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ent>새 문서: GXSCC는 가시소프트(GASHISOFT)가 개발한 무료 미디 플레이어이다. 지원 확장자는 MID/SMF/RCP<ref>RCP 파일을 구동하려면 Mr.Fumy가 제작한 RCPCV...</comment> <text xml:space="preserve" bytes="5772">GXSCC는 가시소프트(GASHISOFT)가 개발한 무료 미디 플레이어이다. 지원 확장자는 MID/SMF/RCP<ref>RCP 파일을 구동하려면 Mr.Fumy가 제작한 RCPCV를 설치해야한다. http://www.vector.co.jp/vpack/browse/person/an010012.html 하단에서 RCPCV.dll을 다운로드 받아서 GXSCC와 같은 폴더에 넣으면 된다.</ref>이고 사운드 장치와 상관없이 SCC 사운드 칩으로 구동되며 칩튠을 만들어낸다.
사이트: http://www.geocities.co.jp/SiliconValley-SanJose/8700/P/GsorigE.htm (최상위 페이지는 주인장 확인 없이 링크가 금지되었음)
인터페이스[]
GXSCC의 모습. <s>화면은 손바닥만한 게 축소가 안 된다.</s>
GXSCC에서 지원되는 확장자의 파일을 드래그해서 프로그램 창에 드롭하면 버퍼링 완료 후에 칩튠으로 바로 재생된다.
상단의 Play/Fast/Stop/Pause/Authoring/Config 버튼은 순서대로 재생/빠르게/정지/일시 정지/오더링/설정인데, 오더링은 칩튠을 WAV 파일로 출력하는 기능이다.
출력되는 트랙 위쪽에 있는 MUTE/POLY로 해당 트랙을 껐다켰다 할 수 있다.
설정[]
((*) for FAST machine.: (*) 항목은 빠른 컴퓨터에서 권장.)
- Output Device: 출력 장치
- Output Frequency: 출력 주파수
- Instrument Set: 악기 세트 - SCC같은 풀세트(SCC like Full-Set)/패미컴같은 세트(Famicom like Set)/올 스퀘어(All Square Set)/올 트라이앵글(All Triangle Set)/올 스틸(All Steal Set)/올 하이퍼사인(All HyperSin Set)/올 사인(All Sin Set)/올 펄스스퀘어(All PulsedSquare Set)
- Auto Detune: 자동 디튠 - 없음(None)/최대 14센트(Max 14cent)
- Drumset: 드럼세트
- Redraw Timing: 리드로 타이밍
- Monural Output: 모노럴 출력
버퍼 설정(Buffer Setting)[]
(버퍼 블록은 프로그램 오른쪽 상단에 버퍼 상태를 나타내는 칸을 가리킴)
- Buffer Block Size: 버퍼 블록 크기
- BufferCount: 버퍼카운트
- Don't stop at Buffer-underrun: 버퍼 언더런 상태에서 멈추지 않음
이퀄라이징(Equalizing)[]
- Use Low-pass Filter: 저역 필터 사용
- Cut-off Frequency: 차단 주파수
익스플로러(Explorer)[]
- Set link to *.mid files: MID 파일에 링크를 걺
- Link RCP: RCP 파일을 링크
<youtube>flcLG2WixOM</youtube>
위는 GXSCC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한 동영상이다.
무분별한 단순 변환 칩튠의 업로드와 비판[]
<youtube>vMVXTuMupw8</youtube> <br/>(더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거나, 동영상을 보기 귀찮으면 유튜브에 들어가서 덧글을 읽어보자.)
※ 다른 두 확장자도 있으나 MID 구동률이 둘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기때문에 여기선 MID로 언급한다.
GXSCC는 MID 파일만 있으면 칩튠을 만들어낼 수 있기때문에 누구나 쉽게 칩튠을 재생하고 출력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장점때문에 유튜브 등에서 단순히 인터넷 상에서 돌아다니는 MID 파일을 GXSCC 칩튠으로 변환시켜서 올리기만 하는 동영상(혹은 음악)들이 '~ 8비트 버전(심지어는 패미컴 버전)' 식의 이름을 달고 판을 치게 되었다. 그러나 GXSCC 칩튠은 8비트 사운드를 샘플링한 사운드폰트를 재생하는 16채널의 미디 파일이기 때문에 8비트가 아닌데다, 16비트도 아닌 32비트이다. 그리고 패미컴이 아니라 MSX에 기반한 프로그램이기때문에 결론적으로 GXSCC 칩튠을 보고 '패미컴 8비트 음악'이라고 하면 잘못된 것이다. 진짜 8비트 음악은 패미트래커 등으로 제작할 수 있는데, '짝퉁 패미컴 음악' GXSCC 칩튠보다 질적으로 훨씬 낫지만, 아쉽게도 이 사실을 잘 모르는 사람이 많아 GXSCC 칩튠에 밀려나는 경우도 많다.
