD키를 공식적으로 판매하는 사이트를 말하는말로, ESD와 비슷한 뜻이다.

[]

  • 탱커(탱킹): 파티원을 대신하여 적군의 공격을 받아주는 역할 혹은 그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
  • 트롤: 아군에게 피해를 주는 행위를 하는 행위.
  • 팀킬: 같은 팀을 죽이는 행위. 트롤의 대표적인 행위라고도 할 수 있다.

[]

  • 파밍: 게임 내에서 아이템을 모으는 행위
  • 파쿠르: 지형 구조물을 넘거나 이동하는 형식의 게임. 야마카시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나 야마카시는 실존하는 파쿠르의 팀 이름으로, 엄밀히 말하면 야마카시라는 표현은 잘못된 것이다.
  • 포트: 게임을 시스템 간에 옮겨서 이식하는 행위. 특히 이전 시스템으로 후퇴하는 경우는 백포트, 다운그레이드 등이라고도 한다. 원작을 만든 회사의 라이선스 허가 없이 포트시킨 경우에는 앞에 해적판(Pirated)이나 부틀렉(Bootleg) 등의 수식어가 붙는다.
  • 폭딜: 게임 내에서 낼 수 있는 최대한의 데미지로 적을 공격하는 행위
  • 프로토타입: 본격적인 제작에 앞서서 제작해보는 원형
  • 프리퀄: 항목 참조.
  • 플러그 앤드 플레이: 별도의 물리적인 설정이 없이 꽂으면(Plug) 바로 이용(Play)할 수 있는 기능
  • 피로도: 게임 플레이 시간이나 횟수가 일정량을 넘어서면 게임 내부에서의 이득이 줄어드는 시스템

[]

  • 하우징: 플레이어가 집을 짓는 콘텐츠
  • 한글패치/한국어패치: 외국어로 되는 게임에 한글을 지원하는 행위
  • 한글화/한국어화: 외국 게임 회사가 개발한 게임의 자막이나 음성이 한글을 지원하는 행위. 이 표현에 대해서 한글화가 맞느냐 한국어화가 맞느냐에 대한 논쟁이 있는데, 이에 대한 국립국어원의 답변은 ~화라는 표현 자체가 부적절하며, 굳이 찾는다면 한국어 번역이 맞다이다.
  • 핵: 게임 내의 해킹 프로그램
  • 헬렙: 게임에서 레벨을 굉장히 올리기 힘든 구간
  • 현질: 게임 내에서 캐쉬 등의 현금 요소를 구매하는 행위
  • 확장팩: 항목 참조.
  • 힐러(힐링): 항목 참조.

알파벳[]

  • AAA급 게임: 항목 참조
  • co-op(코옵): 2인 이상의 협동 플레이
  • CTD: 충돌로 인해 바탕화면으로 튕겨버리는 현상
  • DLC: 항목 참조.
  • DRM: 항목 참조.
  • ESD: ESD 문서 참조.
  • Mod: Mod 문서 참조.
  • MP: Magic Power의 약어로 마법 등을 이용하는 특수능력을 발동하는데 필요한 개념
  • NPC: 주로 롤플레잉 게임이나 온라인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직접 조종하지 않고 퀘스트 등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캐릭터
  • PK: Player Kill의 줄임말로 다른 플레이어를 줄이는 행위
  • PVE: 플레이어vs환경의 줄임말
  • PVP: 플레이어vs플레이어의 줄임말
  • GG: 유저 용어. 게임이 끝나고 나면 '좋은 게임이였다' '우리가 졌다' 등의 뜻으로 쓰인다.
  • F2P: Free to Play, 즉 부분 유료의 줄임말.
  • HP: Hit points의 약어로 몹이나 플레이어의 체력을 뜻하는 말.
  • QTE: 항목 참조.

별개의 문서로 분리된 용어 설명 문서들[]

게임 이름/용어 혹은 장르 이름/용어 문서들은 여기에 넣어주세요.

  • 쿠키런/용어

주석[]

<references />

틀:보충 필요틀:좋은글

</text>

     <model>wikitext</model>
     <format>text/x-wiki</format>
   </revision>
   <revision>
     <id>3200</id>
     <parentid>3098</parentid>
     <timestamp>2015-05-03T02:27:56Z</timestamp>
     <contributor>
       <username>MINT</username>
       <id>1</id>
     </contributor>
     <comment>/* ㄴ */</comment>
     <text xml:space="preserve" bytes="12923">* 본 문서는 비디오 게임의 용어를 다룹니다.
  • Ctrl+F를 눌러서 원하는 단어를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 누락된 단어가 많으니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 특정 게임/장르에서만 쓰는 용어는 되도록 해당 게임 문서 혹은 게임 이름/용어게임 장르/용어 문서 혹은 별개 문서에다가 작성해주세요.(ex.쿠키런/용어)
  • 설명이 충분히 길어져서 1500바이트 이상일 경우 정리 후 별개의 문서로 분리 부탁드리며, 분리 후에는 <nowiki>XX</nowiki>: 해당 문서 참조.의 형식으로 바꿔주세요.
  • 게임과 관련된 인터넷 밈은 이곳에서 서술하지 않습니다.
  • 유저들끼리 사용하는 용어(만렙 등)와 소프트웨어 용어(베이퍼웨어, 더미 데이터 등) 등이 모두 작성 가능합니다.
  • '렉' 등의 게이머들이 아닌 일반인들도 사용하는 용어들 역시 일부 작성이 가능합니다.
  • FPS 게임 등 장르에 관한 내용은 게임 장르 문서에서 서술해주십시오.
  • 아직 문서가 작성되지 않은 용어들에는 되도록 링크를 걸지 말아주세요.

[]

  • 강화: 특정 아이템의 능력치를 강력하게 하는 행위. 인챈트와 비슷하지만 새로운 능력이 추가되지는 않고 기존의 능력이 더 강해진다는 차이점이 있다.
  • 게임성: '작품성'을 게임에 접목한 단어라고 보면 된다.
  • 게임 불감증: 할 게임이 컴퓨터, 게임기 등에 많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할 게임이 없다'라고 생각하게 되는 병(?). 주로 <del>스팀 세일이나 번들 사이트 때문에</del> 게임을 무지막지하게 많이 구매하거나, 불법 복제를 많이 해서 생긴다.
  • 공략: 특정 게임을 플레이하는 방법이나 가이드를 총칭하는 말
  • 길드: 클랜이라고도 부르며, 일정한 목적을 가진 사람들이 모인 게임상의 집단
  • 길막: 플레이어가 길을 막고 있는 행위

[]

  • 나눔: 아이템이나 게임 그 자체를 보상 없이 선물받는 행위
  • 누킹: 짧은 시간안에 폭발적인 양의 대미지를 주는것. 비슷한 뜻의 단어로 '극딜'과 '폭딜'이 있다.

[]

  • 더미 데이터: 더미 데이터 문서 참조.
  • 던전: RPG에서 몬스터가 밀집하여 위치한 지역
  • 대미지 딜러(딜러, 딜링): 항목 참조.
  • 데모: 영단어로 시연을 뜻하는 Demonstration의 약자로 사용자에게 게임을 체험받는 것을 의미한다.
  • 도전과제: 게임 내에서 일정한 목표를 달성하도록 유도하는 행위. 업적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동시접속자: 동일한 시간대에 게임 내에 접속한 사람의 수

[]

  • 레어템: 레어 아이템의 약어로 희귀한 아이템을 뜻한다.
  • 레이드: 주로 MMORPG에서 혼자서 클리어하기 힘든 컨텐츠를 여럿이서 클리어하는것
  • 레벨: 게임 세계에서의 일종의 등급
  • 룩덕: 자신이 플레이하는 캐릭터의 외관을 꾸미는 행위. 비슷한 용어로는 '룩딸'이 존재하지만 언어 자체가 비속어여서 그런지 룩덕이라는 용어가 더 많이 쓰인다.
  • 리셀러: 번역하면 되팔이 정도. CD키를 구매해서 유저들에게 다시 파는것을 말한다.
  • 리스폰: 특정 몹이나 보스, 캐릭터 등이 죽으면 다시 살아나는 것
  • 리젠: 특정 몹이나 캐릭터의 체력이 시간이 지나면 회복되는 것

[]

  • 만렙: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가지는 레벨의 한계
  • 매크로: 플레이어가 게임을 플레이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캐릭터가 특정 동작을 지속해서 플레이하는 행위. 주로 온라인 게임<ref>특히 AOSRPG</ref>에서 일어나는 현상이지만 다른 게임에서도 사용되기도 하며, 대부분의 게임에서는 이를 금지하고 있다.
  • 메즈: 상대방을 무력화시키는 기술
  • 모드: 모드 문서 참조.
  • 몹: 주로 롤플레잉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제거해야하는 적 캐릭터

[]

  • 바닐라: DLC나 확장팩, 모드, 애드온 등 게임의 추가 요소가 깔려있지 않은 게임
  • 바카게: 바카게 항목 참조.
  • 밸런스: 게임 내 캐릭터와 아이템들의 능력치.
  • 밸런스 붕괴: 밸런스가 조절되지 못하고 특정 아이템과 캐릭터의 능력치가 매우 강한 것
  • 버프: 주로 온라인 게임이나 롤플레잉 게임에서 캐릭터의 능력을 일시적으로 상승시켜주는 행위
  • 베이퍼웨어: 베이퍼웨어 항목 참조.
  • 보스: 주로 게임 맨 마지막에 등장하는 매우 강력한 캐릭터
  • 복돌러: 불법 복제 이용자인 복돌이들을 다르게 부르는 말.
  • 봇: 멀티플레이 게임에서 등장하는 인공지능 플레이어
  • 부분 유료화: 부분 유료화 문서 참조.
  • 불법 복제: 복돌이라고도 부른다. 말 그대로 게임을 불법으로 복제해서 토렌트/웹하드 등에서 다운로드 하는 것인데 이 과정에서 컴퓨터가 바이러스나 비트코인에게 잠식되어 게임 살 몇푼 아끼려다가 컴퓨터가 고인이 되는 일이 자주 일어난다. 음식을 돈 안내고 사먹는 것이 어떻게 하든 정당화가 될 수 없듯이 복돌이 역시 지역 제한이 걸렸거나 판권이 종료된 것이 아니라면 정당화 될 수 없다. #
  • 비라이선스, 비라이선스 게임: 비라이선스 문서 참조.

[]

  • 샌드박스: 게임에서 자유도를 극대화시킨 모드. 주로 뭔가를 건설하는 모드가 대다수이며, 이것만 집중적으로 부각시킨 게임이 샌드박스 게임이다.
  • 세이브: 현재 진행 상황을 저장하는 것
  • 스택: 스킬 등의 효과가 중첩되는 것
  • 스탠드 얼론: 항목 참조.
  • 쓰레기 게임: 쓰레기 게임 문서 참조.
  • 시즌패스: 특정 게임을 구매했을때 출시된+출시될 DLC를 모두 소유할 권리

[]

  • 아타리 쇼크: 아타리 쇼크 문서 참조.
  • 악마의 게임: 매우 재미있어서 지속적으로 플레이하게되는 중독성을 가지고 있는 게임.
  • 어밴던웨어: 제작자/제작사가 여러 사유로 공급을 중단한 소프트웨어
  • 액티브 유저: 해당 게임을 실질적으로 지속적으로 플레이하는 유저
  • 오버월드: 오버월드 문서 참조
  • 이스터 에그: 개발자가 장난을 위해서 게임에 메시지나 기능 등을 숨겨놓는 행위나 숨겨둔 것들. 게임 뿐 아니라 영화 등 다른 분야에서도 흔히 찾아볼 수 있다.
  • 인벤토리: 유저들이 소유하고 있는 물건을 보관하는 장소.
  • 인챈트: 무기/방어구/장신구 등의 성능을 업그레이드하는 시스템. 강화와 비슷하지만 주로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는 것을 의미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

  • 자동사냥: 매크로와 같은 뜻으로 사용되나 온라인 게임에 한정되는 단어이다.
  • 자유도: 게임 내에서 플레이어가 플레이를 결정하는데 선택할 수 있는 행위의 정도 혹은 자유로운 플레이가 가능한 정도
  • 정식 발매, 정발: 외국 게임에 대한 라이선스를 얻거나 유통사가 수입을 해서 자국에 발매하는 행위. 물론 외국 회사가 특정 국가에 직접 발매하기도 한다.
  • 정신적 후속작: 정신적 후속작 문서 참조.
  • 주얼~(쥬얼)<ref>주얼CD, 주얼게임, 주얼판 등 부르는 명칭이 많고 통일성이 없어 이렇게 처리</ref>: 패키지 게임에서 제공하는 패키지의 구성품을 모두 제외하고 CD만 유통하는 형태
  • 지역 제한, 지역락, 지역 코드: 지역 제한 문서 참조

[]

  • 치트: 게임의 쉬운 플레이나 다른 플레이어보다 우월한 점수를 내기 위해서 데이터 조작 등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플레이하는 행위. 유명한 치트 코드로는 쇼미더머니코나미 커맨드 등이 존재한다.
  • 채널링: 이미 특정 사이트에서 서비스되는 게임을 다른 사이트에서도 제휴를 맺고 서비스하는 행위

[]

  • 카이팅: 원거리 공격을 하는 캐릭터가 적과 일정 거리를 두고서 적을 공격하는 행위
  • 캐삭: 릭터 제 혹은 제의 줄임말.
  • 쿠소게: 일본어로 똥쓰레기를 뜻하는 쿠소에서 유래된 단어로, 한국어로 번역하면 쓰레기 게임 정도가 될 수 있다. 순화할 언어가 없는 것도 아니고 충분히 대체가 가능한 용어이므로 쿠소게가 아닌 쓰레기 게임 등으로 바꾸는게 맞다는 의견과 이미 고유명사로 굳어진 이상 굳이 바꿀 필요가 없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 퀘스트: 게임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서 플레이어에게 달성하라고 하는 임무 혹은 행동.
  • 키마: 키보드+마우스의 줄임말.
  • 키셀러: CD키를 공식적으로 판매하는 사이트를 말하는말로, ESD와 비슷한 뜻이다.

[]

  • 탱커(탱킹): 파티원을 대신하여 적군의 공격을 받아주는 역할 혹은 그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
  • 트롤: 아군에게 피해를 주는 행위를 하는 행위.
  • 팀킬: 같은 팀을 죽이는 행위. 트롤의 대표적인 행위라고도 할 수 있다.

[]

  • 파밍: 게임 내에서 아이템을 모으는 행위
  • 파쿠르: 지형 구조물을 넘거나 이동하는 형식의 게임. 야마카시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나 야마카시는 실존하는 파쿠르의 팀 이름으로, 엄밀히 말하면 야마카시라는 표현은 잘못된 것이다.
  • 포트: 게임을 시스템 간에 옮겨서 이식하는 행위. 특히 이전 시스템으로 후퇴하는 경우는 백포트, 다운그레이드 등이라고도 한다. 원작을 만든 회사의 라이선스 허가 없이 포트시킨 경우에는 앞에 해적판(Pirated)이나 부틀렉(Bootleg) 등의 수식어가 붙는다.
  • 폭딜: 게임 내에서 낼 수 있는 최대한의 데미지로 적을 공격하는 행위
  • 프로토타입: 본격적인 제작에 앞서서 제작해보는 원형
  • 프리퀄: 항목 참조.
  • 플러그 앤드 플레이: 별도의 물리적인 설정이 없이 꽂으면(Plug) 바로 이용(Play)할 수 있는 기능
  • 피로도: 게임 플레이 시간이나 횟수가 일정량을 넘어서면 게임 내부에서의 이득이 줄어드는 시스템

[]

  • 하우징: 플레이어가 집을 짓는 콘텐츠
  • 한글패치/한국어패치: 외국어로 되는 게임에 한글을 지원하는 행위
  • 한글화/한국어화: 외국 게임 회사가 개발한 게임의 자막이나 음성이 한글을 지원하는 행위. 이 표현에 대해서 한글화가 맞느냐 한국어화가 맞느냐에 대한 논쟁이 있는데, 이에 대한 국립국어원의 답변은 ~화라는 표현 자체가 부적절하며, 굳이 찾는다면 한국어 번역이 맞다이다.
  • 핵: 게임 내의 해킹 프로그램
  • 헬렙: 게임에서 레벨을 굉장히 올리기 힘든 구간
  • 현질: 게임 내에서 캐쉬 등의 현금 요소를 구매하는 행위
  • 확장팩: 항목 참조.
  • 힐러(힐링): 항목 참조.

알파벳[]

  • AAA급 게임: 항목 참조
  • co-op(코옵): 2인 이상의 협동 플레이
  • CTD: 충돌로 인해 바탕화면으로 튕겨버리는 현상
  • DLC: 항목 참조.
  • DRM: 항목 참조.
  • ESD: ESD 문서 참조.
  • Mod: Mod 문서 참조.
  • MP: Magic Power의 약어로 마법 등을 이용하는 특수능력을 발동하는데 필요한 개념
  • NPC: 주로 롤플레잉 게임이나 온라인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직접 조종하지 않고 퀘스트 등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캐릭터
  • PK: Player Kill의 줄임말로 다른 플레이어를 줄이는 행위
  • PVE: 플레이어vs환경의 줄임말
  • PVP: 플레이어vs플레이어의 줄임말
  • GG: 유저 용어. 게임이 끝나고 나면 '좋은 게임이였다' '우리가 졌다' 등의 뜻으로 쓰인다.
  • F2P: Free to Play, 즉 부분 유료의 줄임말.
  • HP: Hit points의 약어로 몹이나 플레이어의 체력을 뜻하는 말.
  • QTE: 항목 참조.

별개의 문서로 분리된 용어 설명 문서들[]

게임 이름/용어 혹은 장르 이름/용어 문서들은 여기에 넣어주세요.

  • 쿠키런/용어

주석[]

<references />

틀:보충 필요틀:좋은글

</text>

     <model>wikitext</model>
     <format>text/x-wiki</format>
   </revision>
   <revision>
     <id>3505</id>
     <parentid>3200</parentid>
     <timestamp>2015-05-17T04:33:37Z</timestamp>
     <contributor>
       <username>MINT</username>
       <id>1</id>
     </contributor>
     <comment>/* ㅍ */</comment>
     <text xml:space="preserve" bytes="12909">* 본 문서는 비디오 게임의 용어를 다룹니다.
  • Ctrl+F를 눌러서 원하는 단어를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 누락된 단어가 많으니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 특정 게임/장르에서만 쓰는 용어는 되도록 해당 게임 문서 혹은 게임 이름/용어게임 장르/용어 문서 혹은 별개 문서에다가 작성해주세요.(ex.쿠키런/용어)
  • 설명이 충분히 길어져서 1500바이트 이상일 경우 정리 후 별개의 문서로 분리 부탁드리며, 분리 후에는 <nowiki>XX</nowiki>: 해당 문서 참조.의 형식으로 바꿔주세요.
  • 게임과 관련된 인터넷 밈은 이곳에서 서술하지 않습니다.
  • 유저들끼리 사용하는 용어(만렙 등)와 소프트웨어 용어(베이퍼웨어, 더미 데이터 등) 등이 모두 작성 가능합니다.
  • '렉' 등의 게이머들이 아닌 일반인들도 사용하는 용어들 역시 일부 작성이 가능합니다.
  • FPS 게임 등 장르에 관한 내용은 게임 장르 문서에서 서술해주십시오.
  • 아직 문서가 작성되지 않은 용어들에는 되도록 링크를 걸지 말아주세요.

[]

  • 강화: 특정 아이템의 능력치를 강력하게 하는 행위. 인챈트와 비슷하지만 새로운 능력이 추가되지는 않고 기존의 능력이 더 강해진다는 차이점이 있다.
  • 게임성: '작품성'을 게임에 접목한 단어라고 보면 된다.
  • 게임 불감증: 할 게임이 컴퓨터, 게임기 등에 많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할 게임이 없다'라고 생각하게 되는 병(?). 주로 <del>스팀 세일이나 번들 사이트 때문에</del> 게임을 무지막지하게 많이 구매하거나, 불법 복제를 많이 해서 생긴다.
  • 공략: 특정 게임을 플레이하는 방법이나 가이드를 총칭하는 말
  • 길드: 클랜이라고도 부르며, 일정한 목적을 가진 사람들이 모인 게임상의 집단
  • 길막: 플레이어가 길을 막고 있는 행위

[]

  • 나눔: 아이템이나 게임 그 자체를 보상 없이 선물받는 행위
  • 누킹: 짧은 시간안에 폭발적인 양의 대미지를 주는것. 비슷한 뜻의 단어로 '극딜'과 '폭딜'이 있다.

[]

  • 더미 데이터: 더미 데이터 문서 참조.
  • 던전: RPG에서 몬스터가 밀집하여 위치한 지역
  • 대미지 딜러(딜러, 딜링): 항목 참조.
  • 데모: 영단어로 시연을 뜻하는 Demonstration의 약자로 사용자에게 게임을 체험받는 것을 의미한다.
  • 도전과제: 게임 내에서 일정한 목표를 달성하도록 유도하는 행위. 업적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동시접속자: 동일한 시간대에 게임 내에 접속한 사람의 수

[]

  • 레어템: 레어 아이템의 약어로 희귀한 아이템을 뜻한다.
  • 레이드: 주로 MMORPG에서 혼자서 클리어하기 힘든 컨텐츠를 여럿이서 클리어하는것
  • 레벨: 게임 세계에서의 일종의 등급
  • 룩덕: 자신이 플레이하는 캐릭터의 외관을 꾸미는 행위. 비슷한 용어로는 '룩딸'이 존재하지만 언어 자체가 비속어여서 그런지 룩덕이라는 용어가 더 많이 쓰인다.
  • 리셀러: 번역하면 되팔이 정도. CD키를 구매해서 유저들에게 다시 파는것을 말한다.
  • 리스폰: 특정 몹이나 보스, 캐릭터 등이 죽으면 다시 살아나는 것
  • 리젠: 특정 몹이나 캐릭터의 체력이 시간이 지나면 회복되는 것

[]

  • 만렙: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가지는 레벨의 한계
  • 매크로: 플레이어가 게임을 플레이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캐릭터가 특정 동작을 지속해서 플레이하는 행위. 주로 온라인 게임<ref>특히 AOSRPG</ref>에서 일어나는 현상이지만 다른 게임에서도 사용되기도 하며, 대부분의 게임에서는 이를 금지하고 있다.
  • 메즈: 상대방을 무력화시키는 기술
  • 모드: 모드 문서 참조.
  • 몹: 주로 롤플레잉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제거해야하는 적 캐릭터

[]

  • 바닐라: DLC나 확장팩, 모드, 애드온 등 게임의 추가 요소가 깔려있지 않은 게임
  • 바카게: 바카게 항목 참조.
  • 밸런스: 게임 내 캐릭터와 아이템들의 능력치.
  • 밸런스 붕괴: 밸런스가 조절되지 못하고 특정 아이템과 캐릭터의 능력치가 매우 강한 것
  • 버프: 주로 온라인 게임이나 롤플레잉 게임에서 캐릭터의 능력을 일시적으로 상승시켜주는 행위
  • 베이퍼웨어: 베이퍼웨어 항목 참조.
  • 보스: 주로 게임 맨 마지막에 등장하는 매우 강력한 캐릭터
  • 복돌러: 불법 복제 이용자인 복돌이들을 다르게 부르는 말.
  • 봇: 멀티플레이 게임에서 등장하는 인공지능 플레이어
  • 부분 유료화: 부분 유료화 문서 참조.
  • 불법 복제: 복돌이라고도 부른다. 말 그대로 게임을 불법으로 복제해서 토렌트/웹하드 등에서 다운로드 하는 것인데 이 과정에서 컴퓨터가 바이러스나 비트코인에게 잠식되어 게임 살 몇푼 아끼려다가 컴퓨터가 고인이 되는 일이 자주 일어난다. 음식을 돈 안내고 사먹는 것이 어떻게 하든 정당화가 될 수 없듯이 복돌이 역시 지역 제한이 걸렸거나 판권이 종료된 것이 아니라면 정당화 될 수 없다. #
  • 비라이선스, 비라이선스 게임: 비라이선스 문서 참조.

[]

  • 샌드박스: 게임에서 자유도를 극대화시킨 모드. 주로 뭔가를 건설하는 모드가 대다수이며, 이것만 집중적으로 부각시킨 게임이 샌드박스 게임이다.
  • 세이브: 현재 진행 상황을 저장하는 것
  • 스택: 스킬 등의 효과가 중첩되는 것
  • 스탠드 얼론: 항목 참조.
  • 쓰레기 게임: 쓰레기 게임 문서 참조.
  • 시즌패스: 특정 게임을 구매했을때 출시된+출시될 DLC를 모두 소유할 권리

[]

  • 아타리 쇼크: 아타리 쇼크 문서 참조.
  • 악마의 게임: 매우 재미있어서 지속적으로 플레이하게되는 중독성을 가지고 있는 게임.
  • 어밴던웨어: 제작자/제작사가 여러 사유로 공급을 중단한 소프트웨어
  • 액티브 유저: 해당 게임을 실질적으로 지속적으로 플레이하는 유저
  • 오버월드: 오버월드 문서 참조
  • 이스터 에그: 개발자가 장난을 위해서 게임에 메시지나 기능 등을 숨겨놓는 행위나 숨겨둔 것들. 게임 뿐 아니라 영화 등 다른 분야에서도 흔히 찾아볼 수 있다.
  • 인벤토리: 유저들이 소유하고 있는 물건을 보관하는 장소.
  • 인챈트: 무기/방어구/장신구 등의 성능을 업그레이드하는 시스템. 강화와 비슷하지만 주로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는 것을 의미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

  • 자동사냥: 매크로와 같은 뜻으로 사용되나 온라인 게임에 한정되는 단어이다.
  • 자유도: 게임 내에서 플레이어가 플레이를 결정하는데 선택할 수 있는 행위의 정도 혹은 자유로운 플레이가 가능한 정도
  • 정식 발매, 정발: 외국 게임에 대한 라이선스를 얻거나 유통사가 수입을 해서 자국에 발매하는 행위. 물론 외국 회사가 특정 국가에 직접 발매하기도 한다.
  • 정신적 후속작: 정신적 후속작 문서 참조.
  • 주얼~(쥬얼)<ref>주얼CD, 주얼게임, 주얼판 등 부르는 명칭이 많고 통일성이 없어 이렇게 처리</ref>: 패키지 게임에서 제공하는 패키지의 구성품을 모두 제외하고 CD만 유통하는 형태
  • 지역 제한, 지역락, 지역 코드: 지역 제한 문서 참조

[]

  • 치트: 게임의 쉬운 플레이나 다른 플레이어보다 우월한 점수를 내기 위해서 데이터 조작 등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플레이하는 행위. 유명한 치트 코드로는 쇼미더머니코나미 커맨드 등이 존재한다.
  • 채널링: 이미 특정 사이트에서 서비스되는 게임을 다른 사이트에서도 제휴를 맺고 서비스하는 행위

[]

  • 카이팅: 원거리 공격을 하는 캐릭터가 적과 일정 거리를 두고서 적을 공격하는 행위
  • 캐삭: 릭터 제 혹은 제의 줄임말.
  • 쿠소게: 일본어로 똥쓰레기를 뜻하는 쿠소에서 유래된 단어로, 한국어로 번역하면 쓰레기 게임 정도가 될 수 있다. 순화할 언어가 없는 것도 아니고 충분히 대체가 가능한 용어이므로 쿠소게가 아닌 쓰레기 게임 등으로 바꾸는게 맞다는 의견과 이미 고유명사로 굳어진 이상 굳이 바꿀 필요가 없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 퀘스트: 게임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서 플레이어에게 달성하라고 하는 임무 혹은 행동.
  • 키마: 키보드+마우스의 줄임말.
  • 키셀러: CD키를 공식적으로 판매하는 사이트를 말하는말로, ESD와 비슷한 뜻이다.

[]

  • 탱커(탱킹): 파티원을 대신하여 적군의 공격을 받아주는 역할 혹은 그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
  • 트롤: 아군에게 피해를 주는 행위를 하는 행위.
  • 팀킬: 같은 팀을 죽이는 행위. 트롤의 대표적인 행위라고도 할 수 있다.

[]

  • 파밍: 게임 내에서 아이템을 모으는 행위
  • 파쿠르: 지형 구조물을 넘거나 이동하는것. 야마카시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나 야마카시는 실존하는 파쿠르의 팀 이름으로, 엄밀히 말하면 야마카시라는 표현은 잘못된 것이다.
  • 포트: 게임을 시스템 간에 옮겨서 이식하는 행위. 특히 이전 시스템으로 후퇴하는 경우는 백포트, 다운그레이드 등이라고도 한다. 원작을 만든 회사의 라이선스 허가 없이 포트시킨 경우에는 앞에 해적판(Pirated)이나 부틀렉(Bootleg) 등의 수식어가 붙는다.
  • 폭딜: 게임 내에서 낼 수 있는 최대한의 데미지로 적을 공격하는 행위
  • 프로토타입: 본격적인 제작에 앞서서 제작해보는 원형
  • 프리퀄: 항목 참조.
  • 플러그 앤드 플레이: 별도의 물리적인 설정이 없이 꽂으면(Plug) 바로 이용(Play)할 수 있는 기능
  • 피로도: 게임 플레이 시간이나 횟수가 일정량을 넘어서면 게임 내부에서의 이득이 줄어드는 시스템

[]

  • 하우징: 플레이어가 집을 짓는 콘텐츠
  • 한글패치/한국어패치: 외국어로 되는 게임에 한글을 지원하는 행위
  • 한글화/한국어화: 외국 게임 회사가 개발한 게임의 자막이나 음성이 한글을 지원하는 행위. 이 표현에 대해서 한글화가 맞느냐 한국어화가 맞느냐에 대한 논쟁이 있는데, 이에 대한 국립국어원의 답변은 ~화라는 표현 자체가 부적절하며, 굳이 찾는다면 한국어 번역이 맞다이다.
  • 핵: 게임 내의 해킹 프로그램
  • 헬렙: 게임에서 레벨을 굉장히 올리기 힘든 구간
  • 현질: 게임 내에서 캐쉬 등의 현금 요소를 구매하는 행위
  • 확장팩: 항목 참조.
  • 힐러(힐링): 항목 참조.

알파벳[]

  • AAA급 게임: 항목 참조
  • co-op(코옵): 2인 이상의 협동 플레이
  • CTD: 충돌로 인해 바탕화면으로 튕겨버리는 현상
  • DLC: 항목 참조.
  • DRM: 항목 참조.
  • ESD: ESD 문서 참조.
  • Mod: Mod 문서 참조.
  • MP: Magic Power의 약어로 마법 등을 이용하는 특수능력을 발동하는데 필요한 개념
  • NPC: 주로 롤플레잉 게임이나 온라인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직접 조종하지 않고 퀘스트 등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캐릭터
  • PK: Player Kill의 줄임말로 다른 플레이어를 줄이는 행위
  • PVE: 플레이어vs환경의 줄임말
  • PVP: 플레이어vs플레이어의 줄임말
  • GG: 유저 용어. 게임이 끝나고 나면 '좋은 게임이였다' '우리가 졌다' 등의 뜻으로 쓰인다.
  • F2P: Free to Play, 즉 부분 유료의 줄임말.
  • HP: Hit points의 약어로 몹이나 플레이어의 체력을 뜻하는 말.
  • QTE: 항목 참조.

별개의 문서로 분리된 용어 설명 문서들[]

게임 이름/용어 혹은 장르 이름/용어 문서들은 여기에 넣어주세요.

  • 쿠키런/용어

주석[]

<references />

틀:보충 필요틀:좋은글

</text>

     <model>wikitext</model>
     <format>text/x-wiki</format>
   </revision>
   <revision>
     <id>3534</id>
     <parentid>3505</parentid>
     <timestamp>2015-05-19T00:40:38Z</timestamp>
     <contributor>
       <username>MINT</username>
       <id>1</id>
     </contributor>
     <comment>/* ㄴ */</comment>
     <text xml:space="preserve" bytes="12820">* 본 문서는 비디오 게임의 용어를 다룹니다.
  • Ctrl+F를 눌러서 원하는 단어를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 누락된 단어가 많으니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 특정 게임/장르에서만 쓰는 용어는 되도록 해당 게임 문서 혹은 게임 이름/용어게임 장르/용어 문서 혹은 별개 문서에다가 작성해주세요.(ex.쿠키런/용어)
  • 설명이 충분히 길어져서 1500바이트 이상일 경우 정리 후 별개의 문서로 분리 부탁드리며, 분리 후에는 <nowiki>XX</nowiki>: 해당 문서 참조.의 형식으로 바꿔주세요.
  • 게임과 관련된 인터넷 밈은 이곳에서 서술하지 않습니다.
  • 유저들끼리 사용하는 용어(만렙 등)와 소프트웨어 용어(베이퍼웨어, 더미 데이터 등) 등이 모두 작성 가능합니다.
  • '렉' 등의 게이머들이 아닌 일반인들도 사용하는 용어들 역시 일부 작성이 가능합니다.
  • FPS 게임 등 장르에 관한 내용은 게임 장르 문서에서 서술해주십시오.
  • 아직 문서가 작성되지 않은 용어들에는 되도록 링크를 걸지 말아주세요.

[]

  • 강화: 특정 아이템의 능력치를 강력하게 하는 행위. 인챈트와 비슷하지만 새로운 능력이 추가되지는 않고 기존의 능력이 더 강해진다는 차이점이 있다.
  • 게임성: '작품성'을 게임에 접목한 단어라고 보면 된다.
  • 게임 불감증: 할 게임이 컴퓨터, 게임기 등에 많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할 게임이 없다'라고 생각하게 되는 병(?). 주로 <del>스팀 세일이나 번들 사이트 때문에</del> 게임을 무지막지하게 많이 구매하거나, 불법 복제를 많이 해서 생긴다.
  • 공략: 특정 게임을 플레이하는 방법이나 가이드를 총칭하는 말
  • 길드: 클랜이라고도 부르며, 일정한 목적을 가진 사람들이 모인 게임상의 집단
  • 길막: 플레이어가 길을 막고 있는 행위

[]

  • 나눔: 아이템이나 게임 그 자체를 보상 없이 선물받는 행위
  • 누커, 누킹: 누커 항목 참조.