물론 GXSCC 프로그램 자체나 모든 사용 방도가 나쁘다는 것은 아니다. 어떤 동영상에 브금을 삽입할 때, 고전 게임 음악 느낌이 나는 리믹스가 필요한데 넷상엔 마땅히 쓸 만한 게 없고 직접 리믹스하기도 애매한 경우 등에 활용하면 좋은 프로그램이다. 이 경우에는 출처 란에 '~ 미디 파일을 GXSCC로 변환한 칩튠'이라고 함께 기입해주고 질문이 들어오면 8비트 패미컴 음악과는 다르다는 등의 설명을 잘 해주면 된다. 그렇지만 이와 반대로, 아무런 노력도 기울이지 않고 단순히 변환해서 GXSCC나 미디 출처 등의 언급 없이 자신이 만든 8비트 패미컴 음악이라고 올려놓고 사람들을 속이는 것은 사기 행위나 다름없다.
비교[]
<youtube>5Xts6uRdDck</youtube> <youtube>3KVVF0IaJ7k</youtube>
실감나지 않는다면 다음 두 음악을 비교해서 들어보자. 둘은 같은 음악의 리믹스로, 위는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미디 파일을 GXSCC에 넣고 WAV 파일로 변환해서 그럴 듯한 영상과 함께 짬뽕시킨 전형적인 짝퉁 8비트 패미컴 음악 동영상이고, 아래는 패미트래커로 직접 만든 진짜 8비트 패미컴 음악 동영상이다. 패미트래커 음악과 비교하면 GXSCC로 돌려서 만든 <del>토사물</del> 음악은 패미컴이라기보다는 웅얼웅얼거리고 무기력하고 지나치게 매끄럽다는 느낌을 금방 알 수 있다.
사소한 것[]
- GXSCC 제작자의 영어 홈페이지에는 패미컴(NES)에 대한 설명이 일절 없다. 고로 'GXSCC=8비트 음악?' 논란의 근원은 유저들 사이에서 시작되었다는 걸 알 수 있다.
같이보기[]
- 패미트래커
- 8비트
주석[]
<references /></text>
<model>wikitext</model> <format>text/x-wiki</format> </revision> <revision> <id>2388</id> <parentid>298</parentid> <timestamp>2015-03-22T00:20:23Z</timestamp> <contributor> <username>MINT</username> <id>1</id> </contributor> <text xml:space="preserve" bytes="5768">GXSCC는 가시소프트(GASHISOFT)가 개발한 무료 미디 플레이어이다. 지원 확장자는 MID/SMF/RCP<ref>RCP 파일을 구동하려면 Mr.Fumy가 제작한 RCPCV를 설치해야한다. http://www.vector.co.jp/vpack/browse/person/an010012.html 하단에서 RCPCV.dll을 다운로드 받아서 GXSCC와 같은 폴더에 넣으면 된다.</ref>이고 사운드 장치와 상관없이 SCC 사운드 칩으로 구동되며 칩튠을 만들어낸다.
사이트: http://www.geocities.co.jp/SiliconValley-SanJose/8700/P/GsorigE.htm (최상위 페이지는 주인장 확인 없이 링크가 금지되었음)
인터페이스[]
GXSCC의 모습. <s>화면은 손바닥만한 게 축소가 안 된다.</s>
GXSCC에서 지원되는 확장자의 파일을 드래그해서 프로그램 창에 드롭하면 버퍼링 완료 후에 칩튠으로 바로 재생된다.
상단의 Play/Fast/Stop/Pause/Authoring/Config 버튼은 순서대로 재생/빠르게/정지/일시 정지/오더링/설정인데, 오더링은 칩튠을 WAV 파일로 출력하는 기능이다.
출력되는 트랙 위쪽에 있는 MUTE/POLY로 해당 트랙을 껐다켰다 할 수 있다.
설정[]
((*) for FAST machine.: (*) 항목은 빠른 컴퓨터에서 권장.)