[]

  • 더미 데이터: 더미 데이터 문서 참조.
  • 던전: RPG에서 몬스터가 밀집하여 위치한 지역
  • 대미지 딜러(딜러, 딜링): 항목 참조.
  • 데모: 영단어로 시연을 뜻하는 Demonstration의 약자로 사용자에게 게임을 체험받는 것을 의미한다.
  • 도전과제: 게임 내에서 일정한 목표를 달성하도록 유도하는 행위. 업적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동시접속자: 동일한 시간대에 게임 내에 접속한 사람의 수

[]

  • 레어템: 레어 아이템의 약어로 희귀한 아이템을 뜻한다.
  • 레이드: 주로 MMORPG에서 혼자서 클리어하기 힘든 컨텐츠를 여럿이서 클리어하는것
  • 레벨: 게임 세계에서의 일종의 등급
  • 룩덕: 자신이 플레이하는 캐릭터의 외관을 꾸미는 행위. 비슷한 용어로는 '룩딸'이 존재하지만 언어 자체가 비속어여서 그런지 룩덕이라는 용어가 더 많이 쓰인다.
  • 리셀러: 번역하면 되팔이 정도. CD키를 구매해서 유저들에게 다시 파는것을 말한다.
  • 리스폰: 특정 몹이나 보스, 캐릭터 등이 죽으면 다시 살아나는 것
  • 리젠: 특정 몹이나 캐릭터의 체력이 시간이 지나면 회복되는 것

[]

  • 만렙: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가지는 레벨의 한계
  • 매크로: 플레이어가 게임을 플레이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캐릭터가 특정 동작을 지속해서 플레이하는 행위. 주로 온라인 게임<ref>특히 AOSRPG</ref>에서 일어나는 현상이지만 다른 게임에서도 사용되기도 하며, 대부분의 게임에서는 이를 금지하고 있다.
  • 메즈: 상대방을 무력화시키는 기술
  • 모드: 모드 문서 참조.
  • 몹: 주로 롤플레잉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제거해야하는 적 캐릭터

[]

  • 바닐라: DLC나 확장팩, 모드, 애드온 등 게임의 추가 요소가 깔려있지 않은 게임
  • 바카게: 바카게 항목 참조.
  • 밸런스: 게임 내 캐릭터와 아이템들의 능력치.
  • 밸런스 붕괴: 밸런스가 조절되지 못하고 특정 아이템과 캐릭터의 능력치가 매우 강한 것
  • 버프: 주로 온라인 게임이나 롤플레잉 게임에서 캐릭터의 능력을 일시적으로 상승시켜주는 행위
  • 베이퍼웨어: 베이퍼웨어 항목 참조.
  • 보스: 주로 게임 맨 마지막에 등장하는 매우 강력한 캐릭터
  • 복돌러: 불법 복제 이용자인 복돌이들을 다르게 부르는 말.
  • 봇: 멀티플레이 게임에서 등장하는 인공지능 플레이어
  • 부분 유료화: 부분 유료화 문서 참조.
  • 불법 복제: 복돌이라고도 부른다. 말 그대로 게임을 불법으로 복제해서 토렌트/웹하드 등에서 다운로드 하는 것인데 이 과정에서 컴퓨터가 바이러스나 비트코인에게 잠식되어 게임 살 몇푼 아끼려다가 컴퓨터가 고인이 되는 일이 자주 일어난다. 음식을 돈 안내고 사먹는 것이 어떻게 하든 정당화가 될 수 없듯이 복돌이 역시 지역 제한이 걸렸거나 판권이 종료된 것이 아니라면 정당화 될 수 없다. #
  • 비라이선스, 비라이선스 게임: 비라이선스 문서 참조.

[]

  • 샌드박스: 게임에서 자유도를 극대화시킨 모드. 주로 뭔가를 건설하는 모드가 대다수이며, 이것만 집중적으로 부각시킨 게임이 샌드박스 게임이다.
  • 세이브: 현재 진행 상황을 저장하는 것
  • 스택: 스킬 등의 효과가 중첩되는 것
  • 스탠드 얼론: 항목 참조.
  • 쓰레기 게임: 쓰레기 게임 문서 참조.
  • 시즌패스: 특정 게임을 구매했을때 출시된+출시될 DLC를 모두 소유할 권리

[]

  • 아타리 쇼크: 아타리 쇼크 문서 참조.
  • 악마의 게임: 매우 재미있어서 지속적으로 플레이하게되는 중독성을 가지고 있는 게임.
  • 어밴던웨어: 제작자/제작사가 여러 사유로 공급을 중단한 소프트웨어
  • 액티브 유저: 해당 게임을 실질적으로 지속적으로 플레이하는 유저
  • 오버월드: 오버월드 문서 참조
  • 이스터 에그: 개발자가 장난을 위해서 게임에 메시지나 기능 등을 숨겨놓는 행위나 숨겨둔 것들. 게임 뿐 아니라 영화 등 다른 분야에서도 흔히 찾아볼 수 있다.
  • 인벤토리: 유저들이 소유하고 있는 물건을 보관하는 장소.
  • 인챈트: 무기/방어구/장신구 등의 성능을 업그레이드하는 시스템. 강화와 비슷하지만 주로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는 것을 의미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

  • 자동사냥: 매크로와 같은 뜻으로 사용되나 온라인 게임에 한정되는 단어이다.
  • 자유도: 게임 내에서 플레이어가 플레이를 결정하는데 선택할 수 있는 행위의 정도 혹은 자유로운 플레이가 가능한 정도
  • 정식 발매, 정발: 외국 게임에 대한 라이선스를 얻거나 유통사가 수입을 해서 자국에 발매하는 행위. 물론 외국 회사가 특정 국가에 직접 발매하기도 한다.
  • 정신적 후속작: 정신적 후속작 문서 참조.
  • 주얼~(쥬얼)<ref>주얼CD, 주얼게임, 주얼판 등 부르는 명칭이 많고 통일성이 없어 이렇게 처리</ref>: 패키지 게임에서 제공하는 패키지의 구성품을 모두 제외하고 CD만 유통하는 형태
  • 지역 제한, 지역락, 지역 코드: 지역 제한 문서 참조

[]

  • 치트: 게임의 쉬운 플레이나 다른 플레이어보다 우월한 점수를 내기 위해서 데이터 조작 등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플레이하는 행위. 유명한 치트 코드로는 쇼미더머니코나미 커맨드 등이 존재한다.
  • 채널링: 이미 특정 사이트에서 서비스되는 게임을 다른 사이트에서도 제휴를 맺고 서비스하는 행위

[]

  • 카이팅: 원거리 공격을 하는 캐릭터가 적과 일정 거리를 두고서 적을 공격하는 행위
  • 캐삭: 릭터 제 혹은 제의 줄임말.
  • 쿠소게: 일본어로 똥쓰레기를 뜻하는 쿠소에서 유래된 단어로, 한국어로 번역하면 쓰레기 게임 정도가 될 수 있다. 순화할 언어가 없는 것도 아니고 충분히 대체가 가능한 용어이므로 쿠소게가 아닌 쓰레기 게임 등으로 바꾸는게 맞다는 의견과 이미 고유명사로 굳어진 이상 굳이 바꿀 필요가 없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 퀘스트: 게임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서 플레이어에게 달성하라고 하는 임무 혹은 행동.
  • 키마: 키보드+마우스의 줄임말.
  • 키셀러: CD키를 공식적으로 판매하는 사이트를 말하는말로, ESD와 비슷한 뜻이다.

[]

  • 탱커(탱킹): 파티원을 대신하여 적군의 공격을 받아주는 역할 혹은 그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
  • 트롤: 아군에게 피해를 주는 행위를 하는 행위.
  • 팀킬: 같은 팀을 죽이는 행위. 트롤의 대표적인 행위라고도 할 수 있다.

[]

  • 파밍: 게임 내에서 아이템을 모으는 행위
  • 파쿠르: 지형 구조물을 넘거나 이동하는것. 야마카시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나 야마카시는 실존하는 파쿠르의 팀 이름으로, 엄밀히 말하면 야마카시라는 표현은 잘못된 것이다.
  • 포트: 게임을 시스템 간에 옮겨서 이식하는 행위. 특히 이전 시스템으로 후퇴하는 경우는 백포트, 다운그레이드 등이라고도 한다. 원작을 만든 회사의 라이선스 허가 없이 포트시킨 경우에는 앞에 해적판(Pirated)이나 부틀렉(Bootleg) 등의 수식어가 붙는다.
  • 폭딜: 게임 내에서 낼 수 있는 최대한의 데미지로 적을 공격하는 행위
  • 프로토타입: 본격적인 제작에 앞서서 제작해보는 원형
  • 프리퀄: 항목 참조.
  • 플러그 앤드 플레이: 별도의 물리적인 설정이 없이 꽂으면(Plug) 바로 이용(Play)할 수 있는 기능
  • 피로도: 게임 플레이 시간이나 횟수가 일정량을 넘어서면 게임 내부에서의 이득이 줄어드는 시스템

[]

  • 하우징: 플레이어가 집을 짓는 콘텐츠
  • 한글패치/한국어패치: 외국어로 되는 게임에 한글을 지원하는 행위
  • 한글화/한국어화: 외국 게임 회사가 개발한 게임의 자막이나 음성이 한글을 지원하는 행위. 이 표현에 대해서 한글화가 맞느냐 한국어화가 맞느냐에 대한 논쟁이 있는데, 이에 대한 국립국어원의 답변은 ~화라는 표현 자체가 부적절하며, 굳이 찾는다면 한국어 번역이 맞다이다.
  • 핵: 게임 내의 해킹 프로그램
  • 헬렙: 게임에서 레벨을 굉장히 올리기 힘든 구간
  • 현질: 게임 내에서 캐쉬 등의 현금 요소를 구매하는 행위
  • 확장팩: 항목 참조.
  • 힐러(힐링): 항목 참조.

알파벳[]

  • AAA급 게임: 항목 참조
  • co-op(코옵): 2인 이상의 협동 플레이
  • CTD: 충돌로 인해 바탕화면으로 튕겨버리는 현상
  • DLC: 항목 참조.
  • DRM: 항목 참조.
  • ESD: ESD 문서 참조.
  • Mod: Mod 문서 참조.
  • MP: Magic Power의 약어로 마법 등을 이용하는 특수능력을 발동하는데 필요한 개념
  • NPC: 주로 롤플레잉 게임이나 온라인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직접 조종하지 않고 퀘스트 등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캐릭터
  • PK: Player Kill의 줄임말로 다른 플레이어를 줄이는 행위
  • PVE: 플레이어vs환경의 줄임말
  • PVP: 플레이어vs플레이어의 줄임말
  • GG: 유저 용어. 게임이 끝나고 나면 '좋은 게임이였다' '우리가 졌다' 등의 뜻으로 쓰인다.
  • F2P: Free to Play, 즉 부분 유료의 줄임말.
  • HP: Hit points의 약어로 몹이나 플레이어의 체력을 뜻하는 말.
  • QTE: 항목 참조.

별개의 문서로 분리된 용어 설명 문서들[]

게임 이름/용어 혹은 장르 이름/용어 문서들은 여기에 넣어주세요.

  • 쿠키런/용어

주석[]

<references />

틀:보충 필요틀:좋은글

</text>

     <model>wikitext</model>
     <format>text/x-wiki</format>
   </revision>
   <revision>
     <id>3595</id>
     <parentid>3534</parentid>
     <timestamp>2015-05-20T13:14:01Z</timestamp>
     <contributor>
       <username>MINT</username>
       <id>1</id>
     </contributor>
     <comment>/* ㅎ */</comment>
     <text xml:space="preserve" bytes="12852">* 본 문서는 비디오 게임의 용어를 다룹니다.
  • Ctrl+F를 눌러서 원하는 단어를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 누락된 단어가 많으니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 특정 게임/장르에서만 쓰는 용어는 되도록 해당 게임 문서 혹은 게임 이름/용어게임 장르/용어 문서 혹은 별개 문서에다가 작성해주세요.(ex.쿠키런/용어)
  • 설명이 충분히 길어져서 1500바이트 이상일 경우 정리 후 별개의 문서로 분리 부탁드리며, 분리 후에는 <nowiki>XX</nowiki>: 해당 문서 참조.의 형식으로 바꿔주세요.
  • 게임과 관련된 인터넷 밈은 이곳에서 서술하지 않습니다.
  • 유저들끼리 사용하는 용어(만렙 등)와 소프트웨어 용어(베이퍼웨어, 더미 데이터 등) 등이 모두 작성 가능합니다.
  • '렉' 등의 게이머들이 아닌 일반인들도 사용하는 용어들 역시 일부 작성이 가능합니다.
  • FPS 게임 등 장르에 관한 내용은 게임 장르 문서에서 서술해주십시오.
  • 아직 문서가 작성되지 않은 용어들에는 되도록 링크를 걸지 말아주세요.

[]

  • 강화: 특정 아이템의 능력치를 강력하게 하는 행위. 인챈트와 비슷하지만 새로운 능력이 추가되지는 않고 기존의 능력이 더 강해진다는 차이점이 있다.
  • 게임성: '작품성'을 게임에 접목한 단어라고 보면 된다.
  • 게임 불감증: 할 게임이 컴퓨터, 게임기 등에 많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할 게임이 없다'라고 생각하게 되는 병(?). 주로 <del>스팀 세일이나 번들 사이트 때문에</del> 게임을 무지막지하게 많이 구매하거나, 불법 복제를 많이 해서 생긴다.
  • 공략: 특정 게임을 플레이하는 방법이나 가이드를 총칭하는 말
  • 길드: 클랜이라고도 부르며, 일정한 목적을 가진 사람들이 모인 게임상의 집단
  • 길막: 플레이어가 길을 막고 있는 행위

[]

  • 나눔: 아이템이나 게임 그 자체를 보상 없이 선물받는 행위
  • 누커, 누킹: 누커 항목 참조.

[]

  • 더미 데이터: 더미 데이터 문서 참조.
  • 던전: RPG에서 몬스터가 밀집하여 위치한 지역
  • 대미지 딜러(딜러, 딜링): 항목 참조.
  • 데모: 영단어로 시연을 뜻하는 Demonstration의 약자로 사용자에게 게임을 체험받는 것을 의미한다.
  • 도전과제: 게임 내에서 일정한 목표를 달성하도록 유도하는 행위. 업적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동시접속자: 동일한 시간대에 게임 내에 접속한 사람의 수

[]

  • 레어템: 레어 아이템의 약어로 희귀한 아이템을 뜻한다.
  • 레이드: 주로 MMORPG에서 혼자서 클리어하기 힘든 컨텐츠를 여럿이서 클리어하는것
  • 레벨: 게임 세계에서의 일종의 등급
  • 룩덕: 자신이 플레이하는 캐릭터의 외관을 꾸미는 행위. 비슷한 용어로는 '룩딸'이 존재하지만 언어 자체가 비속어여서 그런지 룩덕이라는 용어가 더 많이 쓰인다.
  • 리셀러: 번역하면 되팔이 정도. CD키를 구매해서 유저들에게 다시 파는것을 말한다.
  • 리스폰: 특정 몹이나 보스, 캐릭터 등이 죽으면 다시 살아나는 것
  • 리젠: 특정 몹이나 캐릭터의 체력이 시간이 지나면 회복되는 것

[]

  • 만렙: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가지는 레벨의 한계
  • 매크로: 플레이어가 게임을 플레이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캐릭터가 특정 동작을 지속해서 플레이하는 행위. 주로 온라인 게임<ref>특히 AOSRPG</ref>에서 일어나는 현상이지만 다른 게임에서도 사용되기도 하며, 대부분의 게임에서는 이를 금지하고 있다.
  • 메즈: 상대방을 무력화시키는 기술
  • 모드: 모드 문서 참조.
  • 몹: 주로 롤플레잉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제거해야하는 적 캐릭터

[]

  • 바닐라: DLC나 확장팩, 모드, 애드온 등 게임의 추가 요소가 깔려있지 않은 게임
  • 바카게: 바카게 항목 참조.
  • 밸런스: 게임 내 캐릭터와 아이템들의 능력치.
  • 밸런스 붕괴: 밸런스가 조절되지 못하고 특정 아이템과 캐릭터의 능력치가 매우 강한 것
  • 버프: 주로 온라인 게임이나 롤플레잉 게임에서 캐릭터의 능력을 일시적으로 상승시켜주는 행위
  • 베이퍼웨어: 베이퍼웨어 항목 참조.
  • 보스: 주로 게임 맨 마지막에 등장하는 매우 강력한 캐릭터
  • 복돌러: 불법 복제 이용자인 복돌이들을 다르게 부르는 말.
  • 봇: 멀티플레이 게임에서 등장하는 인공지능 플레이어
  • 부분 유료화: 부분 유료화 문서 참조.
  • 불법 복제: 복돌이라고도 부른다. 말 그대로 게임을 불법으로 복제해서 토렌트/웹하드 등에서 다운로드 하는 것인데 이 과정에서 컴퓨터가 바이러스나 비트코인에게 잠식되어 게임 살 몇푼 아끼려다가 컴퓨터가 고인이 되는 일이 자주 일어난다. 음식을 돈 안내고 사먹는 것이 어떻게 하든 정당화가 될 수 없듯이 복돌이 역시 지역 제한이 걸렸거나 판권이 종료된 것이 아니라면 정당화 될 수 없다. #
  • 비라이선스, 비라이선스 게임: 비라이선스 문서 참조.

[]

  • 샌드박스: 게임에서 자유도를 극대화시킨 모드. 주로 뭔가를 건설하는 모드가 대다수이며, 이것만 집중적으로 부각시킨 게임이 샌드박스 게임이다.
  • 세이브: 현재 진행 상황을 저장하는 것
  • 스택: 스킬 등의 효과가 중첩되는 것
  • 스탠드 얼론: 항목 참조.
  • 쓰레기 게임: 쓰레기 게임 문서 참조.
  • 시즌패스: 특정 게임을 구매했을때 출시된+출시될 DLC를 모두 소유할 권리

[]

  • 아타리 쇼크: 아타리 쇼크 문서 참조.
  • 악마의 게임: 매우 재미있어서 지속적으로 플레이하게되는 중독성을 가지고 있는 게임.
  • 어밴던웨어: 제작자/제작사가 여러 사유로 공급을 중단한 소프트웨어
  • 액티브 유저: 해당 게임을 실질적으로 지속적으로 플레이하는 유저
  • 오버월드: 오버월드 문서 참조
  • 이스터 에그: 개발자가 장난을 위해서 게임에 메시지나 기능 등을 숨겨놓는 행위나 숨겨둔 것들. 게임 뿐 아니라 영화 등 다른 분야에서도 흔히 찾아볼 수 있다.
  • 인벤토리: 유저들이 소유하고 있는 물건을 보관하는 장소.
  • 인챈트: 무기/방어구/장신구 등의 성능을 업그레이드하는 시스템. 강화와 비슷하지만 주로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는 것을 의미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

  • 자동사냥: 매크로와 같은 뜻으로 사용되나 온라인 게임에 한정되는 단어이다.
  • 자유도: 게임 내에서 플레이어가 플레이를 결정하는데 선택할 수 있는 행위의 정도 혹은 자유로운 플레이가 가능한 정도
  • 정식 발매, 정발: 외국 게임에 대한 라이선스를 얻거나 유통사가 수입을 해서 자국에 발매하는 행위. 물론 외국 회사가 특정 국가에 직접 발매하기도 한다.
  • 정신적 후속작: 정신적 후속작 문서 참조.
  • 주얼~(쥬얼)<ref>주얼CD, 주얼게임, 주얼판 등 부르는 명칭이 많고 통일성이 없어 이렇게 처리</ref>: 패키지 게임에서 제공하는 패키지의 구성품을 모두 제외하고 CD만 유통하는 형태
  • 지역 제한, 지역락, 지역 코드: 지역 제한 문서 참조

[]

  • 치트: 게임의 쉬운 플레이나 다른 플레이어보다 우월한 점수를 내기 위해서 데이터 조작 등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플레이하는 행위. 유명한 치트 코드로는 쇼미더머니코나미 커맨드 등이 존재한다.
  • 채널링: 이미 특정 사이트에서 서비스되는 게임을 다른 사이트에서도 제휴를 맺고 서비스하는 행위

[]

  • 카이팅: 원거리 공격을 하는 캐릭터가 적과 일정 거리를 두고서 적을 공격하는 행위
  • 캐삭: 릭터 제 혹은 제의 줄임말.
  • 쿠소게: 일본어로 똥쓰레기를 뜻하는 쿠소에서 유래된 단어로, 한국어로 번역하면 쓰레기 게임 정도가 될 수 있다. 순화할 언어가 없는 것도 아니고 충분히 대체가 가능한 용어이므로 쿠소게가 아닌 쓰레기 게임 등으로 바꾸는게 맞다는 의견과 이미 고유명사로 굳어진 이상 굳이 바꿀 필요가 없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 퀘스트: 게임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서 플레이어에게 달성하라고 하는 임무 혹은 행동.
  • 키마: 키보드+마우스의 줄임말.
  • 키셀러: CD키를 공식적으로 판매하는 사이트를 말하는말로, ESD와 비슷한 뜻이다.

[]

  • 탱커(탱킹): 파티원을 대신하여 적군의 공격을 받아주는 역할 혹은 그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
  • 트롤: 아군에게 피해를 주는 행위를 하는 행위.
  • 팀킬: 같은 팀을 죽이는 행위. 트롤의 대표적인 행위라고도 할 수 있다.

[]

  • 파밍: 게임 내에서 아이템을 모으는 행위
  • 파쿠르: 지형 구조물을 넘거나 이동하는것. 야마카시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나 야마카시는 실존하는 파쿠르의 팀 이름으로, 엄밀히 말하면 야마카시라는 표현은 잘못된 것이다.
  • 포트: 게임을 시스템 간에 옮겨서 이식하는 행위. 특히 이전 시스템으로 후퇴하는 경우는 백포트, 다운그레이드 등이라고도 한다. 원작을 만든 회사의 라이선스 허가 없이 포트시킨 경우에는 앞에 해적판(Pirated)이나 부틀렉(Bootleg) 등의 수식어가 붙는다.
  • 폭딜: 게임 내에서 낼 수 있는 최대한의 데미지로 적을 공격하는 행위
  • 프로토타입: 본격적인 제작에 앞서서 제작해보는 원형
  • 프리퀄: 항목 참조.
  • 플러그 앤드 플레이: 별도의 물리적인 설정이 없이 꽂으면(Plug) 바로 이용(Play)할 수 있는 기능
  • 피로도: 게임 플레이 시간이나 횟수가 일정량을 넘어서면 게임 내부에서의 이득이 줄어드는 시스템

[]

  • 하우징: 플레이어가 집을 짓는 콘텐츠
  • 한글패치/한국어패치: 외국어로 되는 게임에 한글을 지원하는 행위
  • 한글화/한국어화: 외국 게임 회사가 개발한 게임의 자막이나 음성이 한글을 지원하는 행위. 이 표현에 대해서 한글화가 맞느냐 한국어화가 맞느냐에 대한 논쟁이 있는데, 이에 대한 국립국어원의 답변은 ~화라는 표현 자체가 부적절하며, 굳이 찾는다면 한국어 번역이 맞다이다.
  • 핵: 게임 내의 해킹 프로그램
  • 헤드샷: 항목 참조.
  • 헬렙: 게임에서 레벨을 굉장히 올리기 힘든 구간
  • 현질: 게임 내에서 캐쉬 등의 현금 요소를 구매하는 행위
  • 확장팩: 항목 참조.
  • 힐러(힐링): 항목 참조.

알파벳[]

  • AAA급 게임: 항목 참조
  • co-op(코옵): 2인 이상의 협동 플레이
  • CTD: 충돌로 인해 바탕화면으로 튕겨버리는 현상
  • DLC: 항목 참조.
  • DRM: 항목 참조.
  • ESD: ESD 문서 참조.
  • Mod: Mod 문서 참조.
  • MP: Magic Power의 약어로 마법 등을 이용하는 특수능력을 발동하는데 필요한 개념
  • NPC: 주로 롤플레잉 게임이나 온라인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직접 조종하지 않고 퀘스트 등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캐릭터
  • PK: Player Kill의 줄임말로 다른 플레이어를 줄이는 행위
  • PVE: 플레이어vs환경의 줄임말
  • PVP: 플레이어vs플레이어의 줄임말
  • GG: 유저 용어. 게임이 끝나고 나면 '좋은 게임이였다' '우리가 졌다' 등의 뜻으로 쓰인다.
  • F2P: Free to Play, 즉 부분 유료의 줄임말.
  • HP: Hit points의 약어로 몹이나 플레이어의 체력을 뜻하는 말.
  • QTE: 항목 참조.

별개의 문서로 분리된 용어 설명 문서들[]

게임 이름/용어 혹은 장르 이름/용어 문서들은 여기에 넣어주세요.

  • 쿠키런/용어

주석[]

<references />

틀:보충 필요틀:좋은글

</text>

     <model>wikitext</model>
     <format>text/x-wiki</format>
   </revision>
   <revision>
     <id>3598</id>
     <parentid>3595</parentid>
     <timestamp>2015-05-20T13:34:48Z</timestamp>
     <contributor>
       <username>MINT</username>
       <id>1</id>
     </contributor>
     <comment>/* 별개의 문서로 분리된 용어 설명 문서들 */</comment>
     <text xml:space="preserve" bytes="12884">* 본 문서는 비디오 게임의 용어를 다룹니다.
  • Ctrl+F를 눌러서 원하는 단어를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 누락된 단어가 많으니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 특정 게임/장르에서만 쓰는 용어는 되도록 해당 게임 문서 혹은 게임 이름/용어게임 장르/용어 문서 혹은 별개 문서에다가 작성해주세요.(ex.쿠키런/용어)
  • 설명이 충분히 길어져서 1500바이트 이상일 경우 정리 후 별개의 문서로 분리 부탁드리며, 분리 후에는 <nowiki>XX</nowiki>: 해당 문서 참조.의 형식으로 바꿔주세요.
  • 게임과 관련된 인터넷 밈은 이곳에서 서술하지 않습니다.
  • 유저들끼리 사용하는 용어(만렙 등)와 소프트웨어 용어(베이퍼웨어, 더미 데이터 등) 등이 모두 작성 가능합니다.
  • '렉' 등의 게이머들이 아닌 일반인들도 사용하는 용어들 역시 일부 작성이 가능합니다.
  • FPS 게임 등 장르에 관한 내용은 게임 장르 문서에서 서술해주십시오.
  • 아직 문서가 작성되지 않은 용어들에는 되도록 링크를 걸지 말아주세요.

[]

  • 강화: 특정 아이템의 능력치를 강력하게 하는 행위. 인챈트와 비슷하지만 새로운 능력이 추가되지는 않고 기존의 능력이 더 강해진다는 차이점이 있다.
  • 게임성: '작품성'을 게임에 접목한 단어라고 보면 된다.
  • 게임 불감증: 할 게임이 컴퓨터, 게임기 등에 많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할 게임이 없다'라고 생각하게 되는 병(?). 주로 <del>스팀 세일이나 번들 사이트 때문에</del> 게임을 무지막지하게 많이 구매하거나, 불법 복제를 많이 해서 생긴다.
  • 공략: 특정 게임을 플레이하는 방법이나 가이드를 총칭하는 말
  • 길드: 클랜이라고도 부르며, 일정한 목적을 가진 사람들이 모인 게임상의 집단
  • 길막: 플레이어가 길을 막고 있는 행위

[]

  • 나눔: 아이템이나 게임 그 자체를 보상 없이 선물받는 행위
  • 누커, 누킹: 누커 항목 참조.

[]

  • 더미 데이터: 더미 데이터 문서 참조.
  • 던전: RPG에서 몬스터가 밀집하여 위치한 지역
  • 대미지 딜러(딜러, 딜링): 항목 참조.
  • 데모: 영단어로 시연을 뜻하는 Demonstration의 약자로 사용자에게 게임을 체험받는 것을 의미한다.
  • 도전과제: 게임 내에서 일정한 목표를 달성하도록 유도하는 행위. 업적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동시접속자: 동일한 시간대에 게임 내에 접속한 사람의 수

[]

  • 레어템: 레어 아이템의 약어로 희귀한 아이템을 뜻한다.
  • 레이드: 주로 MMORPG에서 혼자서 클리어하기 힘든 컨텐츠를 여럿이서 클리어하는것
  • 레벨: 게임 세계에서의 일종의 등급
  • 룩덕: 자신이 플레이하는 캐릭터의 외관을 꾸미는 행위. 비슷한 용어로는 '룩딸'이 존재하지만 언어 자체가 비속어여서 그런지 룩덕이라는 용어가 더 많이 쓰인다.
  • 리셀러: 번역하면 되팔이 정도. CD키를 구매해서 유저들에게 다시 파는것을 말한다.
  • 리스폰: 특정 몹이나 보스, 캐릭터 등이 죽으면 다시 살아나는 것
  • 리젠: 특정 몹이나 캐릭터의 체력이 시간이 지나면 회복되는 것

[]

  • 만렙: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가지는 레벨의 한계
  • 매크로: 플레이어가 게임을 플레이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캐릭터가 특정 동작을 지속해서 플레이하는 행위. 주로 온라인 게임<ref>특히 AOSRPG</ref>에서 일어나는 현상이지만 다른 게임에서도 사용되기도 하며, 대부분의 게임에서는 이를 금지하고 있다.
  • 메즈: 상대방을 무력화시키는 기술
  • 모드: 모드 문서 참조.
  • 몹: 주로 롤플레잉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제거해야하는 적 캐릭터

[]

  • 바닐라: DLC나 확장팩, 모드, 애드온 등 게임의 추가 요소가 깔려있지 않은 게임
  • 바카게: 바카게 항목 참조.
  • 밸런스: 게임 내 캐릭터와 아이템들의 능력치.
  • 밸런스 붕괴: 밸런스가 조절되지 못하고 특정 아이템과 캐릭터의 능력치가 매우 강한 것
  • 버프: 주로 온라인 게임이나 롤플레잉 게임에서 캐릭터의 능력을 일시적으로 상승시켜주는 행위
  • 베이퍼웨어: 베이퍼웨어 항목 참조.
  • 보스: 주로 게임 맨 마지막에 등장하는 매우 강력한 캐릭터
  • 복돌러: 불법 복제 이용자인 복돌이들을 다르게 부르는 말.
  • 봇: 멀티플레이 게임에서 등장하는 인공지능 플레이어
  • 부분 유료화: 부분 유료화 문서 참조.
  • 불법 복제: 복돌이라고도 부른다. 말 그대로 게임을 불법으로 복제해서 토렌트/웹하드 등에서 다운로드 하는 것인데 이 과정에서 컴퓨터가 바이러스나 비트코인에게 잠식되어 게임 살 몇푼 아끼려다가 컴퓨터가 고인이 되는 일이 자주 일어난다. 음식을 돈 안내고 사먹는 것이 어떻게 하든 정당화가 될 수 없듯이 복돌이 역시 지역 제한이 걸렸거나 판권이 종료된 것이 아니라면 정당화 될 수 없다. #
  • 비라이선스, 비라이선스 게임: 비라이선스 문서 참조.

[]

  • 샌드박스: 게임에서 자유도를 극대화시킨 모드. 주로 뭔가를 건설하는 모드가 대다수이며, 이것만 집중적으로 부각시킨 게임이 샌드박스 게임이다.
  • 세이브: 현재 진행 상황을 저장하는 것
  • 스택: 스킬 등의 효과가 중첩되는 것
  • 스탠드 얼론: 항목 참조.
  • 쓰레기 게임: 쓰레기 게임 문서 참조.
  • 시즌패스: 특정 게임을 구매했을때 출시된+출시될 DLC를 모두 소유할 권리

[]

  • 아타리 쇼크: 아타리 쇼크 문서 참조.
  • 악마의 게임: 매우 재미있어서 지속적으로 플레이하게되는 중독성을 가지고 있는 게임.
  • 어밴던웨어: 제작자/제작사가 여러 사유로 공급을 중단한 소프트웨어
  • 액티브 유저: 해당 게임을 실질적으로 지속적으로 플레이하는 유저
  • 오버월드: 오버월드 문서 참조
  • 이스터 에그: 개발자가 장난을 위해서 게임에 메시지나 기능 등을 숨겨놓는 행위나 숨겨둔 것들. 게임 뿐 아니라 영화 등 다른 분야에서도 흔히 찾아볼 수 있다.
  • 인벤토리: 유저들이 소유하고 있는 물건을 보관하는 장소.
  • 인챈트: 무기/방어구/장신구 등의 성능을 업그레이드하는 시스템. 강화와 비슷하지만 주로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는 것을 의미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

  • 자동사냥: 매크로와 같은 뜻으로 사용되나 온라인 게임에 한정되는 단어이다.
  • 자유도: 게임 내에서 플레이어가 플레이를 결정하는데 선택할 수 있는 행위의 정도 혹은 자유로운 플레이가 가능한 정도
  • 정식 발매, 정발: 외국 게임에 대한 라이선스를 얻거나 유통사가 수입을 해서 자국에 발매하는 행위. 물론 외국 회사가 특정 국가에 직접 발매하기도 한다.
  • 정신적 후속작: 정신적 후속작 문서 참조.
  • 주얼~(쥬얼)<ref>주얼CD, 주얼게임, 주얼판 등 부르는 명칭이 많고 통일성이 없어 이렇게 처리</ref>: 패키지 게임에서 제공하는 패키지의 구성품을 모두 제외하고 CD만 유통하는 형태
  • 지역 제한, 지역락, 지역 코드: 지역 제한 문서 참조

[]

  • 치트: 게임의 쉬운 플레이나 다른 플레이어보다 우월한 점수를 내기 위해서 데이터 조작 등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플레이하는 행위. 유명한 치트 코드로는 쇼미더머니코나미 커맨드 등이 존재한다.
  • 채널링: 이미 특정 사이트에서 서비스되는 게임을 다른 사이트에서도 제휴를 맺고 서비스하는 행위

[]

  • 카이팅: 원거리 공격을 하는 캐릭터가 적과 일정 거리를 두고서 적을 공격하는 행위
  • 캐삭: 릭터 제 혹은 제의 줄임말.
  • 쿠소게: 일본어로 똥쓰레기를 뜻하는 쿠소에서 유래된 단어로, 한국어로 번역하면 쓰레기 게임 정도가 될 수 있다. 순화할 언어가 없는 것도 아니고 충분히 대체가 가능한 용어이므로 쿠소게가 아닌 쓰레기 게임 등으로 바꾸는게 맞다는 의견과 이미 고유명사로 굳어진 이상 굳이 바꿀 필요가 없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 퀘스트: 게임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서 플레이어에게 달성하라고 하는 임무 혹은 행동.
  • 키마: 키보드+마우스의 줄임말.
  • 키셀러: CD키를 공식적으로 판매하는 사이트를 말하는말로, ESD와 비슷한 뜻이다.

[]

  • 탱커(탱킹): 파티원을 대신하여 적군의 공격을 받아주는 역할 혹은 그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
  • 트롤: 아군에게 피해를 주는 행위를 하는 행위.
  • 팀킬: 같은 팀을 죽이는 행위. 트롤의 대표적인 행위라고도 할 수 있다.

[]

  • 파밍: 게임 내에서 아이템을 모으는 행위
  • 파쿠르: 지형 구조물을 넘거나 이동하는것. 야마카시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나 야마카시는 실존하는 파쿠르의 팀 이름으로, 엄밀히 말하면 야마카시라는 표현은 잘못된 것이다.
  • 포트: 게임을 시스템 간에 옮겨서 이식하는 행위. 특히 이전 시스템으로 후퇴하는 경우는 백포트, 다운그레이드 등이라고도 한다. 원작을 만든 회사의 라이선스 허가 없이 포트시킨 경우에는 앞에 해적판(Pirated)이나 부틀렉(Bootleg) 등의 수식어가 붙는다.
  • 폭딜: 게임 내에서 낼 수 있는 최대한의 데미지로 적을 공격하는 행위
  • 프로토타입: 본격적인 제작에 앞서서 제작해보는 원형
  • 프리퀄: 항목 참조.
  • 플러그 앤드 플레이: 별도의 물리적인 설정이 없이 꽂으면(Plug) 바로 이용(Play)할 수 있는 기능
  • 피로도: 게임 플레이 시간이나 횟수가 일정량을 넘어서면 게임 내부에서의 이득이 줄어드는 시스템

[]

  • 하우징: 플레이어가 집을 짓는 콘텐츠
  • 한글패치/한국어패치: 외국어로 되는 게임에 한글을 지원하는 행위
  • 한글화/한국어화: 외국 게임 회사가 개발한 게임의 자막이나 음성이 한글을 지원하는 행위. 이 표현에 대해서 한글화가 맞느냐 한국어화가 맞느냐에 대한 논쟁이 있는데, 이에 대한 국립국어원의 답변은 ~화라는 표현 자체가 부적절하며, 굳이 찾는다면 한국어 번역이 맞다이다.
  • 핵: 게임 내의 해킹 프로그램
  • 헤드샷: 항목 참조.
  • 헬렙: 게임에서 레벨을 굉장히 올리기 힘든 구간
  • 현질: 게임 내에서 캐쉬 등의 현금 요소를 구매하는 행위
  • 확장팩: 항목 참조.
  • 힐러(힐링): 항목 참조.