- Output Device: 출력 장치
- Output Frequency: 출력 주파수
- Instrument Set: 악기 세트 - SCC같은 풀세트(SCC like Full-Set)/패미컴같은 세트(Famicom like Set)/올 스퀘어(All Square Set)/올 트라이앵글(All Triangle Set)/올 스틸(All Steal Set)/올 하이퍼사인(All HyperSin Set)/올 사인(All Sin Set)/올 펄스스퀘어(All PulsedSquare Set)
- Auto Detune: 자동 디튠 - 없음(None)/최대 14센트(Max 14cent)
- Drumset: 드럼세트
- Redraw Timing: 리드로 타이밍
- Monural Output: 모노럴 출력
버퍼 설정(Buffer Setting)[]
(버퍼 블록은 프로그램 오른쪽 상단에 버퍼 상태를 나타내는 칸을 가리킴)
- Buffer Block Size: 버퍼 블록 크기
- BufferCount: 버퍼카운트
- Don't stop at Buffer-underrun: 버퍼 언더런 상태에서 멈추지 않음
이퀄라이징(Equalizing)[]
- Use Low-pass Filter: 저역 필터 사용
- Cut-off Frequency: 차단 주파수
익스플로러(Explorer)[]
- Set link to *.mid files: MID 파일에 링크를 걺
- Link RCP: RCP 파일을 링크
위는 GXSCC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한 동영상이다.
무분별한 단순 변환 칩튠의 업로드와 비판[]
(더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거나, 동영상을 보기 귀찮으면 유튜브에 들어가서 덧글을 읽어보자.)
※ 다른 두 확장자도 있으나 MID 구동률이 둘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기때문에 여기선 MID로 언급한다.
GXSCC는 MID 파일만 있으면 칩튠을 만들어낼 수 있기때문에 누구나 쉽게 칩튠을 재생하고 출력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장점때문에 유튜브 등에서 단순히 인터넷 상에서 돌아다니는 MID 파일을 GXSCC 칩튠으로 변환시켜서 올리기만 하는 동영상(혹은 음악)들이 '~ 8비트 버전(심지어는 패미컴 버전)' 식의 이름을 달고 판을 치게 되었다. 그러나 GXSCC 칩튠은 8비트 사운드를 샘플링한 사운드폰트를 재생하는 16채널의 미디 파일이기 때문에 8비트가 아닌데다, 16비트도 아닌 32비트이다. 그리고 패미컴이 아니라 MSX에 기반한 프로그램이기때문에 결론적으로 GXSCC 칩튠을 보고 '패미컴 8비트 음악'이라고 하면 잘못된 것이다. 진짜 8비트 음악은 패미트래커 등으로 제작할 수 있는데, '짝퉁 패미컴 음악' GXSCC 칩튠보다 질적으로 훨씬 낫지만, 아쉽게도 이 사실을 잘 모르는 사람이 많아 GXSCC 칩튠에 밀려나는 경우도 많다.
물론 GXSCC 프로그램 자체나 모든 사용 방도가 나쁘다는 것은 아니다. 어떤 동영상에 브금을 삽입할 때, 고전 게임 음악 느낌이 나는 리믹스가 필요한데 넷상엔 마땅히 쓸 만한 게 없고 직접 리믹스하기도 애매한 경우 등에 활용하면 좋은 프로그램이다. 이 경우에는 출처 란에 '~ 미디 파일을 GXSCC로 변환한 칩튠'이라고 함께 기입해주고 질문이 들어오면 8비트 패미컴 음악과는 다르다는 등의 설명을 잘 해주면 된다. 그렇지만 이와 반대로, 아무런 노력도 기울이지 않고 단순히 변환해서 GXSCC나 미디 출처 등의 언급 없이 자신이 만든 8비트 패미컴 음악이라고 올려놓고 사람들을 속이는 것은 사기 행위나 다름없다.
비교[]
실감나지 않는다면 다음 두 음악을 비교해서 들어보자. 둘은 같은 음악의 리믹스로, 위는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미디 파일을 GXSCC에 넣고 WAV 파일로 변환해서 그럴 듯한 영상과 함께 짬뽕시킨 전형적인 짝퉁 8비트 패미컴 음악 동영상이고, 아래는 패미트래커로 직접 만든 진짜 8비트 패미컴 음악 동영상이다. 패미트래커 음악과 비교하면 GXSCC로 돌려서 만든 <del>토사물</del> 음악은 패미컴이라기보다는 웅얼웅얼거리고 무기력하고 지나치게 매끄럽다는 느낌을 금방 알 수 있다.
사소한 것[]
- GXSCC 제작자의 영어 홈페이지에는 패미컴(NES)에 대한 설명이 일절 없다. 고로 'GXSCC=8비트 음악?' 논란의 근원은 유저들 사이에서 시작되었다는 걸 알 수 있다.
같이보기[]
- 패미트래커
- 8비트
주석[]
<references /></text>
<model>wikitext</model> <format>text/x-wiki</format> </revision> </page> <page> <title>GamersGate</title> <ns>0</ns> <id>272</id> <revision> <id>301</id> <timestamp>2015-02-26T15:03:20Z</timestamp>