알파벳[]

  • AAA급 게임: 항목 참조
  • co-op(코옵): 2인 이상의 협동 플레이
  • CTD: 충돌로 인해 바탕화면으로 튕겨버리는 현상
  • DLC: 항목 참조.
  • DRM: 항목 참조.
  • ESD: ESD 문서 참조.
  • Mod: Mod 문서 참조.
  • MP: Magic Power의 약어로 마법 등을 이용하는 특수능력을 발동하는데 필요한 개념
  • NPC: 주로 롤플레잉 게임이나 온라인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직접 조종하지 않고 퀘스트 등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캐릭터
  • PK: Player Kill의 줄임말로 다른 플레이어를 줄이는 행위
  • PVE: 플레이어vs환경의 줄임말
  • PVP: 플레이어vs플레이어의 줄임말
  • GG: 유저 용어. 게임이 끝나고 나면 '좋은 게임이였다' '우리가 졌다' 등의 뜻으로 쓰인다.
  • F2P: Free to Play, 즉 부분 유료의 줄임말.
  • HP: Hit points의 약어로 몹이나 플레이어의 체력을 뜻하는 말.
  • QTE: 항목 참조.

별개의 문서로 분리된 용어 설명 문서들[]

게임 이름/용어 혹은 장르 이름/용어 문서들은 여기에 넣어주세요.

  • 쿠키런/용어
  • 팀 포트리스 2/용어

주석[]

<references />

틀:보충 필요틀:좋은글

</text>

     <model>wikitext</model>
     <format>text/x-wiki</format>
   </revision>
   <revision>
     <id>3657</id>
     <parentid>3598</parentid>
     <timestamp>2015-05-22T11:55:19Z</timestamp>
     <contributor>
       <username>MINT</username>
       <id>1</id>
     </contributor>
     <comment>/* ㅌ */</comment>
     <text xml:space="preserve" bytes="12788">* 본 문서는 비디오 게임의 용어를 다룹니다.
  • Ctrl+F를 눌러서 원하는 단어를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 누락된 단어가 많으니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 특정 게임/장르에서만 쓰는 용어는 되도록 해당 게임 문서 혹은 게임 이름/용어게임 장르/용어 문서 혹은 별개 문서에다가 작성해주세요.(ex.쿠키런/용어)
  • 설명이 충분히 길어져서 1500바이트 이상일 경우 정리 후 별개의 문서로 분리 부탁드리며, 분리 후에는 <nowiki>XX</nowiki>: 해당 문서 참조.의 형식으로 바꿔주세요.
  • 게임과 관련된 인터넷 밈은 이곳에서 서술하지 않습니다.
  • 유저들끼리 사용하는 용어(만렙 등)와 소프트웨어 용어(베이퍼웨어, 더미 데이터 등) 등이 모두 작성 가능합니다.
  • '렉' 등의 게이머들이 아닌 일반인들도 사용하는 용어들 역시 일부 작성이 가능합니다.
  • FPS 게임 등 장르에 관한 내용은 게임 장르 문서에서 서술해주십시오.
  • 아직 문서가 작성되지 않은 용어들에는 되도록 링크를 걸지 말아주세요.

[]

  • 강화: 특정 아이템의 능력치를 강력하게 하는 행위. 인챈트와 비슷하지만 새로운 능력이 추가되지는 않고 기존의 능력이 더 강해진다는 차이점이 있다.
  • 게임성: '작품성'을 게임에 접목한 단어라고 보면 된다.
  • 게임 불감증: 할 게임이 컴퓨터, 게임기 등에 많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할 게임이 없다'라고 생각하게 되는 병(?). 주로 <del>스팀 세일이나 번들 사이트 때문에</del> 게임을 무지막지하게 많이 구매하거나, 불법 복제를 많이 해서 생긴다.
  • 공략: 특정 게임을 플레이하는 방법이나 가이드를 총칭하는 말
  • 길드: 클랜이라고도 부르며, 일정한 목적을 가진 사람들이 모인 게임상의 집단
  • 길막: 플레이어가 길을 막고 있는 행위

[]

  • 나눔: 아이템이나 게임 그 자체를 보상 없이 선물받는 행위
  • 누커, 누킹: 누커 항목 참조.

[]

  • 더미 데이터: 더미 데이터 문서 참조.
  • 던전: RPG에서 몬스터가 밀집하여 위치한 지역
  • 대미지 딜러(딜러, 딜링): 항목 참조.
  • 데모: 영단어로 시연을 뜻하는 Demonstration의 약자로 사용자에게 게임을 체험받는 것을 의미한다.
  • 도전과제: 게임 내에서 일정한 목표를 달성하도록 유도하는 행위. 업적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동시접속자: 동일한 시간대에 게임 내에 접속한 사람의 수

[]

  • 레어템: 레어 아이템의 약어로 희귀한 아이템을 뜻한다.
  • 레이드: 주로 MMORPG에서 혼자서 클리어하기 힘든 컨텐츠를 여럿이서 클리어하는것
  • 레벨: 게임 세계에서의 일종의 등급
  • 룩덕: 자신이 플레이하는 캐릭터의 외관을 꾸미는 행위. 비슷한 용어로는 '룩딸'이 존재하지만 언어 자체가 비속어여서 그런지 룩덕이라는 용어가 더 많이 쓰인다.
  • 리셀러: 번역하면 되팔이 정도. CD키를 구매해서 유저들에게 다시 파는것을 말한다.
  • 리스폰: 특정 몹이나 보스, 캐릭터 등이 죽으면 다시 살아나는 것
  • 리젠: 특정 몹이나 캐릭터의 체력이 시간이 지나면 회복되는 것

[]

  • 만렙: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가지는 레벨의 한계
  • 매크로: 플레이어가 게임을 플레이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캐릭터가 특정 동작을 지속해서 플레이하는 행위. 주로 온라인 게임<ref>특히 AOSRPG</ref>에서 일어나는 현상이지만 다른 게임에서도 사용되기도 하며, 대부분의 게임에서는 이를 금지하고 있다.
  • 메즈: 상대방을 무력화시키는 기술
  • 모드: 모드 문서 참조.
  • 몹: 주로 롤플레잉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제거해야하는 적 캐릭터

[]

  • 바닐라: DLC나 확장팩, 모드, 애드온 등 게임의 추가 요소가 깔려있지 않은 게임
  • 바카게: 바카게 항목 참조.
  • 밸런스: 게임 내 캐릭터와 아이템들의 능력치.
  • 밸런스 붕괴: 밸런스가 조절되지 못하고 특정 아이템과 캐릭터의 능력치가 매우 강한 것
  • 버프: 주로 온라인 게임이나 롤플레잉 게임에서 캐릭터의 능력을 일시적으로 상승시켜주는 행위
  • 베이퍼웨어: 베이퍼웨어 항목 참조.
  • 보스: 주로 게임 맨 마지막에 등장하는 매우 강력한 캐릭터
  • 복돌러: 불법 복제 이용자인 복돌이들을 다르게 부르는 말.
  • 봇: 멀티플레이 게임에서 등장하는 인공지능 플레이어
  • 부분 유료화: 부분 유료화 문서 참조.
  • 불법 복제: 복돌이라고도 부른다. 말 그대로 게임을 불법으로 복제해서 토렌트/웹하드 등에서 다운로드 하는 것인데 이 과정에서 컴퓨터가 바이러스나 비트코인에게 잠식되어 게임 살 몇푼 아끼려다가 컴퓨터가 고인이 되는 일이 자주 일어난다. 음식을 돈 안내고 사먹는 것이 어떻게 하든 정당화가 될 수 없듯이 복돌이 역시 지역 제한이 걸렸거나 판권이 종료된 것이 아니라면 정당화 될 수 없다. #
  • 비라이선스, 비라이선스 게임: 비라이선스 문서 참조.

[]

  • 샌드박스: 게임에서 자유도를 극대화시킨 모드. 주로 뭔가를 건설하는 모드가 대다수이며, 이것만 집중적으로 부각시킨 게임이 샌드박스 게임이다.
  • 세이브: 현재 진행 상황을 저장하는 것
  • 스택: 스킬 등의 효과가 중첩되는 것
  • 스탠드 얼론: 항목 참조.
  • 쓰레기 게임: 쓰레기 게임 문서 참조.
  • 시즌패스: 특정 게임을 구매했을때 출시된+출시될 DLC를 모두 소유할 권리

[]

  • 아타리 쇼크: 아타리 쇼크 문서 참조.
  • 악마의 게임: 매우 재미있어서 지속적으로 플레이하게되는 중독성을 가지고 있는 게임.
  • 어밴던웨어: 제작자/제작사가 여러 사유로 공급을 중단한 소프트웨어
  • 액티브 유저: 해당 게임을 실질적으로 지속적으로 플레이하는 유저
  • 오버월드: 오버월드 문서 참조
  • 이스터 에그: 개발자가 장난을 위해서 게임에 메시지나 기능 등을 숨겨놓는 행위나 숨겨둔 것들. 게임 뿐 아니라 영화 등 다른 분야에서도 흔히 찾아볼 수 있다.
  • 인벤토리: 유저들이 소유하고 있는 물건을 보관하는 장소.
  • 인챈트: 무기/방어구/장신구 등의 성능을 업그레이드하는 시스템. 강화와 비슷하지만 주로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는 것을 의미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

  • 자동사냥: 매크로와 같은 뜻으로 사용되나 온라인 게임에 한정되는 단어이다.
  • 자유도: 게임 내에서 플레이어가 플레이를 결정하는데 선택할 수 있는 행위의 정도 혹은 자유로운 플레이가 가능한 정도
  • 정식 발매, 정발: 외국 게임에 대한 라이선스를 얻거나 유통사가 수입을 해서 자국에 발매하는 행위. 물론 외국 회사가 특정 국가에 직접 발매하기도 한다.
  • 정신적 후속작: 정신적 후속작 문서 참조.
  • 주얼~(쥬얼)<ref>주얼CD, 주얼게임, 주얼판 등 부르는 명칭이 많고 통일성이 없어 이렇게 처리</ref>: 패키지 게임에서 제공하는 패키지의 구성품을 모두 제외하고 CD만 유통하는 형태
  • 지역 제한, 지역락, 지역 코드: 지역 제한 문서 참조

[]

  • 치트: 게임의 쉬운 플레이나 다른 플레이어보다 우월한 점수를 내기 위해서 데이터 조작 등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플레이하는 행위. 유명한 치트 코드로는 쇼미더머니코나미 커맨드 등이 존재한다.
  • 채널링: 이미 특정 사이트에서 서비스되는 게임을 다른 사이트에서도 제휴를 맺고 서비스하는 행위

[]

  • 카이팅: 원거리 공격을 하는 캐릭터가 적과 일정 거리를 두고서 적을 공격하는 행위
  • 캐삭: 릭터 제 혹은 제의 줄임말.
  • 쿠소게: 일본어로 똥쓰레기를 뜻하는 쿠소에서 유래된 단어로, 한국어로 번역하면 쓰레기 게임 정도가 될 수 있다. 순화할 언어가 없는 것도 아니고 충분히 대체가 가능한 용어이므로 쿠소게가 아닌 쓰레기 게임 등으로 바꾸는게 맞다는 의견과 이미 고유명사로 굳어진 이상 굳이 바꿀 필요가 없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 퀘스트: 게임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서 플레이어에게 달성하라고 하는 임무 혹은 행동.
  • 키마: 키보드+마우스의 줄임말.
  • 키셀러: CD키를 공식적으로 판매하는 사이트를 말하는말로, ESD와 비슷한 뜻이다.

[]

  • 탱커: 항목 참조.
  • 트롤: 아군에게 피해를 주는 행위를 하는 행위.
  • 팀킬: 같은 팀을 죽이는 행위. 트롤의 대표적인 행위라고도 할 수 있다.

[]

  • 파밍: 게임 내에서 아이템을 모으는 행위
  • 파쿠르: 지형 구조물을 넘거나 이동하는것. 야마카시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나 야마카시는 실존하는 파쿠르의 팀 이름으로, 엄밀히 말하면 야마카시라는 표현은 잘못된 것이다.
  • 포트: 게임을 시스템 간에 옮겨서 이식하는 행위. 특히 이전 시스템으로 후퇴하는 경우는 백포트, 다운그레이드 등이라고도 한다. 원작을 만든 회사의 라이선스 허가 없이 포트시킨 경우에는 앞에 해적판(Pirated)이나 부틀렉(Bootleg) 등의 수식어가 붙는다.
  • 폭딜: 게임 내에서 낼 수 있는 최대한의 데미지로 적을 공격하는 행위
  • 프로토타입: 본격적인 제작에 앞서서 제작해보는 원형
  • 프리퀄: 항목 참조.
  • 플러그 앤드 플레이: 별도의 물리적인 설정이 없이 꽂으면(Plug) 바로 이용(Play)할 수 있는 기능
  • 피로도: 게임 플레이 시간이나 횟수가 일정량을 넘어서면 게임 내부에서의 이득이 줄어드는 시스템

[]

  • 하우징: 플레이어가 집을 짓는 콘텐츠
  • 한글패치/한국어패치: 외국어로 되는 게임에 한글을 지원하는 행위
  • 한글화/한국어화: 외국 게임 회사가 개발한 게임의 자막이나 음성이 한글을 지원하는 행위. 이 표현에 대해서 한글화가 맞느냐 한국어화가 맞느냐에 대한 논쟁이 있는데, 이에 대한 국립국어원의 답변은 ~화라는 표현 자체가 부적절하며, 굳이 찾는다면 한국어 번역이 맞다이다.
  • 핵: 게임 내의 해킹 프로그램
  • 헤드샷: 항목 참조.
  • 헬렙: 게임에서 레벨을 굉장히 올리기 힘든 구간
  • 현질: 게임 내에서 캐쉬 등의 현금 요소를 구매하는 행위
  • 확장팩: 항목 참조.
  • 힐러(힐링): 항목 참조.

알파벳[]

  • AAA급 게임: 항목 참조
  • co-op(코옵): 2인 이상의 협동 플레이
  • CTD: 충돌로 인해 바탕화면으로 튕겨버리는 현상
  • DLC: 항목 참조.
  • DRM: 항목 참조.
  • ESD: ESD 문서 참조.
  • Mod: Mod 문서 참조.
  • MP: Magic Power의 약어로 마법 등을 이용하는 특수능력을 발동하는데 필요한 개념
  • NPC: 주로 롤플레잉 게임이나 온라인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직접 조종하지 않고 퀘스트 등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캐릭터
  • PK: Player Kill의 줄임말로 다른 플레이어를 줄이는 행위
  • PVE: 플레이어vs환경의 줄임말
  • PVP: 플레이어vs플레이어의 줄임말
  • GG: 유저 용어. 게임이 끝나고 나면 '좋은 게임이였다' '우리가 졌다' 등의 뜻으로 쓰인다.
  • F2P: Free to Play, 즉 부분 유료의 줄임말.
  • HP: Hit points의 약어로 몹이나 플레이어의 체력을 뜻하는 말.
  • QTE: 항목 참조.

별개의 문서로 분리된 용어 설명 문서들[]

게임 이름/용어 혹은 장르 이름/용어 문서들은 여기에 넣어주세요.

  • 쿠키런/용어
  • 팀 포트리스 2/용어

주석[]

<references />

틀:보충 필요틀:좋은글

</text>

     <model>wikitext</model>
     <format>text/x-wiki</format>
   </revision>
   <revision>
     <id>3761</id>
     <parentid>3657</parentid>
     <timestamp>2015-05-28T11:07:08Z</timestamp>
     <contributor>
       <username>MINT</username>
       <id>1</id>
     </contributor>
     <text xml:space="preserve" bytes="12687">* 본 문서는 비디오 게임의 용어를 다룹니다.
  • Ctrl+F를 눌러서 원하는 단어를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 누락된 단어가 많으니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 특정 게임/장르에서만 쓰는 용어는 되도록 해당 게임 문서 혹은 게임 이름/용어게임 장르/용어 문서 혹은 별개 문서에다가 작성해주세요.(ex.쿠키런/용어)
  • 설명이 충분히 길어져서 1500바이트 이상일 경우 정리 후 별개의 문서로 분리 부탁드리며, 분리 후에는 <nowiki>XX</nowiki>: 해당 문서 참조.의 형식으로 바꿔주세요.
  • 게임과 관련된 인터넷 밈은 이곳에서 서술하지 않습니다.
  • 유저들끼리 사용하는 용어(만렙 등)와 소프트웨어 용어(베이퍼웨어, 더미 데이터 등) 등이 모두 작성 가능합니다.
  • '렉' 등의 게이머들이 아닌 일반인들도 사용하는 용어들 역시 일부 작성이 가능합니다.
  • FPS 게임 등 장르에 관한 내용은 게임 장르 문서에서 서술해주십시오.
  • 아직 문서가 작성되지 않은 용어들에는 되도록 링크를 걸지 말아주세요.

[]

  • 강화: 특정 아이템의 능력치를 강력하게 하는 행위. 인챈트와 비슷하지만 새로운 능력이 추가되지는 않고 기존의 능력이 더 강해진다는 차이점이 있다.
  • 게임성: '작품성'을 게임에 접목한 단어라고 보면 된다.
  • 게임 불감증: 할 게임이 컴퓨터, 게임기 등에 많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할 게임이 없다'라고 생각하게 되는 병(?). 주로 <del>스팀 세일이나 번들 사이트 때문에</del> 게임을 무지막지하게 많이 구매하거나, 불법 복제를 많이 해서 생긴다.
  • 공략: 특정 게임을 플레이하는 방법이나 가이드를 총칭하는 말
  • 길드: 클랜이라고도 부르며, 일정한 목적을 가진 사람들이 모인 게임상의 집단
  • 길막: 플레이어가 길을 막고 있는 행위

[]

  • 나눔: 아이템이나 게임 그 자체를 보상 없이 선물받는 행위
  • 누커, 누킹: 누커 항목 참조.

[]

  • 더미 데이터: 더미 데이터 문서 참조.
  • 던전: RPG에서 몬스터가 밀집하여 위치한 지역
  • 대미지 딜러(딜러, 딜링): 항목 참조.
  • 데모: 영단어로 시연을 뜻하는 Demonstration의 약자로 사용자에게 게임을 체험받는 것을 의미한다.
  • 도전과제: 게임 내에서 일정한 목표를 달성하도록 유도하는 행위. 업적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동시접속자: 동일한 시간대에 게임 내에 접속한 사람의 수

[]

  • 레어템: 레어 아이템의 약어로 희귀한 아이템을 뜻한다.
  • 레이드: 주로 MMORPG에서 혼자서 클리어하기 힘든 컨텐츠를 여럿이서 클리어하는것
  • 레벨: 게임 세계에서의 일종의 등급
  • 룩덕: 커스터마이징을 즐기는 행위나 그걸 하는 사람
  • 리셀러: 번역하면 되팔이 정도. CD키를 구매해서 유저들에게 다시 파는것을 말한다.
  • 리스폰: 특정 몹이나 보스, 캐릭터 등이 죽으면 다시 살아나는 것
  • 리젠: 특정 몹이나 캐릭터의 체력이 시간이 지나면 회복되는 것

[]

  • 만렙: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가지는 레벨의 한계
  • 매크로: 플레이어가 게임을 플레이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캐릭터가 특정 동작을 지속해서 플레이하는 행위. 주로 온라인 게임<ref>특히 AOSRPG</ref>에서 일어나는 현상이지만 다른 게임에서도 사용되기도 하며, 대부분의 게임에서는 이를 금지하고 있다.
  • 메즈: 상대방을 무력화시키는 기술
  • 모드: 모드 문서 참조.
  • 몹: 주로 롤플레잉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제거해야하는 적 캐릭터

[]

  • 바닐라: DLC나 확장팩, 모드, 애드온 등 게임의 추가 요소가 깔려있지 않은 게임
  • 바카게: 바카게 항목 참조.
  • 밸런스: 게임 내 캐릭터와 아이템들의 능력치.
  • 밸런스 붕괴: 밸런스가 조절되지 못하고 특정 아이템과 캐릭터의 능력치가 매우 강한 것
  • 버프: 주로 온라인 게임이나 롤플레잉 게임에서 캐릭터의 능력을 일시적으로 상승시켜주는 행위
  • 베이퍼웨어: 베이퍼웨어 항목 참조.
  • 보스: 주로 게임 맨 마지막에 등장하는 매우 강력한 캐릭터
  • 복돌러: 불법 복제 이용자인 복돌이들을 다르게 부르는 말.
  • 봇: 멀티플레이 게임에서 등장하는 인공지능 플레이어
  • 부분 유료화: 부분 유료화 문서 참조.
  • 불법 복제: 복돌이라고도 부른다. 말 그대로 게임을 불법으로 복제해서 토렌트/웹하드 등에서 다운로드 하는 것인데 이 과정에서 컴퓨터가 바이러스나 비트코인에게 잠식되어 게임 살 몇푼 아끼려다가 컴퓨터가 고인이 되는 일이 자주 일어난다. 음식을 돈 안내고 사먹는 것이 어떻게 하든 정당화가 될 수 없듯이 복돌이 역시 지역 제한이 걸렸거나 판권이 종료된 것이 아니라면 정당화 될 수 없다. #
  • 비라이선스, 비라이선스 게임: 비라이선스 문서 참조.

[]

  • 샌드박스: 게임에서 자유도를 극대화시킨 모드. 주로 뭔가를 건설하는 모드가 대다수이며, 이것만 집중적으로 부각시킨 게임이 샌드박스 게임이다.
  • 세이브: 현재 진행 상황을 저장하는 것
  • 스택: 스킬 등의 효과가 중첩되는 것
  • 스탠드 얼론: 항목 참조.
  • 쓰레기 게임: 쓰레기 게임 문서 참조.
  • 시즌패스: 특정 게임을 구매했을때 출시된+출시될 DLC를 모두 소유할 권리

[]

  • 아타리 쇼크: 아타리 쇼크 문서 참조.
  • 악마의 게임: 매우 재미있어서 지속적으로 플레이하게되는 중독성을 가지고 있는 게임.
  • 어밴던웨어: 제작자/제작사가 여러 사유로 공급을 중단한 소프트웨어
  • 액티브 유저: 해당 게임을 실질적으로 지속적으로 플레이하는 유저
  • 오버월드: 오버월드 문서 참조
  • 이스터 에그: 개발자가 장난을 위해서 게임에 메시지나 기능 등을 숨겨놓는 행위나 숨겨둔 것들. 게임 뿐 아니라 영화 등 다른 분야에서도 흔히 찾아볼 수 있다.
  • 인벤토리: 유저들이 소유하고 있는 물건을 보관하는 장소.
  • 인챈트: 무기/방어구/장신구 등의 성능을 업그레이드하는 시스템. 강화와 비슷하지만 주로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는 것을 의미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

  • 자동사냥: 매크로와 같은 뜻으로 사용되나 온라인 게임에 한정되는 단어이다.
  • 자유도: 게임 내에서 플레이어가 플레이를 결정하는데 선택할 수 있는 행위의 정도 혹은 자유로운 플레이가 가능한 정도
  • 정식 발매, 정발: 외국 게임에 대한 라이선스를 얻거나 유통사가 수입을 해서 자국에 발매하는 행위. 물론 외국 회사가 특정 국가에 직접 발매하기도 한다.
  • 정신적 후속작: 정신적 후속작 문서 참조.
  • 주얼~(쥬얼)<ref>주얼CD, 주얼게임, 주얼판 등 부르는 명칭이 많고 통일성이 없어 이렇게 처리</ref>: 패키지 게임에서 제공하는 패키지의 구성품을 모두 제외하고 CD만 유통하는 형태
  • 지역 제한, 지역락, 지역 코드: 지역 제한 문서 참조

[]

  • 치트: 게임의 쉬운 플레이나 다른 플레이어보다 우월한 점수를 내기 위해서 데이터 조작 등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플레이하는 행위. 유명한 치트 코드로는 쇼미더머니코나미 커맨드 등이 존재한다.
  • 채널링: 이미 특정 사이트에서 서비스되는 게임을 다른 사이트에서도 제휴를 맺고 서비스하는 행위

[]

  • 카이팅: 원거리 공격을 하는 캐릭터가 적과 일정 거리를 두고서 적을 공격하는 행위
  • 커스터마이징: 항목 참조.
  • 캐삭: 릭터 제 혹은 제의 줄임말.
  • 쿠소게: 일본어로 똥쓰레기를 뜻하는 쿠소에서 유래된 단어로, 한국어로 번역하면 쓰레기 게임 정도가 될 수 있다. 순화할 언어가 없는 것도 아니고 충분히 대체가 가능한 용어이므로 쿠소게가 아닌 쓰레기 게임 등으로 바꾸는게 맞다는 의견과 이미 고유명사로 굳어진 이상 굳이 바꿀 필요가 없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 퀘스트: 게임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서 플레이어에게 달성하라고 하는 임무 혹은 행동.
  • 키마: 키보드+마우스의 줄임말.
  • 키셀러: CD키를 공식적으로 판매하는 사이트를 말하는말로, ESD와 비슷한 뜻이다.

[]

  • 탱커: 항목 참조.
  • 트롤: 아군에게 피해를 주는 행위를 하는 행위.
  • 팀킬: 같은 팀을 죽이는 행위. 트롤의 대표적인 행위라고도 할 수 있다.

[]

  • 파밍: 게임 내에서 아이템을 모으는 행위
  • 파쿠르: 지형 구조물을 넘거나 이동하는것. 야마카시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나 야마카시는 실존하는 파쿠르의 팀 이름으로, 엄밀히 말하면 야마카시라는 표현은 잘못된 것이다.
  • 포트: 게임을 시스템 간에 옮겨서 이식하는 행위. 특히 이전 시스템으로 후퇴하는 경우는 백포트, 다운그레이드 등이라고도 한다. 원작을 만든 회사의 라이선스 허가 없이 포트시킨 경우에는 앞에 해적판(Pirated)이나 부틀렉(Bootleg) 등의 수식어가 붙는다.
  • 폭딜: 게임 내에서 낼 수 있는 최대한의 데미지로 적을 공격하는 행위
  • 프로토타입: 본격적인 제작에 앞서서 제작해보는 원형
  • 프리퀄: 항목 참조.
  • 플러그 앤드 플레이: 별도의 물리적인 설정이 없이 꽂으면(Plug) 바로 이용(Play)할 수 있는 기능
  • 피로도: 게임 플레이 시간이나 횟수가 일정량을 넘어서면 게임 내부에서의 이득이 줄어드는 시스템

[]

  • 하우징: 플레이어가 집을 짓는 콘텐츠
  • 한글패치/한국어패치: 외국어로 되는 게임에 한글을 지원하는 행위
  • 한글화/한국어화: 외국 게임 회사가 개발한 게임의 자막이나 음성이 한글을 지원하는 행위. 이 표현에 대해서 한글화가 맞느냐 한국어화가 맞느냐에 대한 논쟁이 있는데, 이에 대한 국립국어원의 답변은 ~화라는 표현 자체가 부적절하며, 굳이 찾는다면 한국어 번역이 맞다이다.
  • 핵: 게임 내의 해킹 프로그램
  • 헤드샷: 항목 참조.
  • 헬렙: 게임에서 레벨을 굉장히 올리기 힘든 구간
  • 현질: 게임 내에서 캐쉬 등의 현금 요소를 구매하는 행위
  • 확장팩: 항목 참조.
  • 힐러(힐링): 항목 참조.

알파벳[]

  • AAA급 게임: 항목 참조
  • co-op(코옵): 2인 이상의 협동 플레이
  • CTD: 충돌로 인해 바탕화면으로 튕겨버리는 현상
  • DLC: 항목 참조.
  • DRM: 항목 참조.
  • ESD: ESD 문서 참조.
  • Mod: Mod 문서 참조.
  • MP: Magic Power의 약어로 마법 등을 이용하는 특수능력을 발동하는데 필요한 개념
  • NPC: 주로 롤플레잉 게임이나 온라인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직접 조종하지 않고 퀘스트 등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캐릭터
  • PK: Player Kill의 줄임말로 다른 플레이어를 줄이는 행위
  • PVE: 플레이어vs환경의 줄임말
  • PVP: 플레이어vs플레이어의 줄임말
  • GG: 유저 용어. 게임이 끝나고 나면 '좋은 게임이였다' '우리가 졌다' 등의 뜻으로 쓰인다.
  • F2P: Free to Play, 즉 부분 유료의 줄임말.
  • HP: Hit points의 약어로 몹이나 플레이어의 체력을 뜻하는 말.
  • QTE: 항목 참조.

별개의 문서로 분리된 용어 설명 문서들[]

게임 이름/용어 혹은 장르 이름/용어 문서들은 여기에 넣어주세요.

  • 쿠키런/용어
  • 팀 포트리스 2/용어

주석[]

<references />

틀:보충 필요틀:좋은글

</text>

     <model>wikitext</model>
     <format>text/x-wiki</format>
   </revision>
   <revision>
     <id>3801</id>
     <parentid>3761</parentid>
     <timestamp>2015-05-31T07:48:43Z</timestamp>
     <contributor>
       <username>MINT</username>
       <id>1</id>
     </contributor>
     <text xml:space="preserve" bytes="12637">* 본 문서는 비디오 게임의 용어를 다룹니다.
  • Ctrl+F를 눌러서 원하는 단어를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 누락된 단어가 많으니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 특정 게임/장르에서만 쓰는 용어는 되도록 해당 게임 문서 혹은 게임 이름/용어게임 장르/용어 문서 혹은 별개 문서에다가 작성해주세요.(ex.쿠키런/용어)
  • 설명이 충분히 길어져서 1500바이트 이상일 경우 정리 후 별개의 문서로 분리 부탁드리며, 분리 후에는 <nowiki>XX</nowiki>: 해당 문서 참조.의 형식으로 바꿔주세요.
  • 게임과 관련된 인터넷 밈은 이곳에서 서술하지 않습니다.
  • 유저들끼리 사용하는 용어(만렙 등)와 소프트웨어 용어(베이퍼웨어, 더미 데이터 등) 등이 모두 작성 가능합니다.
  • '렉' 등의 게이머들이 아닌 일반인들도 사용하는 용어들 역시 일부 작성이 가능합니다.
  • FPS 게임 등 장르에 관한 내용은 게임 장르 문서에서 서술해주십시오.
  • 아직 문서가 작성되지 않은 용어들에는 되도록 링크를 걸지 말아주세요.

[]

  • 강화: 특정 아이템의 능력치를 강력하게 하는 행위. 인챈트와 비슷하지만 새로운 능력이 추가되지는 않고 기존의 능력이 더 강해진다는 차이점이 있다.
  • 게임성: '작품성'을 게임에 접목한 단어라고 보면 된다.
  • 게임 불감증: 할 게임이 컴퓨터, 게임기 등에 많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할 게임이 없다'라고 생각하게 되는 병(?). 주로 <del>스팀 세일이나 번들 사이트 때문에</del> 게임을 무지막지하게 많이 구매하거나, 불법 복제를 많이 해서 생긴다.
  • 공략: 특정 게임을 플레이하는 방법이나 가이드를 총칭하는 말
  • 길드: 클랜이라고도 부르며, 일정한 목적을 가진 사람들이 모인 게임상의 집단
  • 길막: 플레이어가 길을 막고 있는 행위

[]

  • 나눔: 아이템이나 게임 그 자체를 보상 없이 선물받는 행위
  • 누커, 누킹: 누커 항목 참조.

[]

  • 더미 데이터: 더미 데이터 문서 참조.
  • 던전: RPG에서 몬스터가 밀집하여 위치한 지역
  • 대미지 딜러(딜러, 딜링): 항목 참조.
  • 데모: 영단어로 시연을 뜻하는 Demonstration의 약자로 사용자에게 게임을 체험받는 것을 의미한다.
  • 도전과제: 항목 참조.
  • 동시접속자: 동일한 시간대에 게임 내에 접속한 사람의 수

[]

  • 레어템: 레어 아이템의 약어로 희귀한 아이템을 뜻한다.
  • 레이드: 주로 MMORPG에서 혼자서 클리어하기 힘든 컨텐츠를 여럿이서 클리어하는것
  • 레벨: 게임 세계에서의 일종의 등급
  • 룩덕: 커스터마이징을 즐기는 행위나 그걸 하는 사람
  • 리셀러: 번역하면 되팔이 정도. CD키를 구매해서 유저들에게 다시 파는것을 말한다.
  • 리스폰: 특정 몹이나 보스, 캐릭터 등이 죽으면 다시 살아나는 것
  • 리젠: 특정 몹이나 캐릭터의 체력이 시간이 지나면 회복되는 것

[]

  • 만렙: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가지는 레벨의 한계
  • 매크로: 플레이어가 게임을 플레이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캐릭터가 특정 동작을 지속해서 플레이하는 행위. 주로 온라인 게임<ref>특히 AOSRPG</ref>에서 일어나는 현상이지만 다른 게임에서도 사용되기도 하며, 대부분의 게임에서는 이를 금지하고 있다.
  • 메즈: 상대방을 무력화시키는 기술
  • 모드: 모드 문서 참조.
  • 몹: 주로 롤플레잉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제거해야하는 적 캐릭터

[]

  • 바닐라: DLC나 확장팩, 모드, 애드온 등 게임의 추가 요소가 깔려있지 않은 게임
  • 바카게: 바카게 항목 참조.
  • 밸런스: 게임 내 캐릭터와 아이템들의 능력치.
  • 밸런스 붕괴: 밸런스가 조절되지 못하고 특정 아이템과 캐릭터의 능력치가 매우 강한 것
  • 버프: 주로 온라인 게임이나 롤플레잉 게임에서 캐릭터의 능력을 일시적으로 상승시켜주는 행위
  • 베이퍼웨어: 베이퍼웨어 항목 참조.
  • 보스: 주로 게임 맨 마지막에 등장하는 매우 강력한 캐릭터
  • 복돌러: 불법 복제 이용자인 복돌이들을 다르게 부르는 말.
  • 봇: 멀티플레이 게임에서 등장하는 인공지능 플레이어
  • 부분 유료화: 부분 유료화 문서 참조.
  • 불법 복제: 복돌이라고도 부른다. 말 그대로 게임을 불법으로 복제해서 토렌트/웹하드 등에서 다운로드 하는 것인데 이 과정에서 컴퓨터가 바이러스나 비트코인에게 잠식되어 게임 살 몇푼 아끼려다가 컴퓨터가 고인이 되는 일이 자주 일어난다. 음식을 돈 안내고 사먹는 것이 어떻게 하든 정당화가 될 수 없듯이 복돌이 역시 지역 제한이 걸렸거나 판권이 종료된 것이 아니라면 정당화 될 수 없다. #
  • 비라이선스, 비라이선스 게임: 비라이선스 문서 참조.

[]

  • 샌드박스: 게임에서 자유도를 극대화시킨 모드. 주로 뭔가를 건설하는 모드가 대다수이며, 이것만 집중적으로 부각시킨 게임이 샌드박스 게임이다.
  • 세이브: 현재 진행 상황을 저장하는 것
  • 스택: 스킬 등의 효과가 중첩되는 것
  • 스탠드 얼론: 항목 참조.
  • 쓰레기 게임: 쓰레기 게임 문서 참조.
  • 시즌패스: 특정 게임을 구매했을때 출시된+출시될 DLC를 모두 소유할 권리

[]

  • 아타리 쇼크: 아타리 쇼크 문서 참조.
  • 악마의 게임: 매우 재미있어서 지속적으로 플레이하게되는 중독성을 가지고 있는 게임.
  • 어밴던웨어: 제작자/제작사가 여러 사유로 공급을 중단한 소프트웨어
  • 업적: 도전과제 항목 참조.
  • 액티브 유저: 해당 게임을 실질적으로 지속적으로 플레이하는 유저
  • 오버월드: 오버월드 문서 참조
  • 이스터 에그: 개발자가 장난을 위해서 게임에 메시지나 기능 등을 숨겨놓는 행위나 숨겨둔 것들. 게임 뿐 아니라 영화 등 다른 분야에서도 흔히 찾아볼 수 있다.
  • 인벤토리: 유저들이 소유하고 있는 물건을 보관하는 장소.
  • 인챈트: 무기/방어구/장신구 등의 성능을 업그레이드하는 시스템. 강화와 비슷하지만 주로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는 것을 의미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

  • 자동사냥: 매크로와 같은 뜻으로 사용되나 온라인 게임에 한정되는 단어이다.
  • 자유도: 게임 내에서 플레이어가 플레이를 결정하는데 선택할 수 있는 행위의 정도 혹은 자유로운 플레이가 가능한 정도
  • 정식 발매, 정발: 외국 게임에 대한 라이선스를 얻거나 유통사가 수입을 해서 자국에 발매하는 행위. 물론 외국 회사가 특정 국가에 직접 발매하기도 한다.
  • 정신적 후속작: 정신적 후속작 문서 참조.
  • 주얼~(쥬얼)<ref>주얼CD, 주얼게임, 주얼판 등 부르는 명칭이 많고 통일성이 없어 이렇게 처리</ref>: 패키지 게임에서 제공하는 패키지의 구성품을 모두 제외하고 CD만 유통하는 형태
  • 지역 제한, 지역락, 지역 코드: 지역 제한 문서 참조

[]

  • 치트: 게임의 쉬운 플레이나 다른 플레이어보다 우월한 점수를 내기 위해서 데이터 조작 등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플레이하는 행위. 유명한 치트 코드로는 쇼미더머니코나미 커맨드 등이 존재한다.
  • 채널링: 이미 특정 사이트에서 서비스되는 게임을 다른 사이트에서도 제휴를 맺고 서비스하는 행위

[]

  • 카이팅: 원거리 공격을 하는 캐릭터가 적과 일정 거리를 두고서 적을 공격하는 행위
  • 커스터마이징: 항목 참조.
  • 캐삭: 릭터 제 혹은 제의 줄임말.
  • 쿠소게: 일본어로 똥쓰레기를 뜻하는 쿠소에서 유래된 단어로, 한국어로 번역하면 쓰레기 게임 정도가 될 수 있다. 순화할 언어가 없는 것도 아니고 충분히 대체가 가능한 용어이므로 쿠소게가 아닌 쓰레기 게임 등으로 바꾸는게 맞다는 의견과 이미 고유명사로 굳어진 이상 굳이 바꿀 필요가 없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 퀘스트: 게임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서 플레이어에게 달성하라고 하는 임무 혹은 행동.
  • 키마: 키보드+마우스의 줄임말.
  • 키셀러: CD키를 공식적으로 판매하는 사이트를 말하는말로, ESD와 비슷한 뜻이다.

[]

  • 탱커: 항목 참조.
  • 트롤: 아군에게 피해를 주는 행위를 하는 행위.
  • 팀킬: 같은 팀을 죽이는 행위. 트롤의 대표적인 행위라고도 할 수 있다.

[]

  • 파밍: 게임 내에서 아이템을 모으는 행위
  • 파쿠르: 지형 구조물을 넘거나 이동하는것. 야마카시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나 야마카시는 실존하는 파쿠르의 팀 이름으로, 엄밀히 말하면 야마카시라는 표현은 잘못된 것이다.
  • 포트: 게임을 시스템 간에 옮겨서 이식하는 행위. 특히 이전 시스템으로 후퇴하는 경우는 백포트, 다운그레이드 등이라고도 한다. 원작을 만든 회사의 라이선스 허가 없이 포트시킨 경우에는 앞에 해적판(Pirated)이나 부틀렉(Bootleg) 등의 수식어가 붙는다.
  • 폭딜: 게임 내에서 낼 수 있는 최대한의 데미지로 적을 공격하는 행위
  • 프로토타입: 본격적인 제작에 앞서서 제작해보는 원형
  • 프리퀄: 항목 참조.
  • 플러그 앤드 플레이: 별도의 물리적인 설정이 없이 꽂으면(Plug) 바로 이용(Play)할 수 있는 기능
  • 피로도: 게임 플레이 시간이나 횟수가 일정량을 넘어서면 게임 내부에서의 이득이 줄어드는 시스템

[]

  • 하우징: 플레이어가 집을 짓는 콘텐츠
  • 한글패치/한국어패치: 외국어로 되는 게임에 한글을 지원하는 행위
  • 한글화/한국어화: 외국 게임 회사가 개발한 게임의 자막이나 음성이 한글을 지원하는 행위. 이 표현에 대해서 한글화가 맞느냐 한국어화가 맞느냐에 대한 논쟁이 있는데, 이에 대한 국립국어원의 답변은 ~화라는 표현 자체가 부적절하며, 굳이 찾는다면 한국어 번역이 맞다이다.
  • 핵: 게임 내의 해킹 프로그램
  • 헤드샷: 항목 참조.
  • 헬렙: 게임에서 레벨을 굉장히 올리기 힘든 구간
  • 현질: 게임 내에서 캐쉬 등의 현금 요소를 구매하는 행위
  • 확장팩: 항목 참조.
  • 힐러(힐링): 항목 참조.

알파벳[]

  • AAA급 게임: 항목 참조
  • co-op(코옵): 2인 이상의 협동 플레이
  • CTD: 충돌로 인해 바탕화면으로 튕겨버리는 현상
  • DLC: 항목 참조.
  • DRM: 항목 참조.
  • ESD: ESD 문서 참조.
  • Mod: Mod 문서 참조.
  • MP: Magic Power의 약어로 마법 등을 이용하는 특수능력을 발동하는데 필요한 개념
  • NPC: 주로 롤플레잉 게임이나 온라인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직접 조종하지 않고 퀘스트 등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캐릭터
  • PK: Player Kill의 줄임말로 다른 플레이어를 줄이는 행위
  • PVE: 플레이어vs환경의 줄임말
  • PVP: 플레이어vs플레이어의 줄임말
  • GG: 유저 용어. 게임이 끝나고 나면 '좋은 게임이였다' '우리가 졌다' 등의 뜻으로 쓰인다.
  • F2P: Free to Play, 즉 부분 유료의 줄임말.
  • HP: Hit points의 약어로 몹이나 플레이어의 체력을 뜻하는 말.
  • QTE: 항목 참조.

별개의 문서로 분리된 용어 설명 문서들[]

게임 이름/용어 혹은 장르 이름/용어 문서들은 여기에 넣어주세요.

  • 쿠키런/용어
  • 팀 포트리스 2/용어

주석[]

<references />

틀:보충 필요틀:좋은글

</text>

     <model>wikitext</model>
     <format>text/x-wiki</format>
   </revision>
   <revision>
     <id>3983</id>
     <parentid>3801</parentid>
     <timestamp>2015-06-04T07:16:21Z</timestamp>
     <contributor>
       <username>MINT</username>
       <id>1</id>
     </contributor>
     <text xml:space="preserve" bytes="12718">* 본 문서는 비디오 게임의 용어를 다룹니다.
  • Ctrl+F를 눌러서 원하는 단어를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 누락된 단어가 많으니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 특정 게임/장르에서만 쓰는 용어는 되도록 해당 게임 문서 혹은 게임 이름/용어게임 장르/용어 문서 혹은 별개 문서에다가 작성해주세요.(ex.쿠키런/용어)
  • 설명이 충분히 길어져서 1500바이트 이상일 경우 정리 후 별개의 문서로 분리 부탁드리며, 분리 후에는 <nowiki>XX</nowiki>: 해당 문서 참조.의 형식으로 바꿔주세요.
  • 게임과 관련된 인터넷 밈은 이곳에서 서술하지 않습니다.
  • 유저들끼리 사용하는 용어(만렙 등)와 소프트웨어 용어(베이퍼웨어, 더미 데이터 등) 등이 모두 작성 가능합니다.
  • '렉' 등의 게이머들이 아닌 일반인들도 사용하는 용어들 역시 일부 작성이 가능합니다.
  • FPS 게임 등 장르에 관한 내용은 게임 장르 문서에서 서술해주십시오.
  • 아직 문서가 작성되지 않은 용어들에는 되도록 링크를 걸지 말아주세요.

[]

  • 강화: 특정 아이템의 능력치를 강력하게 하는 행위. 인챈트와 비슷하지만 새로운 능력이 추가되지는 않고 기존의 능력이 더 강해진다는 차이점이 있다.
  • 게임성: '작품성'을 게임에 접목한 단어라고 보면 된다.
  • 게임 불감증: 할 게임이 컴퓨터, 게임기 등에 많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할 게임이 없다'라고 생각하게 되는 병(?). 주로 <del>스팀 세일이나 번들 사이트 때문에</del> 게임을 무지막지하게 많이 구매하거나, 불법 복제를 많이 해서 생긴다.
  • 공략: 특정 게임을 플레이하는 방법이나 가이드를 총칭하는 말
  • 길드: 클랜이라고도 부르며, 일정한 목적을 가진 사람들이 모인 게임상의 집단
  • 길막: 플레이어가 길을 막고 있는 행위

[]

  • 나눔: 아이템이나 게임 그 자체를 보상 없이 선물받는 행위
  • 누커, 누킹: 누커 항목 참조.

[]

  • 더미 데이터: 더미 데이터 문서 참조.
  • 던전: RPG에서 몬스터가 밀집하여 위치한 지역
  • 대미지 딜러(딜러, 딜링): 항목 참조.
  • 데모: 영단어로 시연을 뜻하는 Demonstration의 약자로 사용자에게 게임을 체험받는 것을 의미한다.
  • 도전과제: 항목 참조.
  • 동시접속자: 동일한 시간대에 게임 내에 접속한 사람의 수

[]

  • 레어템: 레어 아이템의 약어로 희귀한 아이템을 뜻한다.
  • 레이드: 주로 MMORPG에서 혼자서 클리어하기 힘든 컨텐츠를 여럿이서 클리어하는것
  • 레벨: 게임 세계에서의 일종의 등급
  • 룩덕: 커스터마이징을 즐기는 행위나 그걸 하는 사람
  • 리셀러: 번역하면 되팔이 정도. CD키를 구매해서 유저들에게 다시 파는것을 말한다.
  • 리스폰: 특정 몹이나 보스, 캐릭터 등이 죽으면 다시 살아나는 것
  • 리젠: 특정 몹이나 캐릭터의 체력이 시간이 지나면 회복되는 것

[]

  • 만렙: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가지는 레벨의 한계
  • 매크로: 플레이어가 게임을 플레이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캐릭터가 특정 동작을 지속해서 플레이하는 행위. 주로 온라인 게임<ref>특히 AOSRPG</ref>에서 일어나는 현상이지만 다른 게임에서도 사용되기도 하며, 대부분의 게임에서는 이를 금지하고 있다.
  • 메즈: 상대방을 무력화시키는 기술
  • 모드: 모드 문서 참조.
  • 몹: 주로 롤플레잉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제거해야하는 적 캐릭터

[]

  • 바닐라: DLC나 확장팩, 모드, 애드온 등 게임의 추가 요소가 깔려있지 않은 게임
  • 바카게: 바카게 항목 참조.
  • 밸런스: 게임 내 캐릭터와 아이템들의 능력치.
  • 밸런스 붕괴: 밸런스가 조절되지 못하고 특정 아이템과 캐릭터의 능력치가 매우 강한 것
  • 버프: 주로 온라인 게임이나 롤플레잉 게임에서 캐릭터의 능력을 일시적으로 상승시켜주는 행위
  • 베이퍼웨어: 베이퍼웨어 항목 참조.
  • 보스: 주로 게임 맨 마지막에 등장하는 매우 강력한 캐릭터
  • 복돌러: 불법 복제 이용자인 복돌이들을 다르게 부르는 말.
  • 봇: 멀티플레이 게임에서 등장하는 인공지능 플레이어
  • 부분 유료화: 부분 유료화 문서 참조.
  • 불법 복제: 복돌이라고도 부른다. 말 그대로 게임을 불법으로 복제해서 토렌트/웹하드 등에서 다운로드 하는 것인데 이 과정에서 컴퓨터가 바이러스나 비트코인에게 잠식되어 게임 살 몇푼 아끼려다가 컴퓨터가 고인이 되는 일이 자주 일어난다. 음식을 돈 안내고 사먹는 것이 어떻게 하든 정당화가 될 수 없듯이 복돌이 역시 지역 제한이 걸렸거나 판권이 종료된 것이 아니라면 정당화 될 수 없다. #
  • 비라이선스, 비라이선스 게임: 비라이선스 문서 참조.

[]

  • 샌드박스: 게임에서 자유도를 극대화시킨 모드. 주로 뭔가를 건설하는 모드가 대다수이며, 이것만 집중적으로 부각시킨 게임이 샌드박스 게임이다.
  • 세이브: 현재 진행 상황을 저장하는 것
  • 스택: 스킬 등의 효과가 중첩되는 것
  • 스탠드 얼론: 항목 참조.
  • 쓰레기 게임: 쓰레기 게임 문서 참조.
  • 시즌패스: 특정 게임을 구매했을때 출시된+출시될 DLC를 모두 소유할 권리

[]

  • 아타리 쇼크: 아타리 쇼크 문서 참조.
  • 악마의 게임: 매우 재미있어서 지속적으로 플레이하게되는 중독성을 가지고 있는 게임.
  • 어밴던웨어: 제작자/제작사가 여러 사유로 공급을 중단한 소프트웨어
  • 업적: 도전과제 항목 참조.
  • 예약 구매, 예약 판매, 예구, 예판: 예약 구매 항목 참조.
  • 액티브 유저: 해당 게임을 실질적으로 지속적으로 플레이하는 유저
  • 오버월드: 오버월드 문서 참조
  • 이스터 에그: 개발자가 장난을 위해서 게임에 메시지나 기능 등을 숨겨놓는 행위나 숨겨둔 것들. 게임 뿐 아니라 영화 등 다른 분야에서도 흔히 찾아볼 수 있다.
  • 인벤토리: 유저들이 소유하고 있는 물건을 보관하는 장소.
  • 인챈트: 무기/방어구/장신구 등의 성능을 업그레이드하는 시스템. 강화와 비슷하지만 주로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는 것을 의미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

  • 자동사냥: 매크로와 같은 뜻으로 사용되나 온라인 게임에 한정되는 단어이다.
  • 자유도: 게임 내에서 플레이어가 플레이를 결정하는데 선택할 수 있는 행위의 정도 혹은 자유로운 플레이가 가능한 정도
  • 정식 발매, 정발: 외국 게임에 대한 라이선스를 얻거나 유통사가 수입을 해서 자국에 발매하는 행위. 물론 외국 회사가 특정 국가에 직접 발매하기도 한다.
  • 정신적 후속작: 정신적 후속작 문서 참조.
  • 주얼~(쥬얼)<ref>주얼CD, 주얼게임, 주얼판 등 부르는 명칭이 많고 통일성이 없어 이렇게 처리</ref>: 패키지 게임에서 제공하는 패키지의 구성품을 모두 제외하고 CD만 유통하는 형태
  • 지역 제한, 지역락, 지역 코드: 지역 제한 문서 참조

[]

  • 치트: 게임의 쉬운 플레이나 다른 플레이어보다 우월한 점수를 내기 위해서 데이터 조작 등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플레이하는 행위. 유명한 치트 코드로는 쇼미더머니코나미 커맨드 등이 존재한다.
  • 채널링: 이미 특정 사이트에서 서비스되는 게임을 다른 사이트에서도 제휴를 맺고 서비스하는 행위

[]

  • 카이팅: 원거리 공격을 하는 캐릭터가 적과 일정 거리를 두고서 적을 공격하는 행위
  • 커스터마이징: 항목 참조.
  • 캐삭: 릭터 제 혹은 제의 줄임말.
  • 쿠소게: 일본어로 똥쓰레기를 뜻하는 쿠소에서 유래된 단어로, 한국어로 번역하면 쓰레기 게임 정도가 될 수 있다. 순화할 언어가 없는 것도 아니고 충분히 대체가 가능한 용어이므로 쿠소게가 아닌 쓰레기 게임 등으로 바꾸는게 맞다는 의견과 이미 고유명사로 굳어진 이상 굳이 바꿀 필요가 없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 퀘스트: 게임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서 플레이어에게 달성하라고 하는 임무 혹은 행동.
  • 키마: 키보드+마우스의 줄임말.
  • 키셀러: CD키를 공식적으로 판매하는 사이트를 말하는말로, ESD와 비슷한 뜻이다.

[]

  • 탱커: 항목 참조.
  • 트롤: 아군에게 피해를 주는 행위를 하는 행위.
  • 팀킬: 같은 팀을 죽이는 행위. 트롤의 대표적인 행위라고도 할 수 있다.

[]

  • 파밍: 게임 내에서 아이템을 모으는 행위
  • 파쿠르: 지형 구조물을 넘거나 이동하는것. 야마카시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나 야마카시는 실존하는 파쿠르의 팀 이름으로, 엄밀히 말하면 야마카시라는 표현은 잘못된 것이다.
  • 포트: 게임을 시스템 간에 옮겨서 이식하는 행위. 특히 이전 시스템으로 후퇴하는 경우는 백포트, 다운그레이드 등이라고도 한다. 원작을 만든 회사의 라이선스 허가 없이 포트시킨 경우에는 앞에 해적판(Pirated)이나 부틀렉(Bootleg) 등의 수식어가 붙는다.
  • 폭딜: 게임 내에서 낼 수 있는 최대한의 데미지로 적을 공격하는 행위
  • 프로토타입: 본격적인 제작에 앞서서 제작해보는 원형
  • 프리퀄: 항목 참조.
  • 플러그 앤드 플레이: 별도의 물리적인 설정이 없이 꽂으면(Plug) 바로 이용(Play)할 수 있는 기능
  • 피로도: 게임 플레이 시간이나 횟수가 일정량을 넘어서면 게임 내부에서의 이득이 줄어드는 시스템

[]

  • 하우징: 플레이어가 집을 짓는 콘텐츠
  • 한글패치/한국어패치: 외국어로 되는 게임에 한글을 지원하는 행위
  • 한글화/한국어화: 외국 게임 회사가 개발한 게임의 자막이나 음성이 한글을 지원하는 행위. 이 표현에 대해서 한글화가 맞느냐 한국어화가 맞느냐에 대한 논쟁이 있는데, 이에 대한 국립국어원의 답변은 ~화라는 표현 자체가 부적절하며, 굳이 찾는다면 한국어 번역이 맞다이다.
  • 핵: 게임 내의 해킹 프로그램
  • 헤드샷: 항목 참조.
  • 헬렙: 게임에서 레벨을 굉장히 올리기 힘든 구간
  • 현질: 게임 내에서 캐쉬 등의 현금 요소를 구매하는 행위
  • 확장팩: 항목 참조.
  • 힐러(힐링): 항목 참조.

알파벳[]

  • AAA급 게임: 항목 참조
  • co-op(코옵): 2인 이상의 협동 플레이
  • CTD: 충돌로 인해 바탕화면으로 튕겨버리는 현상
  • DLC: 항목 참조.
  • DRM: 항목 참조.
  • ESD: ESD 문서 참조.
  • Mod: Mod 문서 참조.
  • MP: Magic Power의 약어로 마법 등을 이용하는 특수능력을 발동하는데 필요한 개념
  • NPC: 주로 롤플레잉 게임이나 온라인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직접 조종하지 않고 퀘스트 등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캐릭터
  • PK: Player Kill의 줄임말로 다른 플레이어를 줄이는 행위
  • PVE: 플레이어vs환경의 줄임말
  • PVP: 플레이어vs플레이어의 줄임말
  • GG: 유저 용어. 게임이 끝나고 나면 '좋은 게임이였다' '우리가 졌다' 등의 뜻으로 쓰인다.
  • F2P: Free to Play, 즉 부분 유료의 줄임말.
  • HP: Hit points의 약어로 몹이나 플레이어의 체력을 뜻하는 말.
  • QTE: 항목 참조.

별개의 문서로 분리된 용어 설명 문서들[]

게임 이름/용어 혹은 장르 이름/용어 문서들은 여기에 넣어주세요.

  • 쿠키런/용어
  • 팀 포트리스 2/용어

주석[]

<references />

틀:보충 필요틀:좋은글

</text>

     <model>wikitext</model>
     <format>text/x-wiki</format>
   </revision>
   <revision>
     <id>4159</id>
     <parentid>3983</parentid>
     <timestamp>2015-06-09T00:00:06Z</timestamp>
     <contributor>
       <username>MINT</username>
       <id>1</id>
     </contributor>
     <comment>/* ㅈ */</comment>
     <text xml:space="preserve" bytes="12753">* 본 문서는 비디오 게임의 용어를 다룹니다.
  • Ctrl+F를 눌러서 원하는 단어를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 누락된 단어가 많으니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 특정 게임/장르에서만 쓰는 용어는 되도록 해당 게임 문서 혹은 게임 이름/용어게임 장르/용어 문서 혹은 별개 문서에다가 작성해주세요.(ex.쿠키런/용어)
  • 설명이 충분히 길어져서 1500바이트 이상일 경우 정리 후 별개의 문서로 분리 부탁드리며, 분리 후에는 <nowiki>XX</nowiki>: 해당 문서 참조.의 형식으로 바꿔주세요.
  • 게임과 관련된 인터넷 밈은 이곳에서 서술하지 않습니다.
  • 유저들끼리 사용하는 용어(만렙 등)와 소프트웨어 용어(베이퍼웨어, 더미 데이터 등) 등이 모두 작성 가능합니다.
  • '렉' 등의 게이머들이 아닌 일반인들도 사용하는 용어들 역시 일부 작성이 가능합니다.
  • FPS 게임 등 장르에 관한 내용은 게임 장르 문서에서 서술해주십시오.
  • 아직 문서가 작성되지 않은 용어들에는 되도록 링크를 걸지 말아주세요.

[]

  • 강화: 특정 아이템의 능력치를 강력하게 하는 행위. 인챈트와 비슷하지만 새로운 능력이 추가되지는 않고 기존의 능력이 더 강해진다는 차이점이 있다.
  • 게임성: '작품성'을 게임에 접목한 단어라고 보면 된다.
  • 게임 불감증: 할 게임이 컴퓨터, 게임기 등에 많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할 게임이 없다'라고 생각하게 되는 병(?). 주로 <del>스팀 세일이나 번들 사이트 때문에</del> 게임을 무지막지하게 많이 구매하거나, 불법 복제를 많이 해서 생긴다.
  • 공략: 특정 게임을 플레이하는 방법이나 가이드를 총칭하는 말
  • 길드: 클랜이라고도 부르며, 일정한 목적을 가진 사람들이 모인 게임상의 집단
  • 길막: 플레이어가 길을 막고 있는 행위

[]

  • 나눔: 아이템이나 게임 그 자체를 보상 없이 선물받는 행위
  • 누커, 누킹: 누커 항목 참조.

[]

  • 더미 데이터: 더미 데이터 문서 참조.
  • 던전: RPG에서 몬스터가 밀집하여 위치한 지역
  • 대미지 딜러(딜러, 딜링): 항목 참조.
  • 데모: 영단어로 시연을 뜻하는 Demonstration의 약자로 사용자에게 게임을 체험받는 것을 의미한다.
  • 도전과제: 항목 참조.
  • 동시접속자: 동일한 시간대에 게임 내에 접속한 사람의 수

[]

  • 레어템: 레어 아이템의 약어로 희귀한 아이템을 뜻한다.
  • 레이드: 주로 MMORPG에서 혼자서 클리어하기 힘든 컨텐츠를 여럿이서 클리어하는것
  • 레벨: 게임 세계에서의 일종의 등급
  • 룩덕: 커스터마이징을 즐기는 행위나 그걸 하는 사람
  • 리셀러: 번역하면 되팔이 정도. CD키를 구매해서 유저들에게 다시 파는것을 말한다.
  • 리스폰: 특정 몹이나 보스, 캐릭터 등이 죽으면 다시 살아나는 것
  • 리젠: 특정 몹이나 캐릭터의 체력이 시간이 지나면 회복되는 것

[]

  • 만렙: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가지는 레벨의 한계
  • 매크로: 플레이어가 게임을 플레이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캐릭터가 특정 동작을 지속해서 플레이하는 행위. 주로 온라인 게임<ref>특히 AOSRPG</ref>에서 일어나는 현상이지만 다른 게임에서도 사용되기도 하며, 대부분의 게임에서는 이를 금지하고 있다.
  • 메즈: 상대방을 무력화시키는 기술
  • 모드: 모드 문서 참조.
  • 몹: 주로 롤플레잉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제거해야하는 적 캐릭터

[]

  • 바닐라: DLC나 확장팩, 모드, 애드온 등 게임의 추가 요소가 깔려있지 않은 게임
  • 바카게: 바카게 항목 참조.
  • 밸런스: 게임 내 캐릭터와 아이템들의 능력치.
  • 밸런스 붕괴: 밸런스가 조절되지 못하고 특정 아이템과 캐릭터의 능력치가 매우 강한 것
  • 버프: 주로 온라인 게임이나 롤플레잉 게임에서 캐릭터의 능력을 일시적으로 상승시켜주는 행위
  • 베이퍼웨어: 베이퍼웨어 항목 참조.
  • 보스: 주로 게임 맨 마지막에 등장하는 매우 강력한 캐릭터
  • 복돌러: 불법 복제 이용자인 복돌이들을 다르게 부르는 말.
  • 봇: 멀티플레이 게임에서 등장하는 인공지능 플레이어
  • 부분 유료화: 부분 유료화 문서 참조.
  • 불법 복제: 복돌이라고도 부른다. 말 그대로 게임을 불법으로 복제해서 토렌트/웹하드 등에서 다운로드 하는 것인데 이 과정에서 컴퓨터가 바이러스나 비트코인에게 잠식되어 게임 살 몇푼 아끼려다가 컴퓨터가 고인이 되는 일이 자주 일어난다. 음식을 돈 안내고 사먹는 것이 어떻게 하든 정당화가 될 수 없듯이 복돌이 역시 지역 제한이 걸렸거나 판권이 종료된 것이 아니라면 정당화 될 수 없다. #
  • 비라이선스, 비라이선스 게임: 비라이선스 문서 참조.

[]

  • 샌드박스: 게임에서 자유도를 극대화시킨 모드. 주로 뭔가를 건설하는 모드가 대다수이며, 이것만 집중적으로 부각시킨 게임이 샌드박스 게임이다.
  • 세이브: 현재 진행 상황을 저장하는 것
  • 스택: 스킬 등의 효과가 중첩되는 것
  • 스탠드 얼론: 항목 참조.
  • 쓰레기 게임: 쓰레기 게임 문서 참조.
  • 시즌패스: 특정 게임을 구매했을때 출시된+출시될 DLC를 모두 소유할 권리

[]

  • 아타리 쇼크: 아타리 쇼크 문서 참조.
  • 악마의 게임: 매우 재미있어서 지속적으로 플레이하게되는 중독성을 가지고 있는 게임.
  • 어밴던웨어: 제작자/제작사가 여러 사유로 공급을 중단한 소프트웨어
  • 업적: 도전과제 항목 참조.
  • 예약 구매, 예약 판매, 예구, 예판: 예약 구매 항목 참조.
  • 액티브 유저: 해당 게임을 실질적으로 지속적으로 플레이하는 유저
  • 오버월드: 오버월드 문서 참조
  • 이스터 에그: 개발자가 장난을 위해서 게임에 메시지나 기능 등을 숨겨놓는 행위나 숨겨둔 것들. 게임 뿐 아니라 영화 등 다른 분야에서도 흔히 찾아볼 수 있다.
  • 인벤토리: 유저들이 소유하고 있는 물건을 보관하는 장소.
  • 인챈트: 무기/방어구/장신구 등의 성능을 업그레이드하는 시스템. 강화와 비슷하지만 주로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는 것을 의미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

  • 자동사냥: 매크로와 같은 뜻으로 사용되나 온라인 게임에 한정되는 단어이다.
  • 자유도: 게임 내에서 플레이어가 플레이를 결정하는데 선택할 수 있는 행위의 정도 혹은 자유로운 플레이가 가능한 정도
  • 정식 발매, 정발: 외국 게임에 대한 라이선스를 얻거나 유통사가 수입을 해서 자국에 발매하는 행위. 물론 외국 회사가 특정 국가에 직접 발매하기도 한다.
  • 정신적 후속작: 정신적 후속작 문서 참조.
  • 주얼~(쥬얼)<ref>주얼CD, 주얼게임, 주얼판 등 부르는 명칭이 많고 통일성이 없어 이렇게 처리</ref>: 패키지 게임에서 제공하는 패키지의 구성품을 모두 제외하고 CD만 유통하는 형태
  • 지역 제한, 지역락, 지역 코드: 지역 제한 문서 참조
  • 진입장벽: 항목 참조.

[]

  • 치트: 게임의 쉬운 플레이나 다른 플레이어보다 우월한 점수를 내기 위해서 데이터 조작 등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플레이하는 행위. 유명한 치트 코드로는 쇼미더머니코나미 커맨드 등이 존재한다.
  • 채널링: 이미 특정 사이트에서 서비스되는 게임을 다른 사이트에서도 제휴를 맺고 서비스하는 행위

[]

  • 카이팅: 원거리 공격을 하는 캐릭터가 적과 일정 거리를 두고서 적을 공격하는 행위
  • 커스터마이징: 항목 참조.
  • 캐삭: 릭터 제 혹은 제의 줄임말.
  • 쿠소게: 일본어로 똥쓰레기를 뜻하는 쿠소에서 유래된 단어로, 한국어로 번역하면 쓰레기 게임 정도가 될 수 있다. 순화할 언어가 없는 것도 아니고 충분히 대체가 가능한 용어이므로 쿠소게가 아닌 쓰레기 게임 등으로 바꾸는게 맞다는 의견과 이미 고유명사로 굳어진 이상 굳이 바꿀 필요가 없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 퀘스트: 게임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서 플레이어에게 달성하라고 하는 임무 혹은 행동.
  • 키마: 키보드+마우스의 줄임말.
  • 키셀러: CD키를 공식적으로 판매하는 사이트를 말하는말로, ESD와 비슷한 뜻이다.

[]

  • 탱커: 항목 참조.
  • 트롤: 아군에게 피해를 주는 행위를 하는 행위.
  • 팀킬: 같은 팀을 죽이는 행위. 트롤의 대표적인 행위라고도 할 수 있다.

[]

  • 파밍: 게임 내에서 아이템을 모으는 행위
  • 파쿠르: 지형 구조물을 넘거나 이동하는것. 야마카시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나 야마카시는 실존하는 파쿠르의 팀 이름으로, 엄밀히 말하면 야마카시라는 표현은 잘못된 것이다.
  • 포트: 게임을 시스템 간에 옮겨서 이식하는 행위. 특히 이전 시스템으로 후퇴하는 경우는 백포트, 다운그레이드 등이라고도 한다. 원작을 만든 회사의 라이선스 허가 없이 포트시킨 경우에는 앞에 해적판(Pirated)이나 부틀렉(Bootleg) 등의 수식어가 붙는다.
  • 폭딜: 게임 내에서 낼 수 있는 최대한의 데미지로 적을 공격하는 행위
  • 프로토타입: 본격적인 제작에 앞서서 제작해보는 원형
  • 프리퀄: 항목 참조.
  • 플러그 앤드 플레이: 별도의 물리적인 설정이 없이 꽂으면(Plug) 바로 이용(Play)할 수 있는 기능
  • 피로도: 게임 플레이 시간이나 횟수가 일정량을 넘어서면 게임 내부에서의 이득이 줄어드는 시스템

[]

  • 하우징: 플레이어가 집을 짓는 콘텐츠
  • 한글패치/한국어패치: 외국어로 되는 게임에 한글을 지원하는 행위
  • 한글화/한국어화: 외국 게임 회사가 개발한 게임의 자막이나 음성이 한글을 지원하는 행위. 이 표현에 대해서 한글화가 맞느냐 한국어화가 맞느냐에 대한 논쟁이 있는데, 이에 대한 국립국어원의 답변은 ~화라는 표현 자체가 부적절하며, 굳이 찾는다면 한국어 번역이 맞다이다.
  • 핵: 게임 내의 해킹 프로그램
  • 헤드샷: 항목 참조.
  • 헬렙: 게임에서 레벨을 굉장히 올리기 힘든 구간
  • 현질: 게임 내에서 캐쉬 등의 현금 요소를 구매하는 행위
  • 확장팩: 항목 참조.
  • 힐러(힐링): 항목 참조.

알파벳[]

  • AAA급 게임: 항목 참조
  • co-op(코옵): 2인 이상의 협동 플레이
  • CTD: 충돌로 인해 바탕화면으로 튕겨버리는 현상
  • DLC: 항목 참조.
  • DRM: 항목 참조.
  • ESD: ESD 문서 참조.
  • Mod: Mod 문서 참조.
  • MP: Magic Power의 약어로 마법 등을 이용하는 특수능력을 발동하는데 필요한 개념
  • NPC: 주로 롤플레잉 게임이나 온라인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직접 조종하지 않고 퀘스트 등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캐릭터
  • PK: Player Kill의 줄임말로 다른 플레이어를 줄이는 행위
  • PVE: 플레이어vs환경의 줄임말
  • PVP: 플레이어vs플레이어의 줄임말
  • GG: 유저 용어. 게임이 끝나고 나면 '좋은 게임이였다' '우리가 졌다' 등의 뜻으로 쓰인다.
  • F2P: Free to Play, 즉 부분 유료의 줄임말.
  • HP: Hit points의 약어로 몹이나 플레이어의 체력을 뜻하는 말.
  • QTE: 항목 참조.

별개의 문서로 분리된 용어 설명 문서들[]

게임 이름/용어 혹은 장르 이름/용어 문서들은 여기에 넣어주세요.

  • 쿠키런/용어
  • 팀 포트리스 2/용어

주석[]

<references />

틀:보충 필요틀:좋은글

</text>

     <model>wikitext</model>
     <format>text/x-wiki</format>
   </revision>
 </page>